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을 짓읍니다
박정윤 지음 / 책과강연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따뜻한 음식 에세이였다. 저자는 음식을 매개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풀어내고, 그 이야기의 끝에는 저자만의 레시피도 알려준다.


저자는 프롤로그에서 자신에게 음식은 외롭고 쓸쓸했던 지난 시절들의 정신적 허기를 채워준 위로’(p. 5) 였다고 말한다. 저자의 첫 번째 책인 <십이월의 아카시아>에 이어 이 책을 펼친 지라, 저자가 말하는 외롭고 쓸쓸한 삶이 어떤 것인지 어렴풋이 짐작하고 있었다. 엄마의 빈자리를 채워 주신 저자의 할머니. 저자는 할머니가 사랑을 담아 만들어 주셨던 음식들이 지금의 그녀를 만들었다고 말한다. 그녀를 위로해 준 음식들, 그 음식들과 이어진 기억과 추억이 궁금했고, 글이 전하는 분위기도 기분 좋게 느껴져 손에서 책을 놓지 못하고 계속해서 책장을 넘겨갔다.




된장이며 두부며 호박이며 양파며 고추며 대파도 본디 제가 있던 곳이 있었을 텐데 그곳을 떠나와 한 그릇 안에서 만나 서로 엉켜 있는 것 같았다. 사람과의 만남도 된장찌개 안의 그것과 같다는 생각을 했다. 운명과 같은 만남으로 각자 다른 삶을 살던 사람들이 서로의 삶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서로 엉키고 엉켜서 더 이상 타인이 아닌 나 자신이 된다. (p. 20)




할머니 집 마당에서 사람들과 북적거리며 김장을 하던 날들의 추억은 춥고, 맛있고, 따뜻했다. 그날들 이후로도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김치를 매일 먹지만 그때 할머니 김치처럼 맛있는 것을 아직까지 먹어보지 못했다. 앞으로도 할머니의 맛을 흉내 내려고 애를 쓰겠지만 불가능할 것을 잘 알고 있다. 어느 누구도 그때의 할머니처럼 나를 사랑할 수 없고, 그만큼 정성을 다한 음식을 만들어주지 못할 것을 알기 때문이다. 가슴으로 기억할 수밖에 없어서 더 간절히 그리운 그 맛. 나 역시 그만큼의 간절한 사랑으로 가족들에게 음식을 만들어 먹이고 싶다. 내가 곁에 없을 때에도 그 맛과 그 마음을 기억할 수 있도록. (p. 159)


할머니의 음식을 그리워하고 있는 나와 비슷한 마음을 발견해서인지 저자가 할머니의 이야기를 할 때에는 유난히 그 마음에 공감하며 읽었다. 저자의 말처럼 그 음식이 특별했고 그리운 것은 그 속에 담겨있던 마음을 함께 먹어서 였을지도 모른다.




이 책은 앞서 읽었던 <십이월의 아카시아>의 분위기와는 다르게, 온기 가득한 한 그릇의 음식을 먹고 난 것처럼 마음에 따뜻함이 차올랐다. 저자의 글을 읽고 있으니 내 기억 속 사람들이 자꾸만 그리워졌다. 마음이 가득 담긴 한 상, 다 같이 모여 앉아 즐겁게 먹고 이야기 나누던 시간. 당연한 것이고 영원한 것인 줄 알았던 그 시간들은 지나고 보니 당연하지도 영원하지도 않았다. 평범하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가장 특별했다는 걸 이제서야 깨닫게 되었다.


위로를 주는 따뜻한 감성의 음식 에세이를 찾는 이에게, 책 한 권을 통해 스스로의 마음을 보듬어주고 싶은 이에게 이 책 <밥을 짓읍니다>를 추천한다.




이 글은 박정윤 작가님으로부터 도서만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