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과 나 - 배명훈 연작소설집
배명훈 지음 / 래빗홀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 발행일 : 20231114

* 페이지 수 : 304

* 분야 : SF 소설 / 한국 소설

* 체감 난이도 : 약간 쉬움


* 특징

1. SF가 아닌 것 같은 SF

2. 과학적 설명이 없음


* 추천대상

1. 화성으로 이주한 인간들의 모습을 미리 그려보고픈 사람

2. 한국식 SF를 좋아하는 사람


♣♣♣







이 책은 화성 이주를 주제로 한 6편의 SF 단편이 실린 단편소설집이다. 국내에서는 최초로 선보이는 화성 이주 관한 연작 소설이어서 인지 작품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도 신선하고 흥미로웠다. 화성 거주 구역에서 살인사건이 발생한다면 어떻게 될까, 지구와 화성 간의 장거리 연애는 가능할까, 화성의 인구가 늘어난다면 그들은 어떻게 그곳을 꾸려나가야 할까 등 각 작품들은 언젠가 우리가 마주할지도 모를 문제들을 보여주고 있었다.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국제정치학을 전공한 SF 작가여서 저자는 외교부로부터 화성 이주에 관한 연구 의뢰를 받아 화성의 행성정치 : 인류 정착 시기 화성 거버넌스 시스템의 형성에 관한 장기 우주 전략 연구라는 상당히 있어 보이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한다. 그 연구를 하는 동안 작가가 상상하고 고민했던 것들이 이번 작품들 속에 녹아 나온 것 같다. 그는 작가의 말에서 그가 했던 연구의 최종 목표는 그럴듯한 예측보다 언젠가 화성에서 살게 될 사람들이나 인류의 화성 진출을 꿈꾸는 사람들이 겪게 될 문제를 미리 고민해 보는 것’(p. 302~303) 이었다고 말한다. 그의 말처럼 책 속 작품들을 읽고 있으면 머릿속에 하나둘씩 스토리와 관련된 질문이 떠올랐고, 이는 미래의 우리가 고민해 봐야 할 문제이자 지금의 우리에게도 연결되어 있는 것들이었다. SF 작가는 지금 이 순간과 미래의 어느 날을 한꺼번에 담아낼 수 있는’(p.303) 자질이 필요하다는 그의 말이 이해가 되었다.


화성으로 뻗어 나간 인간의 삶도 여전히 인간의 삶이었다. 막연하게 화성에서의 삶은 지구에서의 것과는 많이 다를 것이다라고만 상상해왔는데, 실제로는 이 소설이 보여주는 모습과 비슷할지도 모른단 생각이 들었다. 소설에서는 삶의 터전이 되는 공간이 화성으로 옮겨간 것일 뿐, 그 공간을 살아가는 인간의 생각, 감정, 상호작용 등은 비슷했기 때문에 지구에서의 삶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화성에서 흘러가는 인간의 삶도 결국 인간적일 것이다. 긍정적인 의미에서나 부정적인 의미에서나 모두 말이다.


화성으로 미래 여행을 다녀온 기분이다. 아직도 머릿속에는 붉은 모래가 날리는 듯하다. 내가 살아있는 동안 화성 이주계획이 어느 정도로 실현될지는 모르겠지만, 이 책을 읽은 나는 오늘의 상상이 실제와 얼마나 비슷할지 앞으로의 미래가 궁금하고 기다려진다.


미래에 화성으로 이주한 인간들의 삶의 모습을 미리 그려보고 싶은 사람, 복잡한 과학 설명이 없는 SF 소설을 찾는 사람, 한 권의 책을 통해 머나먼 시공간으로 떠나보고 싶은 사람에게 이 책 <화성과 나>를 추천한다.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