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영화의 뒷모습이 좋다 - 이 책을 읽는 순간 당신은 그 영화를 다시 볼 수밖에 없다
주성철 지음 / 씨네21북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평론가 주성철씨의 첫번째 평론집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그 영화의 뒷모습이 좋다>가 출간되었다. 작가의 말에서 그는 '영화평론가'라는 직함에 의문을 표한다. 그렇기에 '첫번째 영화평론집'이라는 표현도 걸린다고 했다. 독자들이 이 책을 박하게 평가할까봐 두렵다는 뜻이다. 이미 영화전문가로 유명하고 영화 관련 책을 여러 권 냈으면서 저렇게 말하니 겸손이 너무 지나쳐 보였다. 그는 이 책을 날카로운 평론이라기보다 들을 만한 이야기 정도로 생각해달라고 했다. 마지막까지 몸을 낮춰 관객이자 독자에게 재미있게 읽어달라면서 이렇게 말했다.


"영화평론가와 관객은 같은 자리에 서 있는 영화의 최종스태프다."


이 책은 4장으로 구성되었는데 각 장의 제목을 전시실이라고 이름붙였다.

제1전시실 감독관에서는 국내외 10명의 감독을 다룬다.

제2전시실 배우관에는 8명의 배우를,

제3전시실 장르관은 영화와 감독 위주의 장르영화를, 제4전시실 단편관에서는 박찬욱감독과 봉준호감독의 단편영화를 소개한다.


이 책은 영화평론에 관심이 많고 주성철의 글을 좋아하는 독자들이 믿고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목차 속 소제목만 봐도 기분 좋아질 것이다. 이런 한상 차림을 보면 어디로 젓가락질을 할지 고민이 된다. 그러나 아무도 탓하지 않을 고민은 고이 접어두고 취향껏 고르면 된다. 어딜가도 2만3천원에 이런 차림은 없을 것이다.


나는 먼저 배우관을 펼쳐서 윤여정과 메릴 스트리프, 오드리 헵번을 읽었다. 메릴 스트리프나 오드리 헵번은 이미 나와 있는 평전으로 그 인물을 집중 조망할 수 있다. 그러니 이 책에 소개된 10여페이지 남짓한 내용으로 그 배우의 삶을 다 알기는 어렵다. 하지만 저자의 방향대로 따라 읽어나가면 그 배우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오드리 헵번을 예로 들자면 <로마의 휴일>로 단숨에 스타덤에 올랐다는 내용을 맨 앞에 배치한 후 생애를 간단하게 훑고 헵번스타일을 완성한 지방시를 언급한 후 대표작 4편을 소개한다. 그녀의 팬이라면 응당 몇 번씩 보았을 영화겠지만 그렇지 않은 독자라면 앞으로 볼 영화 목록에 추가될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며 감탄하게 되는 것은 저자의 능력이다. 영화를 주제로 다루어야할 게 어마어마한데 4개만 골라냈다. 그 안에서 엄선한 것들의 내용 폭도 넓다. 감독이든 배우든 장르든 수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영화를 다 봤을 게 아닌가. 영화뿐 아니라 책이나 인터뷰 등등. 저자가 읽기 쉽게 정리해 놓았으니 독자의 입장에선 그저 고마울 따름이다. 이 책에서 마음에 들었던 부분은, 영화와 영화간의 연결성이다. 감독관의 경우 그 감독의 영화관이 각 영화에서 어떻게 투영되고 이어져왔는지 작가주의적 특성과 함께 설명하기 때문에 이해가 쉽고 몰랐던 것을 알게 되었다.


류승완 감독 편의 소제목은 '오리지널을 넘어서는 독보적 장르'이다.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에서 시작해 <부당거래> <베를린> <베테랑> <모가디슈>로 이어지는 류승완의 세계를 이해하게 도와주었다. <부당거래> <베를린> <베테랑>에 흐르는 이야기가 '조직 생활하는 가장들의 고단함을 보여주는 영화'라고 감독이 말한 적 있었다고 한다. <베테랑>에서 형사들이 왕년의 부상 부위를 경쟁하듯 드러내며 다투는 장면을 저자는 이렇게 평가하고 있다.


"이처럼 선명한 장르적 색채 위로 현실적인 디테일까지 조화롭게 녹여내는 것은 어느덧 류승완 감독 특유의 장기이자 재미가 된 것 같다."


<베테랑>을 '영화'와 '현실 ' 사이에서 지난 2000년대의 한국 영화를 기억하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작품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도 했다. 액션영화 감독이라는 꼬리표가 붙던 류승완 감독은 <군함도>와 <모가디슈>로 변하고 있다. 장르영화 안에서 계속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나는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의 영화가 너무 은유적이라서 이해하기 힘들었다. 그런데 이 책에서 <더 랍스터>와 <킬링 디어>에 대한 내용을 읽으니 작품해제 같이 쉬웠다. 굳이 쉽다는 표현을 쓴 이유는 당시 두 영화를 본 후 평론가들의 글을 읽어봤지만 오히려 그 글들이 더 어려워서 황당했기 때문이다. 주성철의 글은 그렇지 않다.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이 이 영화들을 통해 오랫동안 천착해온 그리스 사회의 은유적 비판과 사랑이라는 테마를 섞어 고향 사람들에게 바치고자 했던 것이라는 부분을 읽으며 이제야 고개 끄덕였다.


이 책을 읽으며 '나는 그동안 영화를 대충 봤구나' 싶었다. 물론 관객이 평론가처럼 영화를 보지는 않지만 나름 꼼꼼하게 보려고 했는데도 놓쳤던 것이 많았다. 책 표지에서, '이 책을 읽은 당신은 그 영화를 다시 볼 수밖에 없다'고 했는데 나처럼 놓친 걸 확인하고 싶고 다른 시각으로 보고 싶은 독자들은 분명 그러할 것이다. 나도 다시 볼 영화 목록을 만들었지만 , 이미 텍스트로 영화 다시보기를 했다. 이 책은 충분히 그러했고그만큼 만족스러웠다. <퀸 메릴>을 읽고 볼 영화 목록에 넣어놓기만 <철의 여인>과 <플로렌스>를 이번에는 꼭 봐야겠다.



**위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