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앞에서 - 한 사학자의 6.25 일기
김성칠 지음 / 창비 / 199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신문에서 '김기협의 페리스코프'라는 책을 소개하는 글을 읽다가 지은이가 김성칠님의 아들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김성칠님의 일기가 수록되어 있다.
수록된 글 중에서 협아라는 이름이 나와 어떤 사람일까 궁금했는데 뜻하지 않은 곳에서 그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부전자전이라는 말을 떠올리며 즉시 인터넷으로 책을 주문했다.

책을 받기 전에 다시 한번 '역사 앞에서'를  꺼내 들었다. 
전에 한번 읽었기 때문에 쉽게 읽으리라 생각했지만 진도가 잘 나가지가 않는다.
여기저기 밑줄이 그어져 있는 문장들도 낯설다.
그래서 이번에는 자세히 읽으려고 노력했다.
노력의 결과인지 우연인지 '양주사'를 두보의 작품이라고 한 오류도 발견할 수 있었다.
많은 글 중에 이런 오류는 그야말로 옥의 티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대구고보 2학년 때 독서회 사건으로 어린 나이 때문에 미결수로 1년간 복역
1932년 동아일보 농촌구제책 현상공모에 1등으로 당선
현재의 농협에 해당하는 금융조합에 근무
박지원의 '열하일기' 에 대한 관심 등으로 보아 상당히 현실적인 사고를 갖고 있는 것 같다.

목숨을 걸고 좌우로 나뉘어 싸우던 대립의 시기에 이데올로기의 노예가 되지 않고
차근차근 현실을 풀어나가는 학자적인 모습과
젊은이들을 아끼는 교육자적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남이든 북이든 민족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는 자세는 남북문제를 해결하는 열쇠가 될 것이다.

일기를 읽으면서 이념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주의자,
진리를 추구하는 지성인,
민족의 장래를 걱정하는 교육자로서의 화자의 모습이 떠올랐다.

나도 일기를 써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