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공식, 최대한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누구나 교양 시리즈 8
슈테판 클라인 지음, 김영옥 옮김 / 이화북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은 배울 수 있다!’라는 표지의 문구가 이 책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누구나 행복해지고 싶어한다. 그러나 행복은 내가 직접 노력해서 쟁취할 수 있다기 보다는, 그저 하늘에서 주어지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런데 행복을 배울 수 있다니나는 이 책이 이야기할 내용들에 궁금함과 기대감을 품고 책을 펼치게 되었다.





행복을 아는 사람만이 행복을 찾을 수 있다. 이 책은 여러분과 함께 좋은 느낌들을 찾아 떠나는 탐구 여행이다. 이 책을 통해 여러분은 좀 더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신경의학이 가져온 새로운 인식들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많은 정보를 얻게 될 것이다.


우리의 뇌 구조는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우리 모두는 행복과 즐거움을 비슷한 방식으로 체험한다. 그러나 이러한 느낌들이 어떤 결과를 낳는가는 서로 다를 수 밖에 없다. 결국 모든 사람의 행복은 그 인격만큼이나 유일무이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인 충고는 큰 도움이 될 수 없다. 궁극적으로 우리 모두는 자기만의 고유한 행복의 공식을 발견해야 한다. (p. 11)






<행복의 공식>은 행복이 어디에서 오는지 뇌과학적 관점에서 설명해주는 책이다. 뇌과학이라는 말을 들으면 다소 어렵지 않을까 생각할 수도 있지만, 많은 비유를 들어 설명하므로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책을 읽으며 내가 뇌와 감정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오해들을 풀 수 있어 좋았고, 저자가 말하는 행복의 비결을 들으며 행복한 삶에 한단계 가까워진 것 같아 더욱 좋았다.








육체적 느낌은 흥에 겨워 빛나는 눈, 혹은 변명이 탄로 났을 때 붉어지는 얼굴처럼 특정한 상황에 자동적으로 응답하는 육체의 반응이다. 그리고 이러한 육체적 느낌을 의식적으로, 즉 기쁨이나 부끄러움으로 감지하게 될 때 우리는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니까 육체적 느낌은 무의식적인 것이고 감정은 의식적인 것이다. (p. 37)



감정은 단순히 마음속에서 떠오르는 것이라고, 육체와는 별개의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그러나 저자는 특정 육체적 느낌들의 합을 특정 감정으로 의식한다고 설명한다.






책 속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부정적 감정의 분출이 우리를 행복한 삶과 멀어지게 한다는내용이었다. 힘들어하는 친구를 위로하기 위해 감정을 표출해내도록 하는 위로의 말을 한번쯤 건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울고 싶으면 실컷 울어.’ 같은 말들) 부정적 감정에는 꼭 배출구가 있어야 한다고 믿어왔다. 그러나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해내는 것이 더 그 감정에 빠져들게 한다는 것을 모르고 있었다.



부정적 감정을 표출하는 것은 뉴런들의 시냅스 연결을 강화 시켜, 특정한 불쾌한 감정이 더 자주 촉발될 수 있도록 만든다고 한다. 파블로프의 개가 메트로놈 소리만 들어도 침을 흘렸듯 말이다. 그렇게 되면 불쾌감이 아직 유발될 만한 상황이 아닌 데도, 강화된 뉴런들의 연결로 인해 아주 사소한 불쾌함의 징후들에도 불쾌한 감정이 솟아나게 된다.



그렇다면 유쾌한 감각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유쾌한 자극의 시냅스를 강화해서 유쾌함을 발견할 수 있는 조각들을 주변에 많이 심어 둔다면 우리는 사소한 것에도 행복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날씨가 뜨거우면 서늘한 그늘을 찾고, 몸이 얼 정도로 추우면 장작이 타오르고 있는 벽난로나 털이 복슬복슬한 담요를 찾는다. 즉 우리의 기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온도 그 자체가 아니라 우리 몸을 둘러싸고 있는 정황이다. 후텁지근한 여름날 상쾌함을 가져다주던 찬물 샤워는 겨울날 스키장에서 돌아온 언 몸에는 가당치 않는 일일 뿐이다. (p. 175)



행복감은 절대적인 어떤 조건을 충족시켰을 때 느끼는 것이 아니라, 현재에 처한 상황에서 조금 더 나아진 상태로 옮겨갈 때의 그 순간에 잠시 찾아온다. 배가 아주 고팠을 때 먹게 된 음식과 배고프지 않은 상태에서 먹게 되는 음식은 같은 맛 이어도 다르게 느껴진다. 결핍과 약간의 고통은 어쩌면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요소일지도 모른다. 그런 부족함과 불편함의 상태가 해소될 때 우리는 전보다 훨씬 강한 강도로 기쁨과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






삶을 평가할 때 우리는 만족을 행복으로 착각하는 실수를 대단히 빈번하게 저지른다. 그렇다면 그 둘의 차이는 무엇인가? 행복은 우리가 무엇인가를 경험하는 바로 그 순간 체험된다. 그러니까 행복이란 단지 현재에만 존재하는 것이다. 그에 반해 만족이란 그러한 행복의 느낌에 대해 우리가 머릿속에 간직하고 있는 무엇이다. 그러니까 만족은 되돌아보는 시선 속에 존재한다. (p. 300~301)



행복과 만족을 혼동했기에, 우리는 그동안 우리의 삶을 실제보다 덜 행복하다고 여겼던 걸지도 모른다.





책 속에서 찾은 행복해지는 방법들 중 기억에 남는 것은 아래와 같다.


1. 상심에 빠졌을 때는 성공이 보장된 손쉬운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부정적 사고의 사이클로 약화된 왼쪽 앞이마뇌를 다시 움직이도록 만든다.


2. 운동을 통해 작은 성취감을 느껴보는 것 역시 이 관점에서 도움이 된다. 게다가 운동은 그 자체로 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한다. 운동은 뉴런이 새로 형성되게 자극하고, 세로토닌과 엔도르핀을 방출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천연 항우울제 역할을 한다.


3. 행복일기를 써 본다. 내게 주어진 기쁨의 순간들을 글로 표현해 봄으로써 그것을 명확하게 각인 시켜 내 삶이 기쁨의 조각들로 채워져 있음을 확인하고 기억하게 한다.


4. 익숙한 것에서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기쁨을 느껴본다. 순간적인 기쁨의 순간을 온전히 느끼면서 그동안 나를 괴롭히던 근심과 불안을 잠시 잊어본다. 그리고 반복되는 일상의 권태에 새로운 자극을 추가해야 한다. 즐거움의 종류를 바꾸어 행복감이 무뎌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말이다. 새로운 만남, 새로운 도전, 그리고 책을 읽는 것도 좋을 것이다. ‘새로운 변화가 주는 즐거움을 기억하자.


5. 어떤 종류의 일이든 그것에 몰입하여 빠져드는 경험은 우리에게 좋은 감정을 일으킨다.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분비된 도파민은 몰입의 과정 동안 기분 좋은 느낌이 들도록 만든다. 또한 몰입한 일의 성공에 대한 기대감도 긍정적인 감정을 불러일으켜 몰입의 즐거움을 높인다.


6. 명상을 해본다. 명상은 마음을 평온하게 만들어 근육이 느슨해지게 하고 뇌파를 알파파로 변화시킨다. 맥박과 혈압도 떨어뜨리고 혈중 스트레스 호르몬의 양을 줄어들게 하여 면역체계를 강화시킨다. 뇌는 이러한 신체의 감각과 변화를 행복의 상태로 해석하게 된다.






행복을 찾아나서는 길에서 가장 중요한 연습은 바로 자기 자신이 누구인가를 아는 것이다. 그것을 위해 특별한 방법을 배워야 할 필요는 없다. 일상적으로 마주치는 자극들에 자신이 어떤 방식으로 반응을 보이는지 주의 깊게 살펴보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서 자신의 습관들로 조금씩 실험을 해 보자.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는 점차 우리에게 좋은 영향을 끼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게 된다. 자신에게 좋은 영향을 끼치는 반응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 질문에 모든 사람은 각자의 대답을 찾게 될 것이다. 이 지구상에는 70억의 인구가 살고 있다. 따라서 행복에 이르는 길 역시 70억개가 된다. (p. 406)





<행복의 공식>은 행복의 실체에 대해 알고 싶은 사람, 뇌과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 행복의 비결을 알고 싶은 사람에게 추천한다. 이 책과 함께 행복이 어디에서 오는지, 그리고 행복해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각자의 답을 얻어 모두 행복해졌으면 좋겠다.





이 글은 책과 콩나무를 통해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