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난 게 아니라, 조금 서툰 겁니다 - 한입심리학이 _ 삶에 서툰 _ 보통의 어른들에게
조지선 지음 / 책으로여는세상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은 사람들이 심리학을 공부하고, 심리학에 관심을 갖는다.
그 이유로는 대부분은 시작 지점에서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싶다라는 생각이다.
다른 사람의 말과 행동에 대해 올바르게 파악하고
오해 없이 나의 생각을 표현하고 싶다는 지점에서 심리학 공부를 시작한다.
그런데 심리학을 살펴보면 살펴볼수록
처음에는 외부를 향했던 마음이 점점 나를 향해 다시 돌아온다는 걸 알게 된다.
심리학을 공부하는 건
결국 남을 이해하기 위함이 아니라
나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길이라는 사실을 느끼게 된다.

<못난 게 아니라, 조금 서툰 겁니다>
이 책은 삶이 서툰 보통의 어른들에게라는 부제를 갖는다.
심리학적인 지식을 심어주기 보다는
심리학을 통해 삶에 대한 위로를 심어준다.
다만 그냥 무작정 위로해주는 것이 아니라
심리학을 기반으로 이야기하기 때문에 무척이나 근거 있는 위로로 다가온다.
무조건 괜찮아라는 식상한 위로에서 탈피된 모습이다.

학문적인 접근보다 위로에 대한 관점이 조금 더 강해서인지
책은 몇가지 키워드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위로 심리학, 행복 심리학, 공감 심리학, 성공 심리학, 습관 심리학.
각각의 내용은 짧게 구성되어있다.
복잡하지 않고 간결한 사례와 함께 심리학적인 근거에 대해 이야기해준다.
마음을 위로하고, 행복을 기원하고
소통을 돕고, 성공을 촉진하고 습관을 독려하는
34개의 간결한 글들이 책에는 가득하다.

뇌과학자인 캐롤라인 징크 연구팀의 보고에 따르면 뇌에는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계산하는 영역이 있습니다. 주변 사람들이 자기를 어떻게 대우하는지 관찰하면서 본인의 서열 점수를 매기는 것입니다. 점수가 낮게 매겨지면 세로토닌 분비가 줄어들어요. 그러면 자신감이 없어지고 우울하고 스트레스에 더 민감해지죠. 혹시 패배한 바닷가재처럼 느껴지시나요? 그렇다면 조던 피터슨의 매우 구체적인 조언을 귀담아 들어보세요. "어깨를 펴고 똑바로 서라."
- 중략 -
어깨를 펴고 똑바로 서면 두 가지 놀라운 일이 일어납니다. 첫째, '당당하게 서 있는 것을 보니 나는 꽤 괜찮은 사람이야'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자신에 대해 생각할 때 '꽤 괜찮은' 이 느낌이 참 중요합니다. 이 느낌은 긍정적인 행동으로 이어집니다. 둘째, 다른 사람들이 나를 능력 있는 사람으로 보고, 그렇게 대우하기 시작해요. 그러면 '나는 괜찮은 사람'이라는 신념을 다시 확인하게 됩니다. 자세가 만드는 선순환이 보입니다. _ 책 중에서

위로의 심리학 중 일부를 인용한 내용이다.
자세 하나 바뀐다고 삶이 달라질까?
이렇게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책의 저자는 여기에 대해서 단호하게 이야기한다.
자세를 바꾸면 세상과 삶에 대한 나의 태도가 달라진다.
역경을 바라보는 나의 관점이 달라진다고.
어깨를 펴고 똑바로 산다는 것은 나의 잠재력을 최대치로 발휘하면서 사는 것이라고 말이다.

무조건적으로 어깨 펴고 다녀가 아니라
왜 그렇게 해야하는 지를 근거있게 설명해주니 더욱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나의 경청 지능 지수는 어느 정도 될까요? 듣기는 매일 사용하지만 가장 훈련이 안 된 대인 관계의 기술입니다. 오늘 만났던 사람과의 대화를 떠올려 보세요. 대부분의 대화 시간을 말하기에 썼다면 '5:5 규칙'을 추천합니다. 적어도 상대방보다 내가 더 많이 말하지 않는 것이지요.
경청을 적극적으로 연습해 본 적이 없다면 오늘부터 시작할 수 있습니다. 내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주는 사람, 누구나 이런 사람을 원합니다. 나와 마주 앉은 바로 그 사람이 원하는 바도 다르지 않습니다. 경청은 가장 아름다운 방식으로 그를 존중하고 위로하는 행위입니다. _ 책 중에서

경청.
소통 과정에서 무척이나 중요하지만 쉽지 않은 일이긴하다.
이를 위해서 책에서는 ENDSA, 엔드사를 이야기해준다.
Eye contact 시선 맞추기
Nodding 고개 끄덕이기
Direction 몸의 방향 맞추기
Smile 웃는 표정 짓기
Affirmation 지지의 추임새 넣기

다섯가지 비언어적 행동을 통해 경청을 실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뻔해보이지만 사실 너무나 실천하기 어려운 이 일에 대해서도
책은 하나하나 세밀하게 짚어준다.

이 책이 주는 다양한 이야기들은 매우 생활 밀착형이라고 할 수 있다.
하루의 내 삶, 일주일의 내 삶에 적용할 수 있는 부분들이 너무나 많이 있다.
그래서 심리학이 거리감 있게 다가오는 것이 아니라
더욱 가까이, 더 가깝게 끌려온다.

나만 그런게 아니었어라는 나에 대한 오해가 해소될 때 맛보는 안도감
그래 누구든 그럴 수 있어라는 섭섭함에서 벗어나는 해방감
앞으로 이렇게 하면 되겠구나라는 작은 희망을 보았을 때 느끼는 기대감

심리학이 주는 위로로 다독임을 받고
심리학이 주는 힘으로 하루를 더 잘 살아갈 수 있도록
책을 통해 심리학을 만나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