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순수의 시대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83
이디스 워튼 지음, 송은주 옮김 / 민음사 / 2008년 7월
평점 :
1870년대 뉴욕
상류층의 이야기다. 주인공 뉴랜드 아처는 누가 봐도 일등 신붓감인 메이 웰랜드와
약혼을 발표한다. 그러나 이들의 관계는 이혼을 앞두고 고향으로 돌아온 메이의 사촌 엘렌(올렌스카 백작 부인)의 등장 때문에 위기에 휩싸인다. 예쁘고 순수한 처녀 메이와 자유분방한 예비 돌싱 엘렌은 사촌 관계임에도 매우 상반된 개성을 뿜어내고 있었다. 당시 관습에 얽매인 뉴욕 상류 사회 분위기 속에서 너무나 도드라지게 튀었던 엘렌. 그 모습이 신선하면서도 동시에 공감이 갔던 아처는 약혼녀의 사촌에게 점점 끌리게 되는데…
조금만 더 신중하게 생각하고 약혼을 발표했더라면 좋았을 텐데. 뭔가 찝찝한 마음이 들었을 때 잠시 판단을 미루고 상황을 지켜봤더라면. 일이
꼬이긴 했지만 더 늦기 전에 솔직하게 모든 것을 고백했더라면… 성급함,
경솔함은 예나 지금이나 문제를 안고 오는 것 같다. 물론 아처의 마음이 전혀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은 아니다. 서로 조건이 잘 맞는다고 하여 좋은 한 쌍이 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적당히 괜찮은 사람이라고 하여 사랑을 오래 지속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결국
어떤 이성이 나와 잘 맞는지는 머릿속으로 따지고 재는 것보다 관계를 이어가며 쌓이는 경험을 통해 깨닫게 되는 것이 많으니 처음과 다르게 마음이
변할 수는 있다. 그러나 아무리 사랑이 나도 모르게 빠져드는 것이라 해도 최소한의 선은 지켜야 하는
것 아닐까.
로맨스 소설로만 바라보자면 답답한 내용이지만 이 소설은 또 다른
메시지로도 다가온다는 점에서 매력적이었다. 지켜오던 것을 그대로 순응하고 따르는 것과 자유롭게 선택하고자
하는 욕구. 사회가 정해 놓은 기준에 맞춰 똑같은 삶을 살아내는 것과 내가 나로서 존재하고 생각하는
삶. 메이와 엘렌을 두고 벌어진 삼각관계는 앞서 말한 두 가지를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것 같기도 했다. 시대가 변해도 언제나 흥미로울 수밖에 없는 치정 문제에 이것을 엮어 놓으니 더욱 몰입해서 읽게 된다. 또한 메이와 엘렌 두 상반된 캐릭터가 성장 배경의 차이로 인해 전혀 다른 성격이 만들어진 점이나 아처가 생각했던
것과 달리 메이가 그다지 어리숙하지 않았던 모습에서 그 당시 뉴욕 상류 여성들에게 씌어진 굴레의 무게가 느껴져 페미니즘적인 요소가 녹여져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고, 그들이 그렇게 중요하게 여기고 지키려 했던 인습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장면에서는 지금 우리가 중요하다 생각하는 사회의 여러 기준들 또한 영원히 그 가치를 보존하진 않을 것이란 생각을 심어주어
의미 있게 읽혔다.
【 “안들어도 뻔해. 아, 밍고트 가 족속들이란······. 하나같이 똑같아! 태어날 때부터 판에 박힌 듯해서 자네가 도저히 어떻게 해 볼 수가 없다고. 내가
이 집을 지었을 때 다들 내가 캘리포니아로 이주하려는 줄 알았지! 아무도 40번가 위쪽에 집을 지은 적이 없었으니까. (···중략···) 그들 중 누구도 남과 다르게 되고 싶지 않은 거라고. 남보다
튀는 걸 천연두만큼이나 무서워해.” 】 (p. 193)
【 “난 이제 외롭지 않을
거예요. 전에는 외로웠어요. 두려웠지요. 하지만 공허함과 어둠은 사라졌어요. 이제 나 자신에게로 돌아오니
한밤중에도 항상 밝게 불이 켜져 있는 방으로 들어가는 어린아이 같은 기분이에요.” 】 (p. 218)
【 이제 그는 과거를 돌이켜보면서 자신이 관습 속으로 얼마나 깊이 가라앉아 버렸는가를 절감했다. 의무를 다한다는 것의 가장 나쁜 점은 그밖의 다른 일을 하는 데는 분명히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적어도 그의 세대 사람들은 그랬다. 옳은 것과 그른 것, 정직과 부정직, 존경할 만한 것과 그렇지 못한 것 사이에 명확한
경계가 그어져 있어서 미처 예측하지 못한 것이 존재할 여지가 거의 없었다. 자신이 사는 세계에 너무나
쉽게 길들여져 있던 상상력이 갑자기 평범한 일상을 뚫고 솟아올라 널따랗게 펼쳐진 운명을 조망하는 순간이 있다. 아처는
거기에 매달려서 의아해했다······.
】 (p. 430~431)
이 작품은 1921년
퓰리처상 수상작인데, 당시 심사위원들은 이 작품을 “미국의 건전한 생활 분위기와 미국인들의
예의범절 및 남성적 미덕의 가장 높은 기준을 표현했다”(p. 445)고 평하며 수상
이유를 밝혔다고 한다. 심사위원들의 공감할 수 없는 순수한 심사평에 놀라웠고, 이디스 워튼 본인 또한 제목의 역설적 의미를 알아채지 못한 심사위원들에게 놀라움을 표시했다고 한다.
영화 같은 분위기의 마지막 장면이 인상적이었다. 내 예상과는 다른 결말이라 의외였지만, 오히려 현실적으로 느껴지고
주제를 더 강조하는 느낌이 들어 좋았다. 1870년대 뉴욕 상류사회의 모습을 자세히 잘 표현했다고 하니
당시의 모습이 궁금한 사람들이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막장 드라마 같은 설정의 고전 로맨스 소설이지만
그 속에 다양한 비유와 메시지를 읽을 수 있는 매력적인 작품을 만나고픈 이에게도 권해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