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둘리지 않는 말투, 거리감 두는 말씨 - 나를 휘두르는 타인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는 책
Joe 지음, 이선영 옮김 / 리텍콘텐츠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관계란 살아가며 맺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맺어진 인간관계로 인해 우리는 기쁘기도 하고

상처받기도 한다.

지난 인간관계를 돌아보자면

나와 타인의 관계들은 어떠했을까?

생각해 보면

나를 아껴주고 지지해 주는 사람들에게는

좀 소홀하고 나를 미워하는 사람에게는

저 사람이 나를 왜 미워할까 더 생각했던 것 같다.

지금에 와서는 지난 일이니까

되돌아볼 수 있는 거겠지만

그때는 그 사람과 함께하는 업무시간이

너무나도 괴로웠다.

나를 지지해 주는 동료들이 더 많았음에도

왜 그런 시간을 보냈을까?






인간관계는 가까울수록 좋다는 착각

우선, 나 역시 인간관계 안에서 거리감 조절이

모두 달라야 함을 예전엔 미처 몰랐던 것 같다.

이 책에서 예를 들었듯이

사자와 얼룩말은 한 우리에서 함께 지낼 수 없다.

그러므로 인간관계에서도 사람마다의

안정적 거리는 다른 것인데,

나는 같은 소속, 같은 직장이라는 이유로

그런 거리감을 조절하는 것을 잘 못 했던 것 같다.

하물며 가족, 부부 사이에도 적절한 거리감이

필요한데 말이다!


누구도 파고들 수 없는 베이스 만들기

✔️ 은근한 미소를 지어라

✔️ 크고 느긋하게 움직여라

✔️ 자연스러운 목소리로 천천히 말하라

✔️ 침묵이 자연스러운 사람이 되어라

✔️ 자신의 TMI를 드러내지 마라

5가지 중 내가 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들이 보였다.

우선, 나는 느긋하지 못하고 성격이 급하다.

특히나 일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빨리빨리가 미덕이라 생각했다.

그리고 침묵을 잘 못 견디곤 했다.

침묵이 싫어서 그 침묵을 깨려고 말을 꺼낸 적이 많았던 것 같다.

이런 point들을 짚어보고 나니

내가 고쳐야 할 점이 명확해졌다.


거절의 방법들

무엇이든 많이 해보면 느는 것처럼

거절도 해봐야 는다는 생각이 든다.

거절을 하지 못해서 참석한 자리에서

괜히 힘들게 보낸 시간들,

거절하지 못해 떠맡게 된 업무들..

거절하는 방법들을 미리 시뮬레이션해 보고

연습해 보는 것들이 그런 상황에 닥쳤을 때

나를 구해주고 상대가

나를 더 이상 휘두를 수 없게 하는

무기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결론적으로 이 모든 것은

인간관계에 담을 쌓고자 함이 아닌

나를 지키면서 건강한 인간관계를 만들기 위함인 것이다.

나를 휘두르려는 사람에게 휘둘리지 않는 말투와

나의 매력을 알아줄 사람들을 끌어당기는

힘을 발휘한다면 행복한 인간관계를

만들어나갈 수 있는 내가 될 것이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