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학의 자리
정해연 지음 / 엘릭시르 / 2021년 7월
평점 :

♣♣♣
* 발행일 : 2021년 7월 26일
* 장르 : 추리소설/ 미스터리
소설/ 한국소설
* 페이지 수 : 336쪽
* 특징
1. 자극적인 내용
2. 뒷 부분의 반전 한방
* 추천대상
1. 추리·미스터리·스릴러 소설을
좋아하는 사람
2. 가볍게 읽기 좋은 책을 찾는 사람
♣♣♣
【 더는 지체할 수 없었다. 이곳을 떠나야만 했다. 잘못하면 모든 것이 엉망이 되고 만다. 그는 몸을 돌렸다. 차는 조금 떨어진 비포장도로에 그대로 서 있었다. 그쪽을 향해 걸었다. 올 때는 다현이 함께였다. 살아 있지는 않았더라도. 하지만 그는 이제 혼자다. 두 번 다시 다현이 그의 품에, 시간에, 삶에 들어오는 일은 없을 것이다.
차에 도착한 그는 운전석의 문을 열었다. 그러다 뒤를 돌아다 보았다. 호수는 여전히 고요했다. 뭔가를 두고 온 듯한 기분은 어쩔 수 없었다.
그런데 다현은, 누가 죽였을까? 】 (p. 9)
캄캄한 밤. 인적이 드문
호수. 그곳에서 준후는 시체가 된 다현을 호수 속으로 밀어 넣었다. 마흔다섯과
열여덟. 스승과 제자. 그들은 한때 열정적으로 사랑했던 사이였지만, 이제는 삶과 죽음의 경계로 나뉘어 다시는 만날 수 없는 사이가 되었다. 대체
그들에겐 어떤 사연이 있는 걸까.
궁금증을 불러일으키는 프롤로그의 장면에 이어서 소설은 바로 그들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밤 9시가 다 되어가던
시각. 고등학교 교사인 준후는 자신 앞으로 미뤄진 온갖 잡무들 때문에 퇴근이 늦어지고 있었다. 이쯤에서 적당히 마무리하고 마치려던 차에 그는 제자 다현으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한 통 받게 된다. ‘나쁜 짓 하자.’ 심상치 않은 한마디와
함께 다현은 준후 앞에 실제로 나타났고, 그들은 곧 그들의 교실에서 격정적인 사랑을 나눈다. 그런데 잠시 뒤 밖에서 누군가의 목소리가 들렸고, 준후는 경비원이
자신을 부른다는 생각에 다현만을 교실에 남겨두고 먼저 교실 밖으로 나갔다. 학교에는 경비원과 준후 둘
밖에 없었던 지라 경비원의 눈만 피하면 다현이 들키지 않고 학교를 빠져나갈 수 있었기에, 준후는 문자메시지로
다현에게 적당한 때에 나가라는 사인을 보냈다. 그러나 한참이 지나도록 다현은 답이 없었고, 걱정이 된 그는 교실에 다시 올라가 보게 된다.
【 하지만 눈앞에 펼쳐진 광경은 그의 예상과는 한참이나 거리가 멀었다. 그는
그 자리에 주저앉았다. 숨이 쉬어지지 않았고, 머릿속은 텅
비어버렸다. 다물어지지 않을 듯 크게 벌어진 입은 신음 소리만 겨우 내고 있었다. 찢어질 듯 크게 떠진 눈은 그곳에 붙박인 채 떨어질 줄을 몰랐다. 그는
숨도 쉬지 못했다.
교실 천장에 목을 매단 다현의 나체가 힘없이 흔들리고 있었다. 】 (p. 24)
천장에 매달려 있는 다현의 곁에는 칼이 한 자루 떨어져 있었고, 다현의 몸에도 무언가에 찔린 듯 보이는 상처가 여러 군데 나 있었다. 준후는
다현이 자살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타살이라고 확신했다. 그러나 유부남이었던 그는 자신의
반 학생과 교실에서 관계를 가졌고, 다현의 몸속에 그 증거가 아직 남아 있어 이 사실이 알려지는 게
두려웠다. 그래서 다현을 죽인 범인을 찾아야 한다는 생각과 동시에, 시신을
숨기기로 마음먹는다.
소설은 시작부터 자극적인 장면을 보여주어 시선을 사로잡았다. 자극적인 설정에 비해 전개 과정은 다소 무난했지만, 그래도 진범의
정체와 결말에 대한 궁금증으로 끝까지 읽었던 작품이다. 인친 새날님(@saenal_withbook)의
말씀처럼 이 소설은 스포만 조심하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내용이었다. 마지막에 기다리고 있던 반전은
예상치 못했던 것이라 놀라웠고, 반전 덕분에 깔끔하게 앞서 나왔던 떡밥들이 회수되어 만족스럽게 책을
덮었다.
<홍학의 자리>는 흥미로운 추리·미스터리·스릴러 소설을 찾는 이에게, 반전 있는 스토리를 좋아하는 이에게, 금세 몰입하게 되는 소설을 찾는 이에게 권해보고 싶은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