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술의 마음 - 심리학, 미술관에 가다
윤현희 지음 / 지와인 / 2021년 7월
평점 :
절판

【 심리학자의 눈으로 빛이 담긴 그림을 감상하다 보면 화가의 삶의 이야기와 빛의 의미, 그리고 그들의 마음이 궁금해지곤 했다. 이 책은 그런 질문에 대한
답을 담았다. 화가들의 작품이 내포한 미학적 서정과 서사를 현대 심리학의 다양한 주제들과 연결시켜 이야기를
풀어냈다. 】 (p. 6)
‘미술’과 ‘심리학’의 만남 자체로 이 책은 충분히 나의 흥미를 끌었다. 저자는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것은 우리의 현실 속 문제를 읽어내는 단서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심리학자가 읽어주는
그림 이야기는 어떨지, 명화에 담긴 화가들의 마음과 그것을 통해 마주하게 될 나의 마음 속 이야기들은
어떤 것일지 궁금한 마음으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책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1부에서는 자신감을 높여주는 그림에 대해, 2부에서는 색깔과 심리의
관계에 대해, 3부에서는 내향적인 성격에 대해, 4부에서는
불안을 다독이는 법에 대해, 마지막 5부에서는 무의식에 대해
이야기한다. 책 속에 소개된 화가들은 총 15인이다. 이름이 익숙한 화가도 있고 처음 들어보는 화가도 있었다. 조현병이
의심되는 카라바조, 흘러가는 시간에 따라 변화된 내면을 자화상으로 표현한 렘브란트, 색채가 이끌어내는 감정을 그림으로 표현해낸 터너, 예민함의 힘을
보여주는 하메르스회, 빛의 공간으로 우리의 내면세계를 마주하게 만드는 제임스 터렐 등 열다섯 명의 화가들의
삶과 작품은 그 속에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었다.
【 그림을 본다는 것은 시를 감상하거나 소설을 읽는 것과 전혀 다르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적어도 창작자의 생각과 감정이 독자와 소통하기를 원한다는 점에서 모든 예술은 등가의 경험 아닐까. 보편적인 그림이라서 그 작품을 좋아하게 되지 않는다. 어떤 작품을
좋아하게 되는 이유는 그림이 내게 전하는 비밀스러운 속삭임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우리는 같은 그림을
보고 있지만, 내가 보는 그림은 당신이 보는 그림이 아니고, 미술책에서
보는 것과도 다르다. 많은 사랑을 받는 그림들은 여러 각도에서 관람자의 정신과 마음 속에 스며들며 말한다. “나는 당신을 위해 그려졌어요.” 】 (p.
337)
이 책은 미술작품을 들여다보며 화가의 마음을 헤아려보고, 그것에서 더 나아가 우리 자신의 마음도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만들어준다.
화가의 삶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가보고, 심리학적 측면에서 미술작품을 뜯어보는 것은 새로운
재미를 주었다. 왜 화가가 그런 대상을 그렸는지, 왜 그런
표현법을 택했을지, 그때 화가의 마음은 어땠을지 등을 생각해 보는 것은 작품을 더욱 깊게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주었다.
새로우면서도 재미있는 그림 이야기였다. 책의 마지막 장을 덮고 나니 미술 작품을 바라보는 시야가 조금은 더 넓어진 기분이 든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다시 움츠러들게 된 여름의 시간을 심리학자의 미술 해설로 색다르게 보내보는 것은 어떨까. 심리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 화가의 삶과 작품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이해해 보고 싶은 사람에게 <미술의 마음>을 권하고
싶다.
이
글은 ‘책과 콩나무’를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만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