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 플라톤의 대화편 현대지성 클래식 28
플라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승 소크라테스의 죽음 이후 아테네를 떠나 여행을 마치고 돌아온 플라톤은 서양 문명의 가장 오래된 학문 연구기관인 "아카데메이아"(아카데미아)를 창설, 스승의 대화를 기록한 위대한 저작을 남겨 놓았다.

언제나 읽을 수 있을까 싶었던 플라톤의 저작을 통해 나또한 성인 소크라테스를 비로소 스승으로 삼을 수 있게 되어서 기쁘다. 플라톤의 아카데이아에서 기원전 84년 아리스토텔레스가 배출되었으니 스승의 사상을 후세에 오래도록 전달하기 위해 매진한 플라톤의 삶에도 동시에 경의를 표하는 게 좋겠다.

변명, 크리톤, 파이돈과 향연의 네 편이 수록된 플라톤의 대화편 중 가장 인상 깊은 글은 그 중 파이돈이었다. 육체와 정신에 관한 철학적 시선과 크고 작음의 분별을 배운 것으로도 마음이 벅찼다.

마을학교에 참석하고 있었던 올 해, 오늘 플라톤의 이 초록색 책은 나와 함께 하동으로 견학을 다녀왔다. 푸르게 빛나는 섬진강의 물결과 모래톱이 햇살에 반짝였다.

어느 시대, 어느 국가, 어느 위치나 장소에서건 우리 몸은 영혼을 떠나 한 권의 책 속에 머물 수도 먼 언젠가의 추억에 잠기기도 아직 오지 않은 미지의 가깝고 먼 순간에 이르기도 한다.

몸살기운에 약을 먹고 출발했던 여정중에 파이돈의 한 구절 들을 비몽사몽으로 읽어내려가고 있었다. 집에와 다시 만나는 파이돈의 나머지 장면들은 무척 따뜻하고 감미로왔다.

111쪽. 진정한 의미에서의 절제로 보이는 것도 사실 그 이면에는 그런 동기가 작용하고 있다네. 그러니까 그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즐거움에 지배당한 상태에서 그 즐거움을 잃게 될 것이 두려워서 어떻게든 그것을 지켜내기 위해 다른 즐거움을 포기하는 것이지.

211쪽. 아케크라테스, 우리의 동반자, 그러니까 우리가 지금까지 겪어본 사람들 중에서 가장 훌륭하고, 게다가 가장 지혜로우며 가장 저의로운 인물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는 그런 분의 최후는 이러했소.

책의 순서도 무척 조화롭다.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 당신도 눈부신 날 언젠가 꼭 읽어내려갈 수 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