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음을 읽는 시간
이유진 지음 / 오티움 / 2021년 8월
평점 :
나는 인생을 축제처럼 살기 위해
죽음을 공부하기로 했다
- 도서 죽음을 읽는 시간 중
차를 타고 가다가 라디오 보험 방송에서 사망 보험이 비싸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러면서 이런 말을 했다.
"누구나 한 번은 죽거든요. 그래서 100% 일어날 상황이죠."
그 때 순간 다시 깨달았다.
아, 맞다. 누구나 한 번은 죽는구나.
뉴스에서는 많은 사건, 사고, 병으로 죽은 사람의 이야기가 매일 나온다.
죽음은 삶과 맞닿아있고, 언제 누구에게 닥칠지 모른다. 하지만 반드시 한 번은 온다.
그렇다면 죽음에 대해 어떤 생각과 태도를 가져야할까.
죽음은 막연하게 두렵고 피하고 싶고, 좀더 늦추기 위해 발버둥쳐야하는 것일까.
현대에서 삶과 죽음을 가장 많이 만나는 곳은 아마 병원이 아닐까 싶다.
자주보는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의 작품소개를 봐도 '누군가는 태어나고 누군가는 삶을 끝내는, 인생의 축소판이라 불리는 병원'이라는 말이 있다.
그야말로 누군가의 삶이 시작되고, 많은 사람의 삶이 마감되는 곳.
병원의 의사와 의료진들이 사람들의 삶과 죽음을 가장 많이 만나는 사람이 아니겠는가.
사람의 삶과 죽음을 가장 많이 만날 의사의 시각으로, 삶과 죽음에 대한 태도를 쓴 책을 읽어보았다.
노을 지는 풍경을 예상하게하는 노란색과 주황색의 색채가 인상적인 표지의 <죽음을 읽는 시간> 이 그 책이다.
한국인이면서 미국에서 정신과 의사이며 호스피스 완화의료 세부 전문의인 저자 이유진님.
인생을 축제처럼 살기 위해 죽음을 공부했다는 말에서나, 뒷표지의 말에서 이 책은 결국 삶과 인생을 사는 태도에 대한 이야기구나 생각되었다.
죽음을 이야기하며, 한 번 뿐인 인생을 어떻게 살면 좋겠다라는 것을 우리에게 전달하고자 한다고 생각한다.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관한 이야기는 이전에 읽은 '포기할 수 없는 아픔에 대하여' 에서 들어서 알게 되었다.
그 책에서도 의사의 시각으로 병원생활과 환자, 죽음에 대해 이야기를 한다.
'죽음을 읽는 시간'은 저자가 의사라는 것은 공통점이지만, 저자가 정신과 의사라 경험하고 느끼는 것이 달라
병원과 의사의 또 다른 면을 볼 수 있었던 것 같아서 재미있었다.
호스피스 완화는 죽음을 앞둔 환자의 의지에 따라 병원에서의 치료를 중단하고, 가정으로 돌려보낸다.
그렇다고 치료를 모두 포기하고 그 사람을 포기하는 것은 아니다.
죽는 순간까지 병원에서 약물과 치료에 의지하며 소중한 시간을 쓰는 것보다, 가족들과 시간을 보내고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무작정 보내는 것이 아니라, 가정에서 쓸 수 있는 필요한 약품을 처방해주고, 위급 상황이 발생할 때 대처법들을 교육해 준다.
이런 것들을 보면서 이제는 정말 사는 것, 생존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구나.
어떻게 살고, 어떻게 죽음을 준비하느냐, 그 안의 사람의 감정과 행복이 중요하구나 싶었다.
이 책에는 서른네 가지의 각기 다른 삶과 죽음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있다.
대부분은 어떻게 살 것인가와 어떻게 죽을것인가에 대한 이야기이고, 일부는 한국과 미국에서 저자가 병원에서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그리고 또 일부는 저자 자신의 이야기이다.
총 3부분으로 나뉘는데, 1장은 죽음을 공부하는 의사로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한국의사인데 왜 미국에 가서 의사를 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의 어려웠던 에피소드들이 나와있다.
저자가 만난 환자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정신과의사라 직접적인 치료보다는 상담을 하고 그 증상에 맞는 약물 처방을 하고 있다.
정신과하면 요즘 우울증, 공황장애 등을 겪는 사람들이 가는 곳이라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몸의 병으로 인해 마음의 병이 생겨 찾는 사람도 많이 있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첫 이야기, 혀를 잃은 남자였다.
혀에 암이 생겨 결국 치료를 위해 혀를 절단하게 된 남자.
혀가 없으니 입에 침이 자꾸 새고, 발음도 이상하며, 음식의 맛을 느낄 수 없다.
음식을 먹는데도 시간이 많이 걸리니 평범하게 식당에 가서 친구들과 밥을 먹는 일상생활도 힘들다.
그로 인해 직장도 잃고 그는 우울증에 자존감이 바닥을 쳤다.
나라도 그럴 것 같았다. 정말 사는 낛이 없을 것 같았다.
하지만 면담치료와 약을 복용하고, 1년여의 정신과 치료가 이어지는 동안 그는 재활치료를 통해
미각 대신 후각을 통해 음식이 주는 즐거움을 느끼게 되었고, 혀대신 목의 다른 근육들을 통해 말을 하는 법을 배웠다.
이외에도 중증의 병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때, 정말 버티기 힘들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사람들에게 면담과 적절한 약물치료로 다시 살 수 있는 힘을 북돋아 주는 것이 저자의 역할이었다.
2장에서는 죽음에 대한 이야기이다.
남은 삶이 단 하루라도 후회없이 살기 이해, 치료를 거부했던 사람들의 이야기, 죽음을 앞둔 사람들의 이야기, 사랑에 대한 이야기가 이어졌다.
인상깊었던 것은 '초보자를 위한 죽음 안내서'였다.
통계적으로 열 명 중 한두명은 예고없는 죽음을 맞이한다고 한다. 반대로 대부분은 예고된 죽음을 맞이한다.
모두가 죽음은 처음 겪는 초보자이다. 이럴 때 죽음을 맞이하고 준비하며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
읽으며 죽음에 대해 많이 생각하게 해 주었다.
3장은 삶에 대한 이야기이다. 아프고 힘들어도 그래도 삶이다.
앞에서도 저자는 죽음을 이야기했지만 결국은 삶을 어떻게 살아야하는지, 그 죽음을 준비하는 삶에 대해 이야기했었다.
3장에서는 죽음이 꼭 한 번은 찾아온다고 해서 우리의 삶까지 그에 초점을 맞춰 살아야할까?
여러가지 삶이 나온다. 불치의 병을 안고 살아가야하는 사람들, 암이 치료되었지만 재발의 위험에 두려운 사람들,
곧 죽을 것이기에 지금 죽고 싶다는 사람.
어려운 상황 속에 있지만 치료를 받고, 마음을 바로 잡으면서 다시 살게 된다.
저자는 이야기한다.
삶은 고통이라고. 우리는 행복하기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니라 어쩌다보니 태어난 것이라고.
그러니 매 순간 행복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만큼 피곤한 인생도 없다.
삶이란 애초에 고통으로 가득차 있는데 그 고통을 완화하며 사는 것이 인생이라고 생각하는 편이 낫다.
우리는 결국 모든 것을 잃어버리고 죽을 운명이다.
이 책에서 나는 많은 죽음과 아픈 사람들을 만났다.
그리고 그들이 정신과적 치료를 받는 것을 보았고, 저자의 생각을 읽어보았다.
어렸을 때는 막연하게 나와 죽음은 멀리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내가 어찌할 수 없는 갑작스런 일들이 생기고, 주변의 사람들이 아프고,
뉴스에서의 사건 사고들을 보면서 사고와 병, 죽음은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다는 걸 깨달았다.
그런 것들에 휩쓸려 갈 수 밖에 없는 것이 안타까웠다.
책을 읽고는 내가 알고있던 것보다 더 많은 죽음을 보았고,
그 덕분에 죽음에 대해 부정적으로만 생각했던 내 자신을 돌아봤다.
죽음은 그냥 죽음이다.
그것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현재의 삶을 충실하게 살라는 것이 이 책의 메시지가 아닌가 싶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