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인문학을 먹고 산다 - 인문학으로 인공지능 시대를 주도하라
한지우 지음 / 미디어숲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끝나는 날이 올까? 싶었던 코로나.

코로나가 아무런 경고 없이 전 세계를 덮친 이후

우리는 팬데믹에 빠졌지만 인류는

이런 팬데믹 극복을 위해 몇 년째 노력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얼마 전 위드 코로나를 선언하는 날이 왔다.

그리고 요즘은 어디서나 포스트 코로나,

코로나 이후의 삶을 이야기한다.

내가 겪은 세계적 위기 중

가장 큰 위기는 '코로나'이다.

그러기에 나도 코로나가 지나가길 바라고

코로나 이후의 삶, 미래를 준비하고 대비해야 하는

시점 속에 내가 직접 겪지는 않았지만

지난 역사적 위기의 사건과 혼란의 시기 속에서

그 시기를 기회로 헤쳐나간 인물들의 이야기를

이 책에서 접할 수 있었다.





'르네상스'하면 유명한 예술가들과

그들이 남긴 예술작품들이 떠오른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같은

유명한 화가들과 단테의 신곡과 같은 문학작품 역시

르네상스시대를 대표한다.

이렇듯 너무나도 대단한 예술가들이 활동했던

그야말로 문화의 황금시대가 바로 르네상스였다.

이런 르네상스 시대가 시작된 뒤에는

'페스트'라는 팬데믹이 있었고

페스트로 인한 무수한 사람들의 죽음은

신중심에서 사람 중심의 가치관으로 전화되는

그야말로 획기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다는 사실.

이처럼 지난 역사 속에서

인류는 위기를 기회로 만들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핵심 키워드로 부상하는

'4차 산업혁명'

자본가와 노동자를 만들어낸 1차 산업혁명,

전기의 상용화, 자동차의 탄생 등으로

자본주의의 고도화가 만들어진 2차 산업혁명,

20세기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정보화 시대가 열리며

세계를 하나로 이어준 3차 산업혁명까지.

이렇듯 과거의 산업혁명들은 인류의 삶을

혁신적으로 변화시켰다.

이제 포스트 코로나 시대는 인류의 4번째 진화인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날 것이라 보는 사람도

그 말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지만

나는 4차 산업혁명은 불가피한 일이라 생각한다.

그렇다면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긍정적,

부정적인 것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이 책에서 알아볼 수 있었다.




바로 '인공지능'.

인류의 진화를 위해 필요하지만

두렵기도 한 인공지능의 시대가 오는 것이다.

인공지능은 이미 우리에게 많은 논쟁점을 가져다주고 있다.

우리가 원치 않아도 살아가게 될 인공지능 시대는

우리에게 어떠한 긍정적인 면과 어떠한 위협을

가져오게 될까?에 대한 실질적인 이야기를

책을 통해 읽고 나니 많은 고민이 생기게 된다.

하지만 인류는 지난 역사 속에서 많은 위기 속에

기회를 만들며 개척해나간 것처럼.

인공지능 시대에도 새로운 것들을 찾아내고

내가 살아갈 길을 찾게 될 것이다.

인공지능에 대체되지 않을

그 무엇을 찾아가는데 유용할 힌트를

이 책의 마지막 장에서는 다루고 있다.

AI, 인공지능에 대체되지 않는 그 무엇을

이 책에서는 '인문학'이라고 보고 있다.


기술보다 인문이 중요해질 시대.

그리고 인간만이 가진 특별한 지능.

우리는 코로나19라는 역사적 사건 속에서

스스로 살아나갈 힘을 길러야 하고

앞으로 다가올 인공지능 시대에 대체되지 않을

인간이 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느끼게 해주는 책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인문학의 중요함을

생각해 보게 된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