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소해서 물어보지 못했지만 궁금했던 이야기 2 - 일상에서 발견하는 호기심 과학 사소해서 물어보지 못했지만 궁금했던 이야기 2
사물궁이 잡학지식 지음 / arte(아르테)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소해서 물어보지 못했지만 궁금했던 이야기> 줄여서 사물궁이의 두 번째 편이 나왔다. 지난번 1권을 재미있게 읽었던지라 매우 기대되는 마음으로 2권을 만났다. 목차를 살펴보니 이번에도 역시나 재미있는 호기심들로 가득했다. 데자뷔 현상은 왜 일어나는 걸까?’, 화산에 쓰레기를 처리하면 안 될까?’, 가위바위보 게임은 공정할까?’‘, 버스에서 졸 때 도착할 때쯤 깨는 이유는?’, 수저 밑에 휴지를 까는 것이 정말 위생적일까?’ 등 총 40가지의 질문과 답이 실려 있었다. 평소 궁금했지만 주변에 물어보기엔 뭣하고.. 어디에서 답을 찾아야 할지도 애매했던 질문들에 대한 답이라 더욱 반갑게 느껴졌다.



얼마 전 아이가 화산에 쓰레기를 버리면 안 되냐는 질문을 했었는데, 뭔가 안될 것 같다는 느낌적인 느낌만 있을 뿐 왜 안되는지 제대로 설명해 주지 못해 답답했던 적이 있었다. 그런데 바로 이 질문에 대한 내용도 책에 실려 있어서 무척 반가운 마음으로 이 부분부터 펼쳐 읽어보았다. 책에서는 마그마의 온도가 섭씨 700~1,200인데, 일부 쓰레기의 경우에는 이 온도에서도 녹지 않는다고 한다. 그리고 성층 화산은 마그마를 밀어 올리는 성질이 있어 녹지 않는 쓰레기가 바닥에 가라앉지 않아’(p. 67) 용암과 쓰레기가 섞인 채로 화산이 폭발할 수도 있다고도 했다. 또한 마그마에 던져진 쓰레기가 연소하면서 해로운 가스들이 만들어져 대기 오염을 유발할 수도 있다고도 한다. 이 책을 조금만 빨리 만났더라면 아이에게 한 번에 멋지게 설명했을 텐데 싶어 아쉬운 마음이 들었다.



또 하나 기억에 남는 호기심은 자전거나 우산의 손잡이는 왜 끈적거릴까?’ 이다. 나는 그동안 이것을 깨끗하게 사용하지 못한 나의 탓이라고 생각해왔는데, 저자는 이에 대해 고분자 표면이 열이나 자외선, 산소 등에 의해 열화(·외부적 영향에 의해 손상을 입는 것) 되면서 고체의 성질보다 액체의 성질을 더 많이 가질 때’(p.156)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이러한 열화로 인해 끈적이는 경우에는 에탄올이나 파스, 살충제 등의 유기 용매를 이용하면 끈적임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p. 158)며 팁 또한 덧붙여 말했다.



<사소해서 물어보지 못했지만 궁금했던 이야기 2>는 어린아이들도 궁금해할 만한 질문들이 많지만 설명을 이해하기에는 조금 어려운 부분이 있을 것 같아 초등 고학년 이상의 아이들에게 권하고 싶다. 대답하기 곤란했던 아이들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 있거나 평소 호기심이 많았던 사람에게도 권해보고 싶은 책이다.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만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