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드볼트 - 지구의 재앙을 대비하는 공간과 사람들
시드볼트운영센터.산림생물자원보전실 생물자원조사팀.야생식물종자연구실 지음 / 시월 / 202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시드 볼트(SEED VAULT), 종자 금고?
책 제목을 처음 들었을 때 내 생각의 가지는 자본주의적으로 뻗어나갔다.
‘김종철 선생이 생전에 그렇게 강조하던 식량 주권이 가장 먼저 떠올랐고 그 다음 카길 같은 곡물기업으로 이어져 우리도 종자를 관리해서 식량 주권 확보하는 건가? 그럼 돈도 벌어들일 수 있겠구나!’
나가도 너무 나갔으며 초점도 맞지 않았다. 시드볼트는 그런 게 아니었다. 이 글에서 ‘시드볼트’란 단어를 처음 접한 사람은 이런 궁금증이 일 것이다. 종자를 금고에 모은다? 왜? 모은 다음엔? 돈 버는 게 아니라면 뭐하려고? 난 처음 아니다! [유 퀴즈 온 더 블록]이나 [선을 넘는 녀석들]에서 본 적 있다!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통해 ‘시드볼트’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나? 나는 앞에서 밝힌 대로 ‘시드볼트’를 처음 듣고 희한한 방식으로 생각을 펼쳤다. 그러나 이 책을 읽은 후 우리나라가 지구와 인류를 위해 얼마나 중요한 일을 하고 있는지 알게 되어 뿌듯했다.

위 사진을 보면 마치 우주선, 아니면 외계인과 지구인이 도킹하는 장소 같은 느낌이 들지 않는가? 저곳은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춘양로 1501,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의 백두대간 글로벌 시드볼트이다. 전 세계에 하나 뿐인 곳이다. 노르웨이에도 ‘스발바르 글로벌 시드볼트’가 있다. 그곳은 주로 작물 종자를 저장하고, 우리나라 ‘백두대간 글로벌 시드볼트’는 야생식물 종자(산이나 들에서 스스로 자라 자생하는 식물)을 저장한다. 자생력을 잃어가는 식물은 물론, 기후 변화나 전쟁, 핵폭발 등 지구 차원의 대재앙에 대비해 야생식물의 멸종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지어졌기 때문에 현대판 노아의 방주라고 불리기도 한다.
<시드볼트>는 출판사 시월의 대표 박정우씨가 시드볼트를 1년 여 간 취재하고 직원들을 인터뷰한 내용을 토대로 엮어냈다. 소재가 전문적이라 어려울 것 같지만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으며 시드볼트 내외부의 사진과 직원들이 찍은 식물 사진도 실려 있어 가독성이 좋다.

책 내용의 가치가 상당하지만 개인적으로 만듦새도 마음에 들었다. 내지가 두께감이 있고 표지는 양장본이라서 소장용으로 추천한다. 책의 순서는 시드볼트가 어떤 목적으로 만들어 지게 되었는지부터 시작해 종자를 수집하고 연구하는 팀의 일, 기탁 받은 종자를 운영하는 일, 끝으로 기후 위기와 야생식물 종자의 상관관계로 마무리한다.
첫 질문으로 돌아가보자. 세계에는 이미 수많은 시드뱅크(종자은행)이 있고 작물 종자 금고인 ‘스발바르 시드볼트’도 있는데 야생식물 종자를 영구히 보관하는 시설이 왜 필요할까? 또한 이것이 과연 무슨 이익이 있을까? 그럼에도 한국에 시드볼트를 짓게 된 결정적 이유는 ‘세계 공익’이 ‘국익’을 이겼기 때문이다. 한국은 무분별한 벌목과 전쟁으로 폐허가 되었던 산림을 수십 년에 걸쳐 복구했고, 현재까지 복구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나라로, 이 과정에서 경험과 지식축적으로 얻은 연구 결과가 있다. 이제 우리 경제력은 세계 공익에 이바지할 수 있을 정도로 성장했으며 우리가 받았던 것을 되돌려 줄 때가 되었다. 국토의 60~70퍼센트가 산으로 이루어져 있는 우리나라의 식물을 지킨다는 1차적 목표가 있지만 나아가 아시아의 식물을 지키고, 전 세계의 식물을 지키겠다는 큰 포부와 목표를 가지고 있다.
미국이나 영국, 프랑스 같은 나라들은 시드뱅크가 많지만 시드볼트를 짓지는 않았다. 그 이유는 시드뱅크만으로 부족함 없이 연구할 수 있고 자국의 이익을 지키는데 아무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즉 그들은 시드볼트가 필요 없고 만들 생각도 하지 않는다. 그러나 한국은 전기 공급이나 시설 건립 등 인프라를 구축하기 힘든 나라를 지원하고, 국내의 다양한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종자들을 보존하고, 나아가 지구상 모든 종자들의 멸종 위기에 대응하겠다는 목적으로 시드볼트를 만든 것이다. 시드뱅크에 들어가는 종자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저장되기도 하고, 다시 꺼내서 연구나 증식에 활용되지만, 시드볼트에 들어가는 종자는 그 종자가 멸종 위기에 처했거나, 지구가 멸망에 가까운 위기를 겪지 않는 이상 밖으로 나오지 못한다. 이것이 두 곳의 정체성과 역할을 가르는 차이다.
이제 시드볼트에서 하는 일을 보자. 먼저 생물자원조사팀은 종자와 식물체를 수집하고 보관하는 일을 한다. 설악산부터 지리산까지 5개 권역으로 나누어 수집하러 나가는데 예기치 않은 일이 생기기도 한다. 100년 묵은 산삼을 캔 적이 있었는데 먹지 못했다고 한다. 눈물을 머금고 표본을 만들었다고... 몰랐던 식물을 알아 가고, 종자를 수집하며 기쁨도 느끼지만 산을 타야하기 때문에 고된 일일 수밖에 없다. 무릎이 상해 휴식이 필요하지만 주사를 맞아가며 나가야 한다.

야생식물종자연구실에서는 수집해온 종자들(일 년에 약 600~900여 종)을 전수 검사하여 저장하고 종자정보구축 사업을 한다. 시드볼트운영센터는 들어온 종자를 검증한 후 데이터를 확인 및 수정한 다음 수목원 관리시스템에 등록한다.
조사팀이 현장에서 종자를 수집해오는 것 외에 기탁을 받기도 한다. 국내외 기관에서 종자를 맡겨오는 것이다. 시드볼트는 2015년 12월에 처음 종자를 저장하기 시작해, 2021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총 137,880점을 저장하고 있다. 이 중 수집한 종자와 기탁 받은 종자의 비율은 1:4 정도이다. 스발바르 시드볼트가 약 108만여 점의 종자를 저장 중(2021년 12월 기준)이고, 전 세계적으로 밝혀진 야생식물이 30만~50만 종이라는 점, 시드볼트가 저장할 수 있는 종자가 200만 점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아직 가야할 길은 멀다. 시드볼트는 더 알려져야 하고, 더 많은 종자를 기탁 받아야 한다.
설립 초기에 국내외 기관에서는 시드볼트를 의심했다. ‘우리가 잘 보관하고 있는데 왜 시드볼트가 맡아준다는 거지?’ 라는 생각을 하는 게 당연했다. 종자는 돈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품고 있기 때문에 과연 한국의 시드볼트에서 딴 짓하지 않고 보관만 잘해 줄지 믿을 수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초창기 유리병에 넣어 입고하던 것을 블랙박스 형태로 바꿔서 받았다. 기탁하는 기관에서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있음에도 블랙박스 시스템이 “우리는 당신의 종자를 건드리지 않는다”를 증명하기 때문이다. 또한 운영센터는 2019년 12월 국가 보안시설로 지정되어 보안이 강화되어 안정성도 담보되었다.

시드볼트는 국내외 네트워크 활동에도 역점을 두고 있다. 현재 시드볼트는 총 7개국, 13개 기관과 협약을 맺었고 그들의 종자를 저장한 상황이다. 지금까지는 국내 자생식물 보호와 종자 확보에 주력해왔던 터라 국외 관련 활동을 시작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사실 폭넓게 국외 네트워크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는 큰 이유는 백두대간수목원 시드볼트의 인지도가 낮기 때문이다. 산림청에 소속된 공공기관이지만 나라를 대신하는 기관은 아니다. 국가 간 협약에서 주체적인 역할을 하기 힘들다는 뜻이다. 노르웨이 스발바르 시드볼트와 비교하면 더욱 그렇다. 노르웨이 정부가 설립한 스발바르 시드볼트는 유엔 산하 FAO 지원하기 때문에 국제 사회에서 인지도가 높고 한 나라의 지위와 비슷할 만큼 대표성 또한 높다. 다른 나라 입장에서 보면 한국의 시드볼트를 신뢰하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더 신뢰성을 갖추려고 노력한다. 도감 발행이나 해외 인재 교육 등 국제 사회를 지원하고, 사소해 보이지만 블랙박스 재질을 고급화하는 등 수목원의 노력을 보일 수 있는 물건을 만들고 배포하면서 시드볼트의 진정성을 알리기 위해 한 발자국씩 나아가고 있다.
시드볼트에 야생 종자를 모으고 보관하는 일에 어떤 의미가 있는 걸까? 종자저장업무를 담당하는 김진기 대리는 이렇게 답한다.
“지금 시드볼트에 저장되는 종자는 어쩌면 우리 세대에게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100년간 우리는 다 함께 ‘힘을 합쳐’ 이 지구를 아프고 병들게 만들었습니다. 시드볼트는 이런 현실을 만들어 낸 우리 세대의 책임인 동시에 우리가 물려줄 수 있는 가장 소중한 유산일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지금 시드볼트에 있는 사라들은 이 자원을 다음 세대가 될지, 그다음 세대가 될지 모르지만 최대한 안전하게 넘겨줘야 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안하고, 미안하지만 그 이후는 그들의 몫으로 남겨 둘 수밖에 없습니다.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보존뿐입니다. 적어도 사라지는 것만큼은 막아야 합니다.”
리뷰가 너무 길어졌다. 책 내용을 리뷰에 다 담을 수 없는 것인데 강조해야 할 것을 추리는 것만으로 벅찼다. 실력 부족이 그 이유지만 책 전체 내용이 모두 중요하기 때문이기도 했다. 그래도 5장 야생식물이 왜 중요한가? 는 정리해야 한다.
현재 우리가 먹는 재배식물은 모두 야생식물에서 비롯되었다. 대표적 재배식물은 크게 분류했을 때 대략 30종이다. 야생식물은 30~50만종이다. 범위가 이렇게 넓은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것들, 사라지고 있는 것들, 새롭게 발견되는 것들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야생식물을 잘 연구하고 활용한다면 언제든 이용 가능한 재배식물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이유로는 재배식물은 같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바나나가 대표적 사례이다. 전 세계인이 먹는 바나나는 변종 파나마병에 걸려있다. 사람이 먹기 좋고, 재배하기 편하게 개량되면서 환경에 저항할 수 있는 기능이 삭제되었다. 그러므로 현재 재배되고 있는 바나나에는 변종 파나마병에 저항할 유전자가 없기 때문에 이 병을 치료할 방법 또한 없다. 이에 해결책은 하나다. 재배되고 있는 바나나 말고 원래 있던 바나나 야생종을 연구하는 것이다. 야생식물은 자연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는 유전자 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야생 바나나를 연구하면 이 병에 저항할 수 있는 유전자를 찾을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해서 적절한 유전자를 찾으면 바나나를 살릴 수 있고, 찾지 못하면 영영 바나나를 먹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바나나의 사례는 야생식물 종자를 지키고 보존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주고 있다.
환경 관점으로 볼 때도 야생식물을 보호해야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야생식물은 지구의 거대한 생태계를 이루는 근간이다. 하나의 식물에는 기생하는 수많은 곤충이나 동물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식물이 사라진다는 것은 곧 그 서식지가 파괴된다는 것이고, 이는 그 식물을 둘러싼 생태계 전체가 무너질 수 있다는 뜻이다.
시드볼트운영센터 이상용 센터장의 말을 옮기며 리뷰를 마무리한다.
“시드볼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지구 온난화에 대응하는 자세라고 생각합니다. 지구를 위해 할 수 있는 일, 야생식물이 사라지지 않게 우리 모두가 할 수 있는 노력이 분명 있을 것입니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께서는 여러분이 할 수 있는 일을 해 주십시오. 시드볼트는 지금까지 그랬듯이 종자를 연구하고 보존하는 우리의 일을 하겠습니다. 우리나라의 식물을 보존하고, 아시아의 식물을 보존하고, 나아가 전 세계의 식물을 보존하겠다는, 그 목표를 향해 최선을 다해 나아가겠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시드볼트를 자랑스러워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우리나라에 야생식물 종자를 영구히 보존할 수 있는 세계 유일이 시설이 있습니다. 그 시설을 만들고, 운영하고, 여기까지 끌고 온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 사실을 부디 잊지 말아 주십시오.”
**위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