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리만자로의 눈 원전으로 읽는 움라우트 세계문학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이정서 옮김 / 새움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헤밍웨이의 소설을 설명할 때는 하드보일드와 빙산 이론이 언급된다. 찰스 부코스키와 무라카미 하루키가 헤밍웨이 스타일에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이러한 내용들은 읽은 적이 있으면서 정작 헤밍웨이의 소설은 <노인과 바다>밖에 읽지 못했다. <여자 없는 남자들>도 하루키의 책을 검색하다가 발견한 헤밍웨이의 소설이다. 이 제목으로 헤밍웨이가 먼저 출간했다. 알게 된 김에 헤밍웨이의 <여자 없는 남자들>을 읽으려고 했으나 완독에는 실패했다. 어려운 건 아닌데 쉽게 읽히지 않았다. 왜 그런지 영문을 모른 채 잊고 있다가 클래식 클라우드 시리즈의 <헤밍웨이>를 읽게 되었다. 백민석 작가의 헤밍웨이 작품세계 해제로 손색없었고 그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많이 받았다.


서두가 길었다. 새움 출판사의 신간 <킬리만자로의 눈>의 서평단 소개에 바른 번역으로 다시 태어났고 <빗속의 고양이>는 기존 작품과의 비교 번역문을 수록했다고 하여 궁금했다. 헤밍웨이의 소설에 제대로 도전해보고 싶어 신청했다. 그런데 책을 읽고 보니 나의 신청 의도는 책의 출간 의도와 방향이 맞지 않았다. 가장 큰 이유는 기존 번역서를 읽은 적이 없기 때문이다. 이번 번역자 이정서씨의 말대로 내가 기존 번역의 오류를 발견했다면 모를까, 읽은 적도 없으면서 출간 의도를 책에서 확인해보려고 하다니 어불성설이다.


하지만 그런 의미와 상관없이 헤밍웨이 소설 읽기에 도전해보려는 사람들에게는 추천한다. 매끄럽게 읽힌다는 것으로 그 이유가 충분하다. 또 하나, 마지막에 기존 번역과 비교한 <빗속의 고양이>는 번역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흥미롭게 읽을 만하다. 이정서씨는 맥락과 뉘앙스를 살리지 못한 기존 번역 부분을 짚은 뒤 자신의 번역과 비교하고 있다. 이에 수긍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독자도 있을 것이다. 번역 공부를 하는 사람들이라면 원서만 읽은 후 자신이 먼저 번역해보고 두 번역과 비교해보면 재미있을 것 같다.


이 소설집에는 6편의 소설이 실렸다. “킬리만자로의 눈의 주인공 작가 해리는 다리 괴저로 킬리만자로 산 기슭에 고립되어 있다. 죽음을 앞두고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 주인공은 헤밍웨이 자신이다.


킬러들은 하드보일드 스타일의 전형을 보여주는 소설이며 이는 범죄소설과 느와르 영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소설은 짧은 분량임에도 두 번이나 영화화 되었는데 앞뒤로 새 창작자의 상상력을 덧붙일 수 있기 때문이며 빙산 이론으로 설명 가능하다. 다른 소설들도 마찬가지다.


흰 코끼리 같은 산등성이는 남녀 주인공이 주고받는 대화 속 수술이 무슨 수술인지 명시하지 않고 있기에 독자들은 유추해야 한다. 바로 눈치 챌 이가 있겠으나 해설을 보아야만 고개 끄덕일 사람도 있을 것이다. 앞 부분에서 여자 주인공이 산등성이가 흰 코끼리처럼 보인다고 말하는 내용이 나온다. 수술과 그것의 상징을 알아차린다면 남자의 주둥이를 꿰매버리고 싶을지도 모른다.


미시간 북부에서는 헤밍웨이의 데뷔작으로 여주인공 리즈가 대장장이 짐에게 처녀성을 잃는 이야기(사실은 강간)이다. 고향 마을의 실제 인물을 좋지 않게 쓴 소설이라고, 이 때문에 고향에서는 헤밍웨이를 그리 좋아하지 않았다는 소문이 있다.


혁명가는 두 페이지밖에 되지 않는 아주 짧은 소설로 가 만났던 와의 짧은 만남을 서술하고 있다. 가을 산을 좋아해서 국경을 걸어서 넘어가기를 고대했다는 가 시온 근처의 감옥에 있다는 것을 는 들었다. 스위스가 왜 그를 감옥에 넣었는지는 모른다. 독자마다 다르게 상상할 뿐이다.


빗속의 고양이는 해설과 함께 번역 비교가 있기 때문에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역자 이정서씨가 가장 강조한 것은 kitty. 여주인공이 kitty를 원한다고 말하지만 남편은 책만 읽고 있다. 부부가 머무는 곳은 이탈리아의 어느 호텔이다. 비를 맞고 있는 kitty를 발견한 여자가 고양이를 데려오려고 내려갔다가 허탕을 치고 메이드에게 고양이 이야기를 한다. 둘은 이탈리아어와 영어를 섞어 쓰느라 제대로 소통하지 못한다.


마지막 장면, 메이드는 큰 고양이를 들고 서있다. 주인이 갖다 주라고 했다면서. 해설을 읽기 전 커다란 구갑고양이가 뭔가 싶었다. 분명 여자는 kitty를 봤는데 어디서 큰 고양이를? 그런데 그보다 구갑고양이는  처음 듣는 말이었다. 해설을 보니 원문에 ‘big tortoise-shell cat’이라고 되어 있다. 기존 번역에서는 이것을 큼직한 삼색 얼룩 고양이라고, 이 책에서는 커다란 구갑고양이라고 번역했다. 구갑고양이보다는 삼색얼룩고양이가 바로 이해되는데 굳이 왜 잘 쓰지도 않는 단어로 번역했는지... 딴지를 거는 게 아니라 이상하다고 생각해서 언급했다.


흰 코끼리 같은 산등성이의 남자나 빗속의 고양이의 남편은 정반대인 듯하지만 비슷하다. “흰 코끼리 같은 산등성이의 남자는 사랑이라는 단어로 감싼 사탕발림을 일삼고, “빗속의 고양이의 남편은 말수가 너무 적고 아내에게 무관심하다. 하지만 둘 다 이기적이다. 이 두 소설과 미시간 북부에서의 남자 주인공들은 모두 지금 기준으로 따지면 욕을 바가지로 먹거나 감옥 가야한다.


헤밍웨이의 초기 단편 소설을 읽고 싶은 독자라면 이 책으로 시작해서 장편소설로 넘어가면 좋을 것이다. 혹시 헤밍웨이의 명성을 이해하고 싶어 책을 펼쳤는데 잘 안 읽어져서 실망했다면 이 책을 추천한다. 가독성이 좋고 헤밍웨이의 문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위 리뷰는 네이버카페 컬처블룸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