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홍은주 옮김 / 문학동네 / 2023년 9월
평점 :

♣♣♣
* 발행일 : 2023년 9월 6일
* 페이지 수 : 768쪽
* 분야 : 일본소설
* 체감 난이도 : 보통
* 특징
1. 소설이 보여주는 세계의 이미지가 매력적임
2. 모호하게 느껴지는 것이 많음
3. 1부의 내용이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와 비슷함
(중간부터는 전혀 다름)
* 추천대상
1. 하루키가 그려내는 환상적인 세계가 궁금한 사람
2.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를 좋아했던 사람
♣♣♣


【 “도시는 높은 벽으로
사방이 둘러싸여 있어.” 너는 이야기를 시작한다. 침묵의
밑바닥을 뒤져 말을 찾아 온다. 맨몸으로 심해에 내려가 진주를 캐는 사람처럼. “그다지 큰 도시는 아니야. 하지만 한눈에 다 들어올 만큼 작지도
않아.”
네가 그
도시를 입에 올린 건 이번이 두번째다. 그렇게 도시에는 사방을 둘러싼 높은 벽이 생겼다. 】 (p. 12)
한발작도 뗄 수 없을 만큼 마음이 힘들고 지친 사람들의 세계가 이러할까. <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은 사랑하는 연인을 포함하여
애타게 원했던 무언가를 상실했을 때의 인간이 느끼는 슬픔과 절망을 보여주고, 그것에 괴로워하다 자신만의
세계로 도피해 움츠리고 있던 한 인간이 서서히 마음을 치유해가는 과정 같다고 느꼈다.
마지막 장을 덮고도 한참이나 마음이 어지러웠다. 뭐가 뭔지 여전히 잘 모르겠다. 작가가 그려낸 세계를 더는 구경할
수 없는 것도 아쉽고, 그곳의 정체를 명확히 밝혀내지 못한 것도 아쉽다. 그렇지만 읽는 내내 즐거웠던 건 분명하다. 모호해서 아리송하긴 했지만
한편으론 모호하기 때문에 곁가지를 뻗어 나가며 다양한 생각을 이어갈 수 있는 점도 재미있었다.
나를 아프고 슬프게 했던 기억들,
심하게는 나를 무너뜨려 넘어지게 만든 기억들로부터 빠져나오는 데에 가장 필요한 것은 ‘용기’인 것 같다. 모든 것을 집어 삼키는 깊은 물 웅덩이 속으로 몸을
던질 수 있는, 빈틈없이 견고한 벽을 향해 정면으로 돌진할 수 있을 만큼의 용기 말이다. 때로는 나쁜 기억들이 나의 앞을 가로 막고 나를 밑바닥으로 끌어내릴지 몰라도.
그럼에도 용기를 내어 그 곳으로부터 스스로 걸어 나와야 한다는 것을 하루키는 말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사실 이 모든 것은 내 생각만큼 캄캄하지 않을지도, 견고하지 않을지도, 숨막히지 않을 지도 모른다. 그 웅덩이를 만들고 벽은 세운 것도
바로 나 자신이었으니까.
누가 그림자이고 누가 본체였든, 어디가
현실이고 어디가 가상이든, 그곳이 벽 안이었든 바깥이었든 그런건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것 같았다. 결국 그림자와 나는 뗄 수 없는 하나이며, 작가는 이 소설을 통해
아무리 도망치고 싶은 현실일지라도 다시 한번 너 자신을 믿고 현실을 살아 보라고 이야기한다고 느껴졌다. 세상이
나를 이해해주지 않고, 주저앉은 외톨이처럼 느껴지더라도 절대로 삶에서 도망치지 말라고, 포기하지 말라고 외치는 것처럼 들렸다.
지난번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에서 느꼈던 결말의 아쉬움을 이번 작품으로 달랠 수 있어 좋았다. 하루키가 그려낸 미지의 세계를 주인공과 함께 거닐며 이곳의 정체에 대해 생각해보며 참으로 즐거운 며칠을 보냈다. 출간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았지만 단박에 베스트셀러가 된 소설. 호기심이
생긴다면 주저없이 읽어 보길 추천하고 싶다. 특히나 무라카미 하루키의 전작 중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를 좋아했다면 꼭! 이 작품도 읽어 보았으면 한다. 비슷하지만 다른, 세계의 끝의 또다른 변주를 놓치지 않고 만나 보길 바란다.


【 “물론 무섭습니다. 생각만 해도 오싹해요. 하지만 우리는 이미 마음먹었잖아요. 애당초 이 도시를 만들어낸 건 당신 아닙니까. 당신에게는 그만한
힘이 있어요. 실제로 조금 전, 눈앞에 우뚝 선 단단한 벽을
무사히 통과했고요. 그렇죠? 중요한 건 공포를 이겨내는 겁니다.” 】 (p. 212)
【 “티없이 순수한 사랑을
한번 맛본 사람은, 말하자면 마음의 일부가 뜨거운 빛에 노출된 셈입니다. 타버렸다고 봐도 되겠지요. 더욱이 그 사랑이 어떤 이유로 도중에
끊겨버린 경우라면요. 그런 사랑은 본인에게 둘도 없는 행복인 동시에,
어찌 보면 성가신 저주이기도 합니다.” 】 (p. 449)
【 무엇이 현실이고, 무엇이 현실이 아닌가? 아니, 애당초 현실과 비현실을 구분짓는 벽 같은 것이 이 세계에
실제로 존재하는가?
벽은 존재할지도
모른다, 라고 나는 생각한다. 아니, 틀림없이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불확실한 벽이다. 경우에 따라, 상대에 따라 견고함을 달리하고 형상을 바꿔나간다. 마치 살아 있는 생명체처럼. 】 (p. 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