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의 품격 - 착하게 살아도 성공할 수 있다
양원근 지음 / 성안당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남편과 인간의 성선설, 성악설에 대해

이야기할 때가 있다.

나는 한 번도 생각해 보지 않은 이론이었는데

남편은 드라마 속 악역을 보거나

범죄에 관련된 뉴스를 볼 때면 한 번씩

내게 인간은 성선설이 맞을까?

성악설이 맞을까? 묻곤 한다.

나도 남편도 무교이고 그냥 우리의 생각을

나누는 것뿐이지만 가끔은 정말 궁금해지기도

하는 부분이다.



이번에 부의 품격을 읽으면서

역시 다시 한번 성선설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됐다.

그리고 나에겐 새로운 개념인 "선의지"에 대해

알게 되어서 깊이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됐다.



어린 시절부터 경쟁을 부추기는 사회와

그 안에서 경쟁에 익숙해져가는 우리들이

내가 우선이 아닌 '우리가' 함께 성공하는 걸

바랄 수 있는 사람이 많을까?라는 의문을 가지며

책을 읽었다.

Chapter1. 머릿속 계산기를 치워 버리다.

처음엔 선의자란 나같은 사람에겐 힘든 일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여전히 나는 타인보다 내가 더 소중하고

나의 이익을 추구하는데 나도 선의지가

가능한 걸까? 이런 의문이 계속적으로 들었다.


부의 품격을 읽으며

점차 생각을 거듭해보니

꼭 돈이 이미 많은 부자이거나

어떤 분야의 높은 위치를 가진 사람이 아니더라도

버스에서 카드를 깜빡한 사람의 버스비를

대신 내준다거나 내가 꾸준히 하고 있는

생리대 지원 사업에 기부하는 것도

선의지에 속하겠구나!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내가 계속적으로 선의지를 지키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하는 것들이 있다는 말에 많은 공감이 됐다.




사람은 중요하다.

특히, 경험을 가진 사람은 특별하다고 생각한다.

그러기에 어린 시절부터 우리는 공부를 잘 가르치는

선생님을 만나고 싶어하고 커서도 특정 분야나

내가 필요로 하는 부분에 있어서 경험이 있는

멘토를 찾게 된다.

가끔 특출난 경험이 있는 사람을 만날 때면

부러움과 그 사람과 잘 지내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것도 그러한 이유일 것이다.

부의 품격을 읽으며 선의지를 통한 사람 간의 관계가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됐다.

내가 생각하는 특출난 경험을

내가 갖고 있지 않다 생각 들더라도

내게 남이 필요로 하는 무언가가 있을지 모른다.

내가 먼저 선의지를 갖고 다가간다면 언젠가 상대도

내게 선의지를 베풀어 관계를 지속하게 되는

상상을 하니 기분이 좋아졌다.



이러한 마음을 갖고 나니

그렇다면 선의지를 가진 사람을 판별하는 방법이

궁금해졌고 그 방법 역시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정리된 책 속에서 찾을 수 있었다.

책을 읽으며 내가 살아오며 거쳐왔던 많은 사람들이

떠올랐다.

뚜렷한 계기가 있어 멀어진 사람들도 있고

뚜렷한 계기 없이 멀어진 사람들도 있었다.

하지만 그런 관계 속에서도 새로 맺어지는 관계들과

지금껏 내가 이어오는 관계 속의 사람들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됐다.



한해 한해 나이를 먹고,

인생의 큰 경조사를 겪으며

그동안 끊어진 관계에 대해서만 많이 생각하고

연연했던 것 같다.

SNS, 인터넷 속에서 살아가고 있기에

완전히 끊어지는 관계도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내가 맺고 있는 관계들 속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선의지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그리고 내가 활동하고 있는 네이버 카페

책과 콩나무가 책의 저자가 운영하는 카페라는 것도

새롭게 알게 됐다.

이렇게 뭔가 책의 저자와 나의 연결고리가 하나 더

생기니 이것 역시 인터넷 속 나의 관계 형성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앞으로 맺어나갈 관계들과

내가 지켜나갈 내 주변의 관계들에서

나 스스로의 계산기를 두드리지 않고

선의지를 베풀 수 있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