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드셋 - 스탠퍼드 인간 성장 프로젝트
캐롤 드웩 지음, 김준수 옮김 / 스몰빅라이프 / 201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실패해도 끝없이 도전하는 사람이 있고, 한 번의 실패에 포기해버리는 사람도 있고, 넘어지는 것이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 흔히들 이것을 단순히 성격의 차이라고 생각하곤 하는데, 저자는 이에 대해고정 마인드셋성장 마인드셋중에서 어느 것을 가졌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라고 말한다. 고정 마인드셋은 자신의 능력이나 재능이 노력해도 바뀌지 않을 것이라 믿는 것이고, 성장 마인드셋은 노력하면 충분히 발전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재능이 곧 능력 그 자체라고 믿어버립니다. 하지만 사실은 끝없는 호기심과 도전정신이 재능을 키우는 것이지요. 재능은 능력일까요, 아니면 마인드셋일까요? 모차르트의 음악적 능력과 그가 손이 뒤틀릴 정도로 노력했다는 사실 중에서, 무엇이 모차르트의 재능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다윈의 과학적 능력과 그가 어릴 때부터 표본을 계속 수집해 왔다는 점에 대해서는 어떻습니까? (p. 103)



우리가 재능으로 성공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재능만으로 그 자리에 오른 것은 아니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엄청난 노력을 했기에 가능했던 일이고, 성장 마인드셋이 바로 이러한 노력을 하도록 이끄는 것이었다.


책은마인드셋이란 무엇인지 설명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최고의 자리에 오른 사람들의 마인드셋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아이들에게 마인드셋을 가르치는 방법과 마인드셋을 바꾸는 방법을 알려주며 끝을 맺는다.


책 속 내용 중 학업이나 직업적인 성취뿐만 아니라 대인관계에서도 성장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이 관계를 더 잘 이끌어갔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고정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들은 애초에 서로 맞는 관계가 정해져 있다고 믿는 편이었다. 그러나 성장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들은 좋은 관계를 위해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실제로 그렇게 행동함으로써 더 나은 관계를 만들어갔다.


저자는 교사나 부모가 성장 마인드셋을 가졌다고 해도 아이들에게 그것이 대물림되지 않을 수 있다고 하는데, 그 이유로는 노력한 과정이 아닌 아이의 재능에 대해 칭찬하는 경우, 아이가 겪은 실수나 실패에 불안해하거나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경우, 교사가 이해보다는 암기 위주의 교육을 하는 경우에 그렇다고 한다. 아이의 양육에는 사소한 말 한마디나 표정, 작은 행동 또한 중요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느꼈다.


나 자신을 위해서도, 아이를 건강하게 키워내는 데에도 성장 마인드셋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었다. 좋은 부모나 좋은 교사의 모습에 대해 고민 중인 이에게,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마음가짐에 대해 알고 싶은 사람에게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