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은 안 되지만 트리플 27
정해연 지음 / 자음과모음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해연 작가의 소설을 좋아해서 거의 모든 작품을 읽었다. 미스터리 스릴러 장르는 쫀쫀한 스토리텔링과 개연성, 반전의 맛으로 읽는데 작가는 모든 면을 만족시켜준다. 늘 재미있는 책을 쓰고 싶다고 말하는 작가에게 나는 읽을 때마다 재미있었다고 화답했다. 작가가 내 감상을 읽지는 않겠지만...


자음과 모음 출판사에서 트리플 시리즈스물일곱 번째로 정해연 작가의 소설집 <말은 안 되지만> 서평단을 뽑는다기에 얼른 신청했다. 그동안 장편만 읽었는데 단편은 어떨지 궁금했다. <말은 안 되지만>에는 단편 소설 세 편이 실렸는데 장르는 미스터리, 공포, 환상으로 각기 다르다. 한 편당 40여 쪽밖에 되지 않아 후루룩 읽었다. 소설의 분량은 짧지만 생각은 길어졌다.


첫 번째 소설 관심이 필요해의 주인공 중혁은 의사다. 그는 아동학대가 의심되는 환자 영우를 보면서 자신의 어린 시절을 투사한다. 영우를 구해야한다는 그의 일념이 시선을 한 쪽으로만 향하게 함으로써 다른 가능성은 차단한다. 중혁의 행동은 선입견에 갇히면 시야각이 얼마나 좁아지는지를, 자신이 본 것이 맞는다고 확신하는 함정에 빠지는 것을 보여준다.


이 소설은 대리 뮌하우젠 증후군을 소재로 했지만 돌봄의 범위를 묻는다. 아이 양육은 제대로 된 부모가 해야 한다는 인식은 돌봄의 주체를 오롯이 개인에게 둔다. 부모가 이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그 책임을 사회가 나누는 것이 복지다. 우리나라가 이제 선진국 대열에 들었다고 선전하지만 돌봄을 여전히 개인의 몫으로만 두는 것은 국가의 책임을 방기하는 것이다. 이런 식이라면 선진국이라는 구호는 있어도 복지국가는 요원하다.


두 번째 소설 드림 카는 귀신이 등장한다. 성공한 남자 인우가 드림 카 마이바흐를 몰고 나선지 얼마 지나지 않아 차를 세운다. 머리를 풀어헤친 채 맨발로 흰 옷을 입고 선 여성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얼굴 한 구석은 함몰되었고 피를 줄줄 흘리고 있다. 나는 처음엔 교통사고 당한 귀신인가 했는데, 계속 나타나는 게 아무래도 인우에게 원한이 있을 거라고 짐작했다.


이 소설은 주인공이 느끼는 공포스러움을 독자도 그대로 느끼게 만드는 데는 성공했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귀신으로 보이는 여성이 누구일지, 결말이 어떻게 될지 예측이 쉬워졌다. 사람의 목숨보다 돈을 숭앙하는 지경에 이른 인간의 최후를 보며 통쾌해야 하는데 씁쓸했다. 주인공 사내와 우리가 뭐 그렇게 다를까...


세 번째는 표제작인 말은 안 되지만이다. 인간이 돼지로 변한 세상에서 주인공만 말이 되었다. 사람이 돼지가 되고 말이 된다는 게 말이 안 되는상황이고, 말이 거부당하는 사회이니 말은 안 되는거다. 중의적인 제목이다.


가족들은 성형수술을 시도하나 실패했고 말이 된 주인공은 돼지 사회에서 배제당한다. 아무 짝에도 쓸모없을 줄 알았는데 말이라서 활동할 수 있는 곳이 있었으니 바로 마사회! 그 곳에는 소수의 말이 된 이들이 할 수 있는 일을 한다. 경주마가 된 것이다. 말은 안 되는 사회에서 경주마가 된 것에 기뻐할 겨를도 없이 미친 듯이 달려야한다. 순위권 안에 들지 못하면 고기가 될 것이므로.


비현실적인 이야기 속에서 현실과 동일하게 펼쳐지는 상황은 아이러니다. 이 소설은 드림 카와 주제가 다른 것 같아도 다르지 않기 때문에 공포스럽다. 아무리 다른 세계가 펼쳐져도 지금 우리가 사는 현 세계의 트랙은 변함없을 거라는 작가의 목소리는 머리카락을 쭈뼛하게 만들었다. 일등과 승리만을 추구하고 그에 미치지 못하면 낙오자가 되고 다시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세상이 지옥이 아니면 무언가.


작가의 단편은 이번 책으로 처음 읽었다. 장편을 이끌어가는 힘이 단편에서는 압축적으로 주제를 전달하는 힘으로 작동했다. 짧지만 묵직한 이야기는 읽은 후에도 생각거리와 여운을 남겼다.

 



**위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