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려올 때 보았네
이윤기 지음 / 비채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내려올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보지 못한 그 꽃.

 


노벨 문학상을 받을 수 있었던, 대작가. 고은 님의 시.

이 시를 제목으로 한 이윤기님의 산문이다.

내려올 때 보았네.

 

때때로 고은님의 존함을 접하게 되면,

번지점프를 하다 시나리오를 쓴, 고은님 작가가 생각난다.

성은 고, 이름은 은님이던..어떻게 살고 있을까...

또.또.또. 헛소리.


 

이렇게 밥상 들고 방으로 들어가려 했다가

내려놓고 마당 쓸고, 담장 너무 돌쇠랑 수다 떨다가

방에서 애타게 부르는 소리에 그제야 정신차리고

방(본론)으로 들어가듯.


이 책 속 글들도 정말 자유롭게, 유유자적 쓰여진 느낌이다.

 


바그너가 누구던가?

그래서 어떻게 되었던가?


 

뒤에, 자네 알고 있는가? 자네 들어볼텐가? 가 생략된 것 처럼

느껴지는 이윤기 할아버지의 느긋하고 있어 뵈는 글투.

참 좋아한다. ^-^

 

글에 위 아래가 있는 건 아닐테지만,

짧은 글들을 엮어 둔 수필의 경우, 독자 입장에서는

본인, 취향에 맞는 것과 그렇지 않은 글을 비교하게 된다.

무의식적(무심)으로

그런데, 이번 산문은 들쑥 날쑥의 정도가 좀 있는 것 같다.


좋은 글은 으아아앙스럽게 좋다가도,

어떤 글은 쫌 너무 비약인데?! 싶기도 하다.

 

그러나, 매 순간 쥐어짜임 당하는 듯한 창작은 고통이지만,

그 안에서 새로운 길을 찾을 것이라며, 글쓰는 삶에 대한 의지를

드러낸 저자의 말처럼, 정말 별 것 아니라 생각하며 지나갈 수 있는

일상의 소소함으로부터 시작되는 진지한 사유가

정말이지 고질이다. 질 높다.

 


본문 중에서....


 

나는 우리 삶에서 사물을 '유심히' 관찰하고 이것을 이로정연하게 정리하는 어떤 측면에 주목한다. '유심히' 관찰하는 일은 의식의 몫이다. 의식의 몫, 논리의 몫, 이것이 바로 학문의 몫이 아닐까 싶다.

 

생각 없이 사는 일상적 삶, 그것이 바로 악의 근원이다.

 

 

공통점을 찾아내는 일과 차이점을 찾아내는 일은 어떻게 다른가?

공통점을 찾아내는 일, 이것이 평화의 길이 아닐 것인가?

차이점을 찾아내는 일, 이럿이 갈등의 길이 아닐 것인가?

 

나는, 앎은 관심이 되고 관심은 애정이 된다고 굳게 믿는 사람이다. 무관심은 증오보다 유독한 것이라고 굳게 믿는 사람이다.

 

나는 사람과 사람의 관계, 나라와 나라의 관계에 관한 한, '상대 가치'가 존재할 뿐 '절대 가치'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굳게 믿는 사람이다. 그들의 가치까지 존중해주어야 한다고 믿는 사람이다.







사족.

 

요즈음. 인터넷으로 책을 사면서 느끼는 것 중 가장 큰 것은.

요즈음 책 종이는 너무 두껍다.

“이게 한 장이야? 아닐텐데..?!” 생각하며

다시 쪽수 확인하면서 책장을 넘기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이 놈의 나라는 나무도 많이 안 심으면서

무슨 책 종이가 스케치북도 아니고

대체 왜이렇게 두꺼운 종이를 쓰는지 모르겠다는

나라살림 걱정으로 생각이 옮겨져서...

글 안으로 몰입이 안 되기 여러 번.

 

책의 종이가 두꺼운데다.. 고급스러운 표지에 날개에 덮개까지,

책의 가격도 가격이지만, 요즘 책 이십대 여성 독자의 손에 들기엔

너무 무겁다.

오죽하면 책 읽을 때 쓰는 나의 북 그립이 책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고장 나 버렸을까 -_-


 

작가 의식도 바뀌어야 한다.

장편, 자간, 행 간격을 은근히 크게 해서

읽는 이의 눈을 편하게 해 주는 건 좋지만

하고 싶은 이야기가 통상 말하는 책 분량이 되지 않으면서

두꺼운 종이를 사용해 책을 만들어서 두껍고 있어보이게

만들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출판사 사람과 친분이 전무해서, 토로할 데도 없지만.

나처럼 단순한 독자는 책 내용의 심도와 진실성보다

책 종이 자체의 무게에 먼저 눌리게 된답니다.

가벼운 종이로 만들어 주셈.


그렇게 하지 않을거면, 이렇게 내용이라도 빵빵하던가. 해야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