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 42 | 43 | 4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알몸으로 학교 간 날 꿈공작소 1
타이-마르크 르탄 지음, 이주희 옮김, 벵자맹 쇼 그림 / 아름다운사람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타이 마르크 르탄

그림-벵자맹 쇼

아름다운 사람들

 

알몸으로 학교를 가게 된다면?

이런 물음에 통상 아이들은 다음과 같은 대답을 하기 마련일 것이다.

'너무 창피해요'

'교실에서 공부하기 싫어요'

 

이 책의 주인공 피에르는 어떨까?

허겁지겁 어찌하여 알몸으로 학교에 가게 된 날

피에르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오늘 아침을 오랫동안 기억하게 될 것 같아요.

 

즐기는듯한 이 말투뿐만이 아니다.

마치 스케치북이나 가위같은... 그냥 준비물의 하나 정도 잊어버린듯한 주인공의 태도는 읽는 이에게 신선한 충격을 준다.

친구들과 선생님의 반응 또한 마찬가지.

화들짝 놀라며 빨리 집에 가서 옷입고 오라고 다그치거나, 당장 엄마의 핸드폰번호를 누르는게 아니라

"피에르, 오늘 좀 달라 보이는데?"

"아,그래, 장화 아주 멋있네!"

이런 식이다.

그리고 수업시간에 질문을 하는 선생님께 알몸인 채로 일어나 발표하는 주인공.

체육시간엔 한술 더 떠 있는 힘껏 뛰고 높이 뛰어오르는 주인공.

그리곤 이렇게 표현한다.

'바람처럼 자유로운 기분이었어요'

 

그리고 미술시간에 그림 그릴땐 오히려 다른 아이들보다 더 크게, 더 자신있게 멋진 산타할아버지를 그린다.

도대체 알몸으로 학교 가고도 기죽지 않는 주인공.

아예 맨마지막엔 이렇게 말하기까지 한다.

"알몸이 되니까 얼마나 좋은지 몰라요!"

 

자, 이쯤 되니 우리가 입고 있는 이 형형색색, 갖가지 디자인의 천조각이 과연 어떤 의미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결국 이것들을 하나도 걸치지않고 학교에 갔지만 평소와 크게 다름없이 발표하고, 그림 그리고, 운동장에서 뛰어노는 주인공 피에르.

 

프랑스사회를 관통하는 똘레랑스(tolérance)정신이 생각났다.

영어 의미와 비슷하게 참고 견디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똘레랑스는 '관용'이다.

나와 다른 남, 나와 같지않지만 틀리지않는 남을 인정하고 존중해주는 것이다.

알몸을 입은 채로 학교에 가게 되었지만 그저 나와 다른 남으로 피에로 가치 그대로 인정해주었던 선생님, 친구들.

옷을 입지않았지만 피에르가 가진 명랑함과 재치 등 좋은 점들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나와 다르다고 어찌 틀리다고 하거나 무시할 수 있겠는가.

어느 사회보다 차이를 이해하는 성숙한 배려가 필요한 이 사회에 질문을 던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 42 | 43 | 4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