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개혁 길 위를 걷다 - 오늘 만나는 종교개혁 영성의 현장
김성영 외 지음 / 두란노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종교개혁 500주년이라는 말은 올해 초부터 들어왔던 이야기다. 사실 듣기는 했지만 종교개혁은 역사시간에 배웠던 개념 중 하나일 뿐이고 마틴 루터, 존 칼뱅 같은 인물들도 이름만 알 뿐이었다. 내가 아는 건 성경으로 돌아가고자 했다는 그 정도일 뿐. 주기철 목사님은 일사각오와 그분에 관한 책으로, 손양원 목사님은 자신의 아들을 죽였던 이를 용서하고 양자로 삼았다는 그정도만 알고 있었다. 그리고 종교개혁이 어떤 시대적 상황에서 일어난 건지, 어떻게 흘러갔던 것인지에 대해서는 알지도, 알고 싶어하지도 않았다.

2017년이 끝나가는 이 시점에서 나에게 온 책. 이 책을 읽으며 내가 너무나도 쉽게 믿고 있는 하나님을 전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희생했는지, 역사적으로 어떻게 흘러왔는지에 대해서는 좀 알아야하지 않겠냐며 말씀하시는 것 같았다. 책의 내용은 루터의 5대 솔라인 '오직 성경', '오직 믿음', '오직 그리스도', '오직 은혜', '오직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주제에 맞춰 의미를 담아냈다고 한다.

종교개혁은 루터가 타락한 로마 교회를 향한 면죄부 반박문 95개조를 붙이면서 시작된다. 하나님의 은혜로 부여된 복음을 말하며 변질된 중세교회를 향해 횃불을 든 것이다. 세계사적으로도 잘 알려진 이 사건이 일어나기 전의 루터의 성장 배경부터 시작되고, 95개조 반박문 이후 루터가 죽을 고비를 넘기면서 숨어서 독일어로 성경을 번역했고 이를 통해 복음이 흘러갔다. 독일에 루터가 있었다면 스위스에는 츠빙글리가 있었다. 츠빙글리를 통해 스위스의 개혁교회가 시작되었고 스위스는 성경에 근거를 두지 않은 교회의 모든 전통을 거부하며 나중에는 스위스와 독일의 종교개혁은 각자의 길을 걸었다고 한다. 이들 이후에도 장 칼뱅, 아르미니우스, 에라스무스, 존 웨슬리 등을 통해 스위스, 영국의 종교개혁의 맥이 이어졌다. 다음에도 믿음으로 주를 따르며 말씀을 사랑했던 영국과 스코틀랜드의 개혁자들이 있었고, 많은 순교자들이 소개되었다. 그리고 우리에게 익숙한 청교도에 대해서도, 이름은 생소한 웨일스 부흥도 다루고 있다. 이후에는 한국 선교를 위해 헌신한 알랭, 언더우드, 아펜젤러 등의 인물들의 이야기도 나온다. 물론 한국 땅에서 순교의 피를 흘렸던 토마스 선교사를 비롯해 한국의 주기철 목사, 손양원 목사, 길선주 주 목사의 이야기도 나온다. 그 이후의 현대 교회의 역사와 우리가 잘 알고있는 이름도 많이 나온다.

읽으면서 우리가 세계사, 한국사를 공부하며 배웠던 많은 이름들이 나와서 반가웠고, 이름만 알고 그들의 희생과 헌신에 대해 제대로 알고 나도 그렇게 살고자 발버둥치지 못해서 죄송한 마음도 들었다. 책의 서문에서 말한 것처럼 한국 교회는 기념하는 것을 좋아하지만 이 종교개혁에 대한 관심이 기념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흩어진 마음을 다잡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요즘 영적으로 어두운 시간을 보내고 있었는데 오늘부터 동역자들과 함께 말씀 읽기, 큐티, 기도를 다시 시작했다. 이 새로운 발걸음을 통해 하나님께서 일하시기를 바라고 기도한다. 그리고 이 시간들이 이 땅과 민족을 위해 기도할 수 있는 귀한 시간이 될 수 있기를..

더 많은 사람들이 종교개혁의 발자취를 함께 따라 다시 성경으로, 믿음으로 함께 발걸음을 옮길 수 있기를 바라고 기도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