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열여섯 살을 지켜준 책들 - 모험하고 갈등하고 사랑하기 바쁜 청소년들에게
곽한영 지음 / 해냄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열여섯 살일까 생각해보았다. 이제 만 나이를 사용하니 좀 다르겠지만 열여섯은 중학교 3학년이다. 미래를 위한 공부를 하기에 바쁜 시기이면서 몸과 마음이 비약적으로 성장하는 힘든 시기이다. 작가의 열여섯 살을 지켜준 책은 얼마나 소중하고 가치있는 이야기들일까 그 목차가 궁금해서 이 책을 읽고 중학생 딸에게 소개해주고 싶었다.

작가는 '마침내 마주한 내 안의 갈등', '너와의 첫 만남', '선의와 사랑으로 관계 맺기', '끝없는 모험과 상상력의 세계' 이렇게 네 개의 주제로 나누어 책을 소개한다. 데미안, 어린 왕자, 갈매기의 꿈, 로빈슨 크루소, 두리틀 박사의 이야기, 정글북, 프랑켄슈타인, 키다리 아저씨, 15소년 표류기 등 모두 내가 어린 시절 마르고 닳도록 읽고 또 읽었던 책들이다. 요즘은 너무 읽을 거리가 풍부하고 새로운 책이 많이 출간되다보니 아이들이 고전보다는 최근의 베스트셀러 위주로 많이 읽는다. 그래서 이 책에서 소개하는 책을 읽지 않은 청소년도 많이 있을 것 같다. 간단한 작가 소개와 줄거리가 있고, 책의 내용에 대한 작가의 설명이 길게 이어진다. 이 소개를 먼저 읽고 관심이 가는 책을 읽어도 좋고, 책을 먼저 읽은 뒤에 작가와 나의 생각을 비교하며 <나의 열여섯 살을 지켜준 책들>을 읽어도 좋을 것 같다. 책소개를 읽고 나니 이런 문장이 있었나하고 이야기책을 다시 찾아서 꺼내읽게 된다.

아동에서 청소년으로 성장하는 시기에 아이들은 많은 고민을 한다. 나라는 존재에 대해서 고민을 할 때 좋은 이야기는 삶의 지혜와 깨달음을 줄 수 있다. 어른이 되고 나니 중학생때 담임 선생님께서 추천해주셔서 읽었던 데미안이 떠오르고, 빨간 머리앤의 한 마디 한 마디가 감동을 줌을 느낀다. 사실 중학생 시기에는 그저 재미있게 읽었고, 어떤 말일까 생각만 했지 그것이 마음 깊이 와닿지는 않았다. 살아보니 그 책들이 얼마나 소중한지, 얼마나 의미있는 문장으로 가득했는지 느끼게 된다. 우리 아이들에게도 지금 읽은 그 책들이 오래도록 기억에 남아 성장하는 밑거름이 되어줄 것이라 생각한다.

*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읽고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