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울프스텅 - 거짓을 이기는 말 ㅣ 큰곰자리 고학년 3
샘 톰슨 지음, 안나 트로모프 그림, 정회성 옮김 / 책읽는곰 / 2025년 3월
평점 :

영국 작가 ‘샘 톰슨’의 <울프스텅>은 말을 더듬는 소심한 소년 사일러스가 늑대의 대변자(울프스텅)이 되기까지의 모험을 그린다. 이야기는 늑대의 앞발에 박힌 압정을 사일러스가 뽑아주면서 시작된다. 그리고 여우가 나타나 늑대를 찾고 있다며 사일러스에게 도와달라고 말한다. 이 책의 세계관은 독특하다. 여우가 인간처럼 살고 싶어 인간의 말을 배우고 늑대를 노예로 부리며 도시를 건설하여 일종의 여우왕국을 만든다. 여우가 세상의 지배자가 되며 나아가 인간의 독재에 반기를 든다. 이러한 설정은 인간과 동물이 인간의 언어로 소통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한다. 인간이 세상의 지배자이지만 이 책에서 인간의 대표인 사일러스는 여러모로 허술한 소년인데 결정적으로 언어적 결함이 있다.
여우 레이어드가 세운 지하 도시는 인간 세상에 대한 은유이자 아류다. 인간이 세상을 지배하게 된 이유가 언어를 사용하고 만물에 이름을 붙였기 때문이라는 것을 간파한 레이어드는 똑같이 행동한다. 다른 동물들에게 이름을 부여하고 각종 미사여구로 그들을 착취하여 지배하기에 이른다. 도시를 건설하는 과정은 조지오웰의 동물농장을 연상시키는데 역시 레이어드는 독재자가 된다.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고 유지하기 위해 어떤 일도 서슴지 않으며 저항 세력은 처단하고 도망자는 끝까지 추격한다. 늑대 아이센그림과 그의 짝 허센트를 찾아다니는 이유다. 노예로 부리던 마지막 늑대이다.
아이센그림과 허센트가 자리를 비운 사이, 레이어드의 언변에 홀랑 넘어가 허센트의 새끼 세 마리를 빼앗긴 사일러스는 이제 그들을 구출하러 가야만 한다. 여기서부터 인간 아이와 늑대의 모험이 시작된다. 아이센그림과 허센트, 사일러스를 주축으로 그들을 도와주는 다른 동물들까지 합세하여 레이어드의 지하세계로 들어간다. 허센트의 새끼를 숨겨놓은 곳까지 가는 동안 배신자 때문에 위험에 처하기도 하고, 레이어드의 휘하에서 나온 반동세력이 아이센그림을 도와주기도 한다.
마지막 관문은 레이어드와 사일러스가 원형무대 그레이트홀에서 펼치는 토론이다. 레이너드는 동물을 착취하는 인간을 독재자로 규정하면서 단죄하겠다고 말하는데 자신도 똑같은 일을 저지르고 있다. 레이어드는 인간을 단죄하기 위해 사일러스를 죽이겠다고 한다. 여기서 사일러스는 말을 더듬지 않으며 당당하게 논리적으로 연설했다. 여우의 모순을 반박하며 언어로 대상을 규정할 수 없음을 설파한다. 늑대는 늑대만의 정체성이 있음을 정의한 것이다. 사일러스는 거짓을 이기는 말을 하게 되었다.
울프스텅의 역할을 톡톡히 해낸 인간 아이 사일러스는 현실 세계로 돌아온다. 모험은 끝났고 책장도 얼마 남지 않았기에 독자는 기대할 수밖에 없다. 사일러스가 자신을 놀리는 아이들에게 더듬지 않고 당당하게 말하는 모습을. 그러나 아무것도 변하지 않았다. 사일러스는 자신의 경험이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인지 의문이 들었고 답답했다. 아이센그림을 다시 만나게 되었고 늑대는 그들의 세계로 같이 가자고 했지만 사일러스는 인간 세상을 선택한다. 인간들에게 전할 이야기가 있다며.
사일러스가 늑대와 나눈 우정, 동물들과 함께하는 모험은 스토리텔링의 매력에 흠뻑 빠져들게 만든다. 이 책을 읽는 어린이 독자들은 인간처럼 지배자가 되려는 여우의 행동을 보며 인간의 행동을 반성하게 될 것이다. 인간이 대상에 규정하여 표현하는 말 속에 독재성이 들어있음도 알게 될 것이다. 그럼 사일러스가 인간들에게 전할 이야기가 무엇일지 상상해보면 어떨까. 작가가 모험에서 돌아온 사일러스에게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 이유가 있을 것이므로.
**위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