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 - 2011년 제7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강희진 지음 / 은행나무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7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 유령.

세계문학상 수상작을 처음 만난 것은 5회 수상작인 정유정의 <내 심장을 쏴라>였다.

그리고 이번에 두번째 만난 유령.

이 소설은 한반도 현실인 분단국가에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탈북자..들의 삶을 그려낸 것인데.

그들의 소외된 삶을 리니지 게임과 연결시켜 놓았다.

 

pc방에서 리니지 게임을 하는 탈북자 청년, 주철.

그는 삐끼생활을 해가면서 pc방에서 게임만 하고 사는 청년이다.

그러던 중, 탈북자들의 마을 동네에 있는 백석공원에서 시체가 한구 발견이 된다.

그 시체는 눈알이 없는 상태이고, 손가락이 절단된 손목도 발견이 되는데...

 

그 시체가 같은 집에 사는 회령아저씨로 밝혀지고, 그 아저씨와 친하게 지낸 주철은 범인으로 몰리게 된다.

 

그는 자신이 범인이 아니라고, 경찰들의 협조요청을 무시해 버리고,

나름의 범인을 추측하게 되는데....

 

이 소설은 리니지 게임과 접목시켜 놓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 온라인 게임에 문외한 나는 집중하기가 너무나 어려웠다.

모든 등장하는 용어가 실제로 리니지 게임안이랑 같다고는 할 수 없지만, 실제 일어난 일이기는 했다.

 

반면에, 탈북자들의 남한사회에 적응하면서 살아가기가 얼마나 힘든지는 우리가 다시금 한번 생각해보게끔 만든다.

탈북을 해서 힘들게 남한의 땅을 밟은 그들은 정부에서 보조해주는 정착금과 임대아파트 등을 받아 생할한다.

남한의 고아들은 오히려 그들을 부러워한다는 글이 있는데, 정말 그럴 거 같기도 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 이 사회는 자기가 열심히 하지 않음 그 결과가 없지 않은가....


북에서 나름의 꿈들을 안고, 목숨을 건 탈북을 해 건너온 사람들.

그들을 맞이한 우리 현실은 생각하는 것과는 너무나 틀렸다.

 

우리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고 유령처럼..떠도는 그들을 우리가 따뜻한 관심으로 한번 더 돌아봐 줘야 할 것이다.

더 이상의 유령으로 떠도는 것을 막기 위해서 말이다.

 

 

p.58 - 아무리 변해도 만나 보면 냄새가 다르다. 그것은 인두로 영혼을 지진 상처라 쉽게 지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p.103 - 엄지의 아버지가 그리워한 것은 생활총화가 아니라 자신의 기구한 사연을 들어줄 남한 사람이었을 것이다.

그런 외로움은 탈북자에게 공통된 것이다.

 

p.187 - 북한은 남한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먼 나라 동네가 아니다. 손끝 하나로 닿을 수 있는 나라다.

그런데 동생이 남한으로 내려오려고 마음을 먹는 데 10년의 세월이 걸렸다.

 

p.236 - 게임은 그래서 무서운 것이다. 언제든지 벗어날 수 있지만 결코 빠져 나올 수 없다.

공포에 대한 갈망은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게임은 진짜 공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