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22 -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22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2년은 코로나 사태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의 원년Post Pandemic Paradigm, Year One이 될 것이다. 미국의 쇼핑 플랫폼 쇼피파이부회장 로렌 페이델퍼드는 코로나19는 타임머신 역할을 했다. 2030년을 2020년으로 가져왔다고 말한 바 있다. 한층 더 빨라지는 변화의 속도 속에서 많은 것을 준비해야 하는 2022년이 될 것이다. ( ··· 중략 ··· ) 잡아먹느냐, 잡아먹히느냐의 치열한 전장戰場이 될 2022, 우리의 함성이 호랑이처럼 포효하느냐 고양이 울음에 그치느냐는 이러한 코로나 이후의 트렌드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는가에 달려 있다. (p. 10~11)



언제부턴가 트렌드 코리아 시리즈가 한 해의 마무리이자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것들 중 하나가 된 것 같다. 서점에서 신년의 제목을 달고 있는 이 책을 발견하게 되면, 올해도 다 지나갔구나싶은 생각이 든다. 이번 2022년 편 역시 21년의 마무리용으로 읽으려고 했으나, (핑계지만) 시간에 쫓겨 3월이 되어서야 손에 쥐게 되었다.


<트렌드 코리아 2022>는 구성 면에서 이전과 다른 변화가 있었는데, 그것은 이번 해부터 책의 앞부분을 차지하던 ‘10대 키워드 회고 부분이 빠지고 작년의 한국 소비 시장을 5개 테마로 나누어 분석해 보는 부분이 새로 생겨났다는 점이다. 이 부분 덕분에 전년도의 키워드만을 회고하던 것에서 벗어나 보다 자유롭고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매일의 삶에서 어렴풋이 느끼고 있던 것들을 깔끔하게 분류·분석된 글로 다시 보니 세상에 대한 이해도가 훨씬 더 높아지는 것 같았다. 또한 각 트렌드 키워드에 대한 쉬운 설명과 함께 각각의 현상들에 대한 전망과 시사점까지 이어서 이야기해 주니 책 속 내용들 중 어디에 포커스를 두고 각자에게 적용해 보면 될지 짚어주는 느낌이 들어 좋았다.


대한민국의 2021년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빠뜨리고는 생각할 수 없었고, 2022년의 전망 역시 마찬가지였다. 코로나19는 모두에게 엄청난 재난이었지만, 시장의 흐름을 잘 파악하고 발 빠르게 변화한 누군가에게는 큰 기회가 되어주었다. 2022년의 트렌드가 궁금하다면, 남들보다 한 발 먼저 변화의 흐름을 읽고 그에 대비하고 싶다면 <트렌드 코리아 2022>를 읽어 보길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