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구석 판소리 - 조선의 오페라로 빠져드는 소리여행 방구석 시리즈 3
이서희 지음 / 리텍콘텐츠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나는 일반인들에 비해 어린 시절부터 국악에 자주 노출되었다고 생각한다. 7살이 채 되기도 전에 내가 다니던 유치원에선 장구를 가르쳐 주셔서 장구를 배운 경험이 있고 고등학교때에는 특수한 환경에 놓여져 주변에 국악인들이 넘쳐났다. 덕분에 내가 잘 모르던 분야에 대해 알 수 있었던 값진 경험을 할 수 있었다.

그들은 한국무용을 추거나 장구, 꽹가리, 소고, 북, 징, 해금, 대금, 민요, 판소리 등을 했었고 나는 그들의 공연을 정말 가까이서 볼 수 있었다. 못해도 일년에 서너번은 그들이 준비한 공연을 즐길 기회가 있었다. 사회에 나오고 보니 나만큼 국악을 경험한 일반인들이 정말 소수에 해당한다는 걸 알고 깜짝 놀랐다.

말 그대로 국악... 우리나라의 음악인데 이렇게까지 비주류에 속하나 싶을 정도로 태어나서 국악 공연을 한 번도 보지 못했다는 사람이 넘쳐났다. 그런 점에서 국악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인임에도 너무 아쉽고 속상함을 느꼈다. 카페나 식당, 하다 못해 길거리를 돌아다녀도 힙합이나 가요 등은 너무나도 쉽게 들을 수 있는 반면 국악은 특정 공간에서만 들을 수 있다는게 참 안타까웠다.

최근 드라마 정년이를 너무 재밌게 보고 잊고 지냈던 국악의 매력을 다시 느끼게 되었다. 그러면서 어떤 스토리가 있는 지 조금 더 자세히 알고 싶어졌는데 오늘 이 책이 가사에 담긴 이야기들을 잘 설명해두어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 생각에 선택하게 되었다.



이 책은 우리가 흔히 어렵고 낯설게 느꼈던 판소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낸 책이라고 느껴졌다. 도입 부분에 판소리가 낯설 독자들을 위해 판소리의 정의, 핵심요소, 구성요소, 음악적요소, 용어, 판소리 12마당에 대한 설명을 시작하며 판소리 자체를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섬세하게 설명해뒀는데 이 부분 덕분에 판소리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책을 접할 수 있어 일반인, 국악 초보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파트라고 느껴졌다.

나는 최근 드라마 정년이를 보며 인상깊었던 소리들이 있었는데 그 중 몇 부분이 이 책에도 실려있어서 드라마 속 정년이의 모습과 감정, 연기를 떠올리며 더욱 몰입할 수 있었다. 나처럼 드라마를 재밌게 봤던 독자라면 이 책이 더욱 흥미롭게 느껴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는 이 책으로 하여금 전통예술의 깊이를 담아내면서도, 현대적인 언어로 우리 곁에 다가가고 싶다는 따뜻한 감성을 표현해내고 있었는데 그 마음이 오롯이 느껴질만큼 한 파트 한 파트 꼼꼼하게 설명해줘서 더욱 와 닿았다.

<방구석 판소리>는 판소리 다섯마당 외에도 향가, 고전시가 등을 다루고 있었는데 고전시가는 조금 더 시적이면서 편지에 소리를 얹는듯한 느낌을 받았다. 같은 판소리의 형태여도 어떤 소리의 가사는 비유와 은유, 함축적인 느낌이 강해 뜻을 바로 이해하기 어려운 반면 어떤 소리들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 그런 차이를 살펴보는 재미도 있었다. 어쩌면 저자가 각 마당을 마치 한 편의 단편소설처럼 풀어낸 덕분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지점이었다. 작가의 섬세한 서술 덕분에 전통 문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도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고 책 중간 중간 삽입된 qr코드 덕분에 이 책을 더욱 즐겁게 접할 수 있었다.

소리 별로 담겨진 이야기들과 가사를 살펴보며 책 하단에 기재된 qr코드를 타고 들어가면 소리꾼과 북을 치는 고수가 등장해 소리를 선보인다. 이전에 이야기를 잘 모르고 들었을때와 또 다른 느낌으로 소리가 들리며 다른 소리꾼들은 어떻게 해석했을지, 어떤 감성을 선보일지, 어떤 소리를 갖고있을지 궁금해져 찾아보게 만들었다. 저자가 의도한 마음이 이런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 나도 모르게 슬며시 미소가 지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