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도 사랑 이야기
마르탱 파주 지음, 강미란 옮김 / 열림원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나는 어떻게 바보가 되었나"로 많이 알려진 마르탱 파주 작가의 두번째 책 "아마도 사랑이야기".

전작을 읽어보지 못했지만 많은 이들이 좋다고 평을 해 이번책도 기대를 하면서 읽게 되었다.

표지의 일러스트 또한 로맨틱 코디미라 내세우고 있는 이 책의 분위기와 너무 잘 어울리는 듯 하다.

과연 그는 어떤 사랑을 찾아나선 것일까??

 

30대 초반의 싱글남 비르질. 파리의 한 광고회사에서 인정받는 그.

그는 바로 오는 전화를 받는 것보다 자동응답의 빨간불을 더 좋아하는 남자이다.

그런 어느날, 자동응답기로 한 여자로부터 이별을 통보받는다. 워낙에 이별을 통보받는데 익숙한 비르질이지만,

전혀 생각나지 않는 여자로부터의 이별통보.

그는 자기가 이상한건지, 기억을 못하는건지, 알 수가 없어 병원에 검사를 의뢰하게 된다.

 

늘 정신상담을 받는 의사, 제트킨 박사와 상담을 하고 검사를 받지만, 정상이라는 진단을 받게 된다.

거의 자신이 죽을 것이라고 생각한 그에게 정상이라는 진단은 새 삶을 얻은 것 같은 느낌마저 들게 한다.

그러면서 다시금 그의 기억에 머무는 한 여자. 클라라.

그는 그에게 이별을 통보한 클라라를 찾아나서게 된다.

 

주변인들 모두 그와 클라라의 이별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

그럴 수록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갈피를 잡지 못하는 비르질이었지만, 그럴수록 클라라라는 여자에 대한 궁금증과 그리움은 커져만 갔다.

 

클라라의 흔적을 쫓아갈수록 그에게 나타나는 건 그 자신.

그는 그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된다.

서커스 단원이었던 부모님과 함께 여러지방을 돌아다녔던 그의 어린시절, 그리고 독립하게 된 과거의 자기모습,

그가 만나왔던 여자들, 그 여자들이 자신을 떠날 수 밖에 없었던 그의 환경과 그의 성격문제등.

 

그와 비록 연인사이가 되지 않았지만 지금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포스틴,

그리고 동성애를 하고 있는 아르멜이 클라라를 찾아나선 비르질에게 자신을 돌이켜 볼 수 있겠금 하는 역할을 하지 않았나 싶다.

자기 자신보다도 더 그를 잘 아는 그녀들이었던 거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이 책이 과연 로맨틱 코미디라는 장르에 맞춰진 것일까?하는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현실과 픽션의 경계를 무너뜨렸다고 하는데 사실 읽으면서 그렇게 큰 공감을 얻어내진 못했던 거 같다.

작가의 글을 쓰는 스타일 자체가 아직은 나에게 어렵게 다가온 부분도 없지 않아 있었던 거 같다.

 

결국 비르질은 클라라와의 만남을 목전에 두고도 그녀를 만나지는 못하지만,

그녀를 통해 그는 자기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시간과 좋은 경험을 했던 것만은 분명하다.

 

아직 소설의 내용을 다 이해하지 못한 것은 분명하다. 나는 이 책을 다시 한번 읽어볼 것이다.

그가 비르질을 통해 무엇을 말하고 싶었는가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고 싶은 책이다.

 

p.243 - 우리가 사랑할 수 있었던 사람을 잃지 않는 유일한 방법이 하나 있다. 결코 그 사람을 우리 인생 속으로 들어오지 않게 하는 것,

 

 

 

<해당 출판사를 통해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서평입니다.

본서평은 작성자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햐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