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윤구병 일기 1996 - 같이 산다는 게 뭔지 알아?
윤구병 지음 / 천년의상상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동체를 꿈꾸고 있다면 좋은 자료가 될 책이다. 공동체가 아니더라도 사람과 관계 맺고 살아가는 이상 참고할 만한 사례가 여러 가지다. “같이 산다는 게 뭔지 알아? 이게 고슴도치 같은 거야.” 하고 말하지만 공동체를 꾸려가면서 조금씩 지혜를 얻고 서로를 받아들이려는 노력이 가슴 뭉클하다.

 

나 또한 공동체를 꿈꾸었다. 자그마한 마을 공동체의 일원으로 살아가고 싶었다. 변산공동체가 꿈꾸는 것 같은 큰 뜻을 품지 않았지만 유기농을 지으며 죄를 덜 짓는 삶을 살고 싶었다. 외환위기가 찾아온 이듬해던가. 드디어 의형제 두 명과 함께 셋이서 귀농하기로 뜻을 모았다. 직접 땅을 보러 다니기도 했다. 그렇지만 셋의 답사는 오붓한 여행으로 그치고 말았다. 변명이지만 셋 다 이미 결혼을 한 뒤이고 일부가 같이 사는 사람의 동의를 얻지 못했다. 간절함이 부족한 게 결행을 하지 못한 진짜 까닭이었으리라.

 

귀농과 자그마한 마을 공동체에 대한 미련이 사그라들지 않아 딸아이가 다니던 고등학교 학부모들과 함께 농촌에 들어가는 것을 의논했다. 그 중 일부는 지금 시골에 살아갈 터전을 함께 마련하여 착착 준비를 하고 있다. 그렇지만 나는 이번에도 거기에 참여하지 못했다. 용기가 없는 거겠지. 그렇다고 하여 아주 미련을 버린 것은 아니다. 여전히 공동체에 대한 꿈을 꾸고 있다. 그렇다 보니 공동체 안에서 일어나는 여러 갈등과 해결, 시골에서 살아가는 어려움보다는 농촌에 살면서 얻게 되는 자연의 신비로움, 덕분에 움트는 맑은 정신과 튼튼한 몸의 기운, 지혜로움, 신명 따위 이야기에 더 마음이 간다. 동경하게 된다.

 

고목나무(당산나무) 밑에 가서 나무 위에 열린 별들을 올려다보았다. 그리고 나뭇등걸을 안고 나무에 볼을 댔다. 따뜻한 느낌이 든다. 몇 발자국 떨어져서 땅에 엎드려 당산나무신령님께 오체투지를 했다. (68쪽)

 

1996년 3월 11일 일기에 나오는 시 「봄바람」( “아무리 매워도 / 그 안에 / 칼끝이 들어 있지 / 않다. / 봄바람 / 땅을 보면 / 안다. / 서릿발이 안 돋아 / 있다. / 웅덩이 물을 보면 / 안다. / 살얼음이 / 없다.”)이나,  1996년 5월 27일 일기에 나오는 「당산할매의 젖꼭지」(“당산할매는 젖꼭지가 참 많다. / 해도, 바람도, 흙도, 물도 / 그 젖꼭지 물고 젖을 먹는다. // 햇볕이 따뜻한 것도 / 물맛이 단 것도 / 바람이 싱싱한 것도 / 흙이 부드러운 것도 / 다 당산할매가 젖 먹여 키워서 그렇다. // 내가 당산할매한테 / “할무이, 나도 젖 좀 줘” / 했더니, / “다 큰 놈이 무슨 젖 타령이여, / 저리 가” / 한다) 같은 시는 또 어떤가. 자연 속에서 일하며 살아가는 사람만 노래할 수 있는 경지가 아닌가.

 

방대한 분량의 책에서는 점차 참 농사꾼이 되어 가는 윤구병, 공동체학교를 야무지게 준비하는 교육자 윤구병, 우주를 생각하고 병든 세상을 고치려는 철학자 윤구병, 생활비를 보태려고 원고를 쓰는 글쟁이 윤구병, 마음을 닦으며 길 위에 서 있는 수도자 윤구병, 갈등 조정자 윤구병, 노래하고 춤추는 윤구병 등 다채로운 모습을 볼 수 있지만 자연과 사랑을 노래하는 시인 윤구병모습이 가장 반갑다. 그것은 일정 부분 자연에 빚지고 있는 것일 터 점차 농사꾼이 되어 갈수록 시인 윤구병은 더 큰 시적 울림을 주지 않을까. 앞으로도 계속 나올 일기를 벌써부터 기다리는 까닭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이블 이야기
헬렌 맥도널드 지음, 공경희 옮김 / 판미동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비 잃은 슬픔을 참매를 키우며 치유해 나가는, 새에 관한 멋진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 - 꽃잎보다 붉던
박범신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10월
평점 :
품절


사랑은 공평한 것, 공평해야 한다는 것을 치매 걸린 반려자를 돌보며 아프게 깨닫는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금요일엔 돌아오렴 - 240일간의 세월호 유가족 육성기록
416 세월호 참사 기록위원회 작가기록단 엮음 / 창비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월호 식구들의 여러 목소리를 직접 듣고 공감할 수 있도록 한 올해의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이나 꽃이나 푸른사상 시선 59
채상근 지음 / 푸른사상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을 태운

새까만 숯

 

누군가의 마음

데우고 싶다

 

서시다. 시인이 치열하게 시 쓰는 까닭을 짐작할 수 있다. 시인은 늦겨울에 눈 내리는 풍경 속 나비 한 마리처럼 푸른 봄을 기다린다. 자신의 마음을 새까맣게 태워서라도 봄을 앞당기는 나비가 온 세상에 가득하기를 바란다. 그렇기에 늦밤에 잠을 자려고 이불을 폈다가도 술자리에 나오라는 전화를 거절하지 못한다. 주섬주섬 차려입고 나가는 등 뒤에 대고 말하는 시인의 아내는 또 어떤가. 거절당하는 것보다 거절 못하는 지금이 그래도 낫다고 중얼거리는 시인의 아내가 미덥다. 시인은 인생살이 어렵고 힘들어도 사람 사는 게 다 똑같다며 사람들과 함께 따듯따듯 익어가는 삼겹살에 찬 소주잔을 맞부딪친다. 한세상 태어나 가파른 언덕에서 뿌리를 내리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바로 꽃이라고, 사람이나 꽃이나 다 한가지라고 노래한다.


호박꽃 피어날 수 있을까

 

여기는 어디인가

방사선 작업 허가서를 받고 들어온 원자로 건물

방사능에 오염되어 쓰다 버린

노란 일회용 방사선 방호용품들이

태양빛에 늘어진 호박꽃처럼 여기저기 버려진

여기는 걸리버의 나라

핵폐기물들 가득한 나라

나는 이제 어디로 발 디디고

나갈 수 있는 것일까

 

여기는 어디인가

벌레 한 마리 볼 수 없는 원자로 건물

덩치 커다란 원자로 설비들 옆에서 작업하는

노란 소인국 사람들 북적대고

이곳에서 꽃 한 송이 피워볼까

작업복 주머니에 몰래 갖고 들어온 호박씨

해바라기만한 호박꽃이라도 피어날 수 있을까

방사능 꽃을 피우는 원자로 옆에서

따뜻한 핵의 봄날 같은 겨울에

 

봄이 오지 않는 곳이 있다. 꽃도 나비도 없다. 두꺼운 콘크리트 벽 속 방사능에 오염된 쉰 공기들만 떠다닌다. 거기에 공기 공급 호흡기를 쓰고 가슴 부위와 성기는 납 차폐복을 입은 노동자들이 있다. 핵폐기물들을 갉아 먹던 쥐들의 노란 털이 모두 빠져버리는 꿈을 구는 동료와 시인이 거기 있다. 원자력 발전소만 잘 돌아가면 깨끗한 에너지 원자력과 함께 평생을 안심하고 살 수 있으리라는 홍보가 거짓이라는 것을 환히 알고 있다. 시인은 벌레 한 마리 볼 수 없는 그곳에서 따뜻한 호박꽃을 피우고 싶어 한다. 호박꽃 마음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일하는 동료를 넘어 체르노빌 원전 사고의 피해자들로, 후쿠시마 원전 노동자들에게로 넓어진다. 따스한 서정과 탈핵의 새로운 관점을 함께 누릴 수 있는 우리나라 최초의 본격 탈핵 시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