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번역가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 번역을 사랑한다면 이들처럼
노경아 외 지음 / 세나북스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의 장점 중 하나는 내가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것들에 대해 간접 체험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도서번역가라는 직업은 내가 이번 생에는 해보지 못하겠지만 궁금하고 호기심을 가졌던 직업이었다.

어떤 연예인은 아직 국내에 번역되지 않은 외국서적을 번역가를 직접 고용해 번역해서 읽는다더라.

언제 어디선지 모르겠지만 주워들은 이야기이다.

그 연예인도 멋지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다른 나라의 원서를 번역하는 번역할 수 있는 번역가는 얼마나 멋질까?라는 번역가에 대한 환상이 머릿속에 자리 잡았던 것 같다.



번역을 사랑하는 5명의 번역가가 집필한 책인 도서번역가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번역이라는 장르는 전혀 알지 못하는 내게 충분히 매력적이고 현실적인 이야기를 해주는 5명의 번역가분들의 이야기가 신선하고 재미있어서 단숨에 읽어버린 책이다.

춤추듯 부드럽게.

노경아 일본어 번역가.


번역 일을 한 지 10년 차가 돼서야 자신을 번역가라고 소개한다는 노경아 번역가.

일본어를 전공했지만 돌고 돌아 일본어 번역의 길로 접어 섰고 주부이자 프리랜서 번역가의 길을 가는 노경아 번역가님의 이야기가

나도 돌고 돌아도 내가 하고 싶은 일을 찾을 수 있겠구나.라는 희망이 됐다.

꿈만 먹고살아도 배부르다.

김지윤 일본어 번역가.


김지윤 번역가님도 아이를 키우며 워킹맘이자 프리랜서로 일하고 계시는 이야기와 결혼, 출산, 육아를 겪으며 일본어 번역가가 되게 된 계기, 전설의 독한 선배가 되기까지의 이야기, 프리랜서의 장단점들을 이야기해주신다.


저는 언어의 노예이자 숫자의 노예입니다.

김희정 중국어 번역가.


특별한 계기는 없었다고 하지만 아버지의 직장으로 인해 중국에서 살았던 경험으로 습득한 중국어,

그리고 뉴질랜드에 2년간 살며 습득한 영어 중에 내가 더 많은 기회를 만들어 갈 수 있는 영역이 중국어라고 생각했고 본인의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것이 중국어뿐이었다고 말하는 김희정 번역가님.

정말 현실적인 이야기들이어서 더욱 공감이 갔던 이야기들.

프리랜서가 프리한줄로만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날리는 일침과 작업시간과 작업 분량이 돈과 다이렉트로 직결되는 현실에 대해 신랄하게 이야기해놓았다.


야누스, 만화와 라이트노벨의 두 얼굴.

조민경 일본어 번역가.


주로 만화와 라이트노벨을 번역하는 조민경 일본어 번역가님은 취미가 직업이 된 케이스이다.

만화를 번역할 때의 고충과 다자레라고 불리는 일본어만의 말장난, 그리고 역자 후기에 대한 이야기가 재미있었다.

독자일 때는 작가 후기와 역자 후기가 그렇게 재밌었다는 조민경 번역가의 말처럼 나 역시 독자이기에 그 부분이 재밌었구나 느껴져 웃음짓게 만들었던 대목이었다.

운명적 만화 번역.

박소현 일본어 번역가.

아이를 둘 낳고 대가족을 챙기면서도 자신의 좋아하는 취미를 직업으로 시작한 나이가 30대 후반.

자신을 만화 오타쿠라고 얘기할 정도로 일본 만화를 좋아하고 30대 후반에 당당하게 새로운 일에 뛰어든 모습이 정말 멋졌던 박소현 번역가님.

하지만 그렇게 좋아하던 만화가 일이 되고 나니 어느 순간 일본어가 꼴도 보기 싫어질 때도 있었다는

박소현 번역가는 그래도 번역 일도 만화를 보는 것도 즐겁다고 이야기한다.

5명의 도서번역가의 이야기를 읽으며 힘이 나고 즐거웠다.

그 이유는 5분 모두 번역 일을 너무나 사랑하는 게 느껴졌기 때문이었다.

자신의 일을 사랑하면서 일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있을까?

나도 내가 하는 일을 좋아했다.

하지만 내가 좋아하는 일만 할 수 없는 회사의 시스템, 동료들과의 관계, 결혼 여러 가지 일들이 맞물리면서 퇴사를 선택해야만 했다.

내가 하던 일이 프리랜서로 가능한 일이었다면 나는 그 일을 계속했을 거라고 장담한다.

그래서 프리랜서로 좋아하는 일을 하는 번역가분들의 이야기가 부럽기도 했고

한편으론 프리랜서라는 특성상의 단점들에 고개가 끄덕여지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