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사랑스런 옛 물건 - 낙랑시대 상다리부터 대한제국 베이킹 몰드까지, 유물을 만끽하는 새로운 감상법
이해인 외 지음 / 책밥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디자인 브랜드 '이감각'에선 어떤 작업이 이루어 지는 걸까 궁금해졌다. 온고지신이란 말을 오늘 오전에 다시 들었는데, 이들의 작업이 바로 그거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전통이라 불리는 박물관 전시실의 물건들이 하나씩 소환되어 그것의 현대적인 미감을 자신의 관점들로 해석하고, 분류하여 정리한 책이다.

프롤로그의 설명이 좋다. 북유럽 디자인이나 자포니즘, 아메리칸 스타일은 있는데 한국 디자인이 무언지 고민한 흔적. 서양 디자인사를 배운 이들이 향한 곳은 우리의 박물관.

각 유물들은 홈데코, 퍼니처, 다이닝, 데스크, 패션, 아웃도어 등으로 분류했다.

청자나 백자의 다양한 작품들이 전체 부분에 걸쳐 언급된다. 고려의 이규보의 문집 <동국이상국집>에 수록된 향을 즐기는 장면, 청자 투각 칠보모늬 향로의 세 마리 토끼, 이 책으로 처음 접한 백자 투각 연당초문 향로는 개구리가, 청자 참외 모양 병은 나도 모르게 그림으로 그려 두었다.
(작년부터 도자기나 금동보살 같은걸 한번씩 수채화로 그려보는 중이다. )

국립고궁박물관의 앙증맞은 시계는 카톡 프로필 배경으로도 넣어 두었다.

몇 가지 책에 소개된 유물 중 더 소개하고 싶은 물건은 정조대왕이 쓴 것으로 추정된다는 벼루 하엽연. 가로 길이만 81cm의 대단한 스케일의 애완물.

벗에게 시를 보내는 통이었다는 죽제용기, 꽃모양 대나무 지통, 장옷과 버선, 우산대신 쓰던 방수모자 갈모, 호랑이 표정이 귀엽기 까지한 남자 어린이 두건 호건, 겨울 패션 아이템 남바위, 길이가 짧아진 통치마 깡동치마, 수행 승려들의 텀블러(?!) 청동 은입사 정병과 향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았던 은제 금도금 주자와 받침도 그렇고, 금도금 잔과 잔받침, 청자 죽순모양 주전자, 청자 두 귀 병 그리고 청자 원숭이 모양 도장까지. (고려시대에 귀족들이 원숭이를 애완용으로 길렀다고 한다. )

휴대용 앙부일구, 휴대용 묵호와 붓. 나침반과 묵직해 보이는 찬합, 물고기와 수초가 담긴 대야 세, 백자 양각 매화문 탁잔은 너무나 사랑스럽다.

벽걸이와 조선표 카펫 모깔개, 용과 도깨비. 토끼와 달이 어우러진 은제주전자, 대한제국의 베이킹 몰트는 그 시절 조선인들의 삶을 떠올리게 하는 물건 그자체다.

고궁박물관이나 박물관의 여러 시대별 관에 분류되어 서로 교류하기 힘든(?) 옛 물건들을 한 자리에 소환하여 우리 옛 물건들의 디자인적인 기원을 확인하고 한국의 미감에 대해 이해하면 우리의 것은 이미 사랑받아 마땅한 유물임을 넌지시 알려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