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이덕일 / 김영사 / 200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 그대로 송시열에 대한 비판서이다. 
지은이의 입장이 워낙 뚜렷하고 사건 위주로 내용을 전개해서 
마치 소설을 읽는 듯 쉽고 재미 있었다. 

조선 전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가장 반동적인 사건이 '인조반정'이다. 
광해군의 폐모(인목대비)와 살제(영창대군), 명나라에 대한 배신 등의 이유를 들어 쿠테타를 일으킨 서인 세력들은 주자학의 이념으로 구체제를 수호하고자 했던 수구세력이다.  
그 중심에 송시열이 있다.
시대 변화의 흐름을 거역하고 사대부 이익을 대변하는 주자학을 절대시하며 역사의 흐름을 거꾸로 돌려 논 사람이다.
주자가 신앙의 대상이 되다 보니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처럼 자기는 정(正)이고, 자기와 대립되는 모든 존재들은 사(邪)가 된다.  
그래서 적을 양산하게 되고 수많은 당쟁을 유발하게 된다. 
그 과정을 거치면서 노론은 더욱더 단단히 뭉쳐 조선이 끝날 때까지 정권을 장악하고 현재까지 그 세력이 이어지고 있다.   

지은이는 송시열을 사대부 계급의 이익을, 그 중에서도 노론의 이익을 대변했던 인물로 평가한다.  
 
<논어> '위정편'의 "군자는 두루 통하고 편벽되지 않지만 소인은 편벽되고 두루 통하지 못한다(子曰 君子 周而不比 小人 比而不周)" 는 구절을 들어 송시열은 성인이 아닌 소인으로 결론 내린다. 

개인적인 삶으로 볼 때 송시열은 자신에게 가장 엄격한 인물이었다고 한다. 
 <소학>을 수신 교과서로 삼아 주색을 멀리함은 물론 검소한 생활, 지극한 효성, 부인에 대한 예우 등 많은 제자들이 따를 만했다고 한다. 

하지만 균형 감각 없는 신념 윤리의 위험성을 그에게서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