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仁祖 1636 - 혼군의 전쟁, 병자호란
유근표 지음 / 북루덴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혼군의 전쟁, 병자호란

10여 년 사료 연구를 바탕으로 인조와 병자호란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역사 평설

최근 드라마에서 조선 시대의 이야기가 자주 보인다. 역사는 보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서, 시대에 따라서 다르게 평가받게 된다. 긴 기간동안 계속 되었던 임진왜란은 잘 알지만 기간이 2개월 정도인 병자호란이라는 전쟁은 이름외에는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이 책을 읽고나니 조선, 명나라, 청나라 이렇게 3국이 얽혀 있는 병자호란이 우리 역사에 미친 영향이 컸음을 알 수 있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40여 년 뒤, 정묘호란이 일어난 뒤 10여 년 뒤에 일어난 병자호란. 우리나라는 어찌 예전부터 지금까지 중국과 일본 사이에서 이렇게 어려운 외교 문제를 겪으며 지내왔는지... 청나라는 경제적, 정치적으로 조선을 압박하였지만 인조 임금은 나라의 어려움보다는 자신의 권력 유지와 확장에만 힘을 쓰고 있었다고 한다. 1636년 12월 겨울, 청은 12만 대군을 이끌고 조선을 침략하였고 인조 정권은 45일만에 항복을 선언하였다. 소현 세자는 8년을 볼모로 청에 끌려갔고, 그때 청으로 잡혀갔다 돌아온 여인들을 환향녀라고 불렀다. 이 책에서는 이 병자호란의 원인은 왕권국가였기 때문에 인조에게 있다는 관점으로 기술한다. 그래서 책의 내용은 병자호란 전, 중, 후의 인조로 나누어서 구성되어 있다. 한 나라의 운명에 왕이 막강한 영향력을 미쳤던 조선시대였기 때문에 누가 왕이 되고, 그 왕이 어떤 생각을 가졌느냐에 따라 나라의 흥망성쇠가 결정된다.


광해군이 어떻게 하여 세자가 되고 왕이 되었는지, 인조 반정의 과정을 아주 상세히 이야기한다. 역사책에는 사건의 전개 과정 몇 줄만 있었는데 이렇게 세세한 부분까지 묘사하니 역사를 비판하며 보게 된다. 인조가 좀더 위엄있고 당당한 왕이었다면 우리나라의 운명은 어떻게 되었을까? 소현세자가 서양 문명을 받아들이자는 생각이 이루어졌다면 이후의 조선은 어떤 나라가 되었을까? 계속 생각을 하게 만드는 책이다.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읽고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