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랜드
천선란 지음 / 한겨레출판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주를 좋아하게 된 이유는 기억나지 않지만, 우주를 떠올릴 때마다 고요한 그곳에 홀로 시끄럽게 돌고 있는 지구가 좋았다. 밖은 저토록 조용한데 이 안은 지나치게 시끄럽고, 지나치게 피곤하고, 지나치게 빠르게 흐르고 있다는 생각을 하면 평생 좋아하는 노래만 듣다 죽어도 괜찮을 것 같았다. - 작가의 말


우주에 대해 특별히 호불호가 없는 나는 SF소설을 즐겨 읽는 편이 아니다. 천선란 작가는 우주의 고요 덕분에 지구의 소음과 속도감이 좋다고 했다. 지구 밖으로 가보지 못했으니 차라리 이곳의 삶을 좋아하는 편이 낫겠다는 말로 들렸다. 나는 이 말을 우주는 가상의 세계로, 지구를 현실로 읽었다. 작가의 소설집 <노랜드>에 실린 10편의 소설들은 우주와 근미래가 배경이다. SF는 현재 이곳이 배경인 소설에 비해 더 많은 상상력이 필요한 작업일 것이다. 나처럼 SF에 관심 없는 이들은 감히 상상할 수 없는 영역의 일말이다.


허나 아무리 미래, 우주 혹은 가상의 어딘가에서 벌어지는 일들이라 해도 지금 우리가 여기에서 겪는 일과 고민의 연장선상에 있다. 그래서 나의 이 소설집 독법은 이랬다.

노랜드라는 우주선에 올라타 천선란의 상상력 속을 유영하다.‘

간혹 친절한 네비게이션이 절실하기도 했고, 데자뷰 같은 상황에서는 어리둥절했다가, 내 생각과 너무나 유사한 지점에서 한참을 서성였다.


작가는 행복과 사랑을 이야기 하고 싶었으나 그리 되지 않아 읽고 나면 지치는 책이 될까봐 두렵다 고했다. 하지만 그는, 사랑하고 싶어 소설을 읽고, 삶을 알고 싶어 소설을 읽듯 가끔은 더 지치고 싶어 소설을 읽는, 자신과 같은 사람이 또 있으리라 믿으며 두 번째 소설집을 엮어 전송한다고 덧붙였다. 이 책에 실린 소설 열 편 중 몇 편으로 이렇게 답신할 수 있게 되어 감사하다. 나는 사랑하고 싶고 타인의 삶을 알고 싶어 소설을 읽는 사람이니까.


<옥수수 밭과 형>은 인간복제가 소재이다. 사람들은 복제양, 복제개 처럼 연구를 위해 동물을 복제하는 것에 무감하면서 인간 복제에는 윤리적 잣대를 먼저 떠올린다. 이 소설을 읽다보니 어쩌면 사람도 비밀리에 연구 중이거나 우리 주위에 이미 복제인간이 있을 지도 모르겠단 생각에 섬뜩했다.


사람은 다른데 똑같은 기억을 가지고 있다면 같은 사람일까, 다른 사람일까?’

주인공 푸고의 형은 동생에게 같은 사람이라고 대답한다. 그런데 푸코는 형이 죽은 후 복제 형들을 만나면서 형의 그 말을 수긍하기 어려웠다. 복제 형들이 푸코와 함께 했던 기억을 정확하게 얘기했지만 엄연히 다르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30여 쪽의 짧은 소설임에도 여러 가지를 생각하게 했다. 인간복제의 윤리적 문제부터 기억이라는 말이 내포하고 있는 다층적 의미, 사람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한계까지. 근미래에는 AI가 인간을 대체할 거라고들 한다. 인간을 복제하는 것보다는 AI가 윤리적 문제의 무게감을 덜어주기 때문에 AI의 등장을 대세처럼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나는 푸코가 혼란스러워하는 게 이해되었다. 외모가 똑같고 아무리 같은 기억을 가지고 있는 복제형이라 해도 둘째, 셋째 형은 원래 그 형이 아닌 것이다. 우리 현실에선 복제형이 없다. 그러나 분명 같은 장소와 시간 속에 있었음에도 다른 기억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며 깜짝 놀랄 때가 있다. 게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기억은 왜곡되고 윤색된다. 내가 기억하는 그 사람이 이젠 영 다른 사람 같을 때가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내 마음대로 기억을 편집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이제야 깨닫는다. 어렸을 땐 내 기억이 정확하다고 큰소리 쳤으나 나이가 들수록 입을 닫고 있는 게 낫다는 것도 안다.


그런데 잊지 않고 기억하겠다는 소설도 있다. <-에게>는 같은 단어 기억이 전혀 다르게 쓰인다. 희미해져서 종국에는 사라질지도 모를 어떤 일을 기억하길 바라는 소설이었다. 죽은 자를 잊지 않고 추모하는 사람들 덕에 귀신이 이름을 되찾는 경우가 종종 있다 고 한 <-에게> 속 차사의 말처럼 그날, 2014416일의 사람들을 잊지 않고 기억하겠다. 그들이 억울함에 목매지 않고 행복했던 순간만을 떠올리게 간절히 바랄것이다. 그리하여 다음 생에는 자신들의 이름을 절대 잊지 않도록...


책이 소재인 소설 <두 세계> 속 두 세계 이야기가 가장 흥미로웠다. 주인공 유라가 스트레스 받을 때마다 아무 책이나 사고 책은 소비재라기보다 소장품에 가까웠다고 하는 내용에서 크게 고개 끄덕였다. 그녀가 다니는 회사 이름이 노랜드인데, 그 회사의 대표는 소설기반의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개발해 책을 현실감 있게, 오감으로 읽도록 만들었다. 노랜드의 가상현실은 감각으로 소설을 읽는 것이다. 한 권의 책을 심도 있게 파고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소설 속 인물과 직접 소통이 가능하다.


이 프로그램에서 발생한 문제가 주 내용인데 나는 프로그램 자체에 관심이 갔다. 조만간 이런 프로그램이 나올 것 같다. 일반 독자로서 나도 비슷한 생각을 한 적이 있는데 작가도 그랬다는 뜻이다. 소설 속에서 구현되었으니 실제로 나오게 되면 정말 작가와 독자의 경계가 모호해질 것이다. 책이 이 세상에 나오는 순간 작가의 손을 떠났으므로 더 이상 작가가 주인이 아니라는 말이 있다. 책의 내용을 받아들이거나 인정하지 않거나 해석하는 것 모두 독자의 몫이라고. 특히 문학작품의 경우는 더욱! 이곳도 저곳도 어느 곳도 아닌 노랜드에서 오감을 사용해 읽고 등장인물들과 소통하는 것을 너머 자신이 만들고 싶은 이야기를 지어내겠다는 상상은 상상만으로도 흐뭇해진다.



**위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