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헤세, 음악 위에 쓰다
헤르만 헤세 지음, 김윤미 옮김 / 북하우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헤르만 헤세를 좋아하고 클래식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반길만한 책이 나왔다

<헤르만 헤세, 음악 위에 쓰다>가 그 책이다.


나는 클래식 음악을 즐겨 듣지만 헤르만 헤세를 좋아하지는 않는다. 그의 사상과 문장에 반했다는 사람들을 많이 봤는데 나는 그 정도까지는 아니고, <데미안><수레바퀴 아래서> 두 권만 읽어봤다. 그럼에도 이 책 서평단에 신청했다. 헤세는 음악을 어떻게 문자로 표현했을지 궁금했다. 나는 음악을 글로 쓰는 게 여간 어려운 게 아니기 때문이다. ‘아름답다, 멋지다, 대단하다같은 단어로 뭉뚱그려 쓰면서 늘 답답했다.

이게 아닌데... 왜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걸까? 어휘력 부족인가? 감동 부족인가?’


그래서 헤세의 시각이 텍스트로 어떻게 변환되었는지 확인해보고 싶었다.


이 책 <헤르만 헤세, 음악 위에 쓰다>는 헤르만 헤세 전문 편집자 폴커 미헬스가 헤세의 모든 글 가운데 음악을 대상으로 한 글을 가려 뽑아 책으로 출간했다그의 글은 예상했던 대로였다. 음악에 대한 관심과 애정, 그 바탕엔 수준 높은 지식이 있었다. 같은 문화권에 같은 독일출신 작곡가들의 음악이니 이해도가 깊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음악으로 표현되었다 하더라도 같은 언어와 문화안의 동질성은 아무래도 문학으로 쉬이 흐르는 것일 터이다. 


어느 중국 피아니스트의 쇼팽 연주를 듣고 헤세는 이렇게 썼다.


p.170


젝 들은 건 그저 대가다운 피아노 연주가 아니었습니다. 제가 들은 건 쇼팽이었습니다. 제대로 된 쇼팽요. 그것은 바르샤바와 파리를, 하인리히 하이네와 젊은 리스트의 파리를 생각나게 해주었습니다. 제비꽃 향기와 마요르카섬에서 맞는 비의 향기가 났어요. 최상류 살롱에서 풍기는 향기도요. 음악은 멜랑콜리하면서도 고귀한 느낌을 자아냈고, 리듬의 분화와 셈여림의 차이는 섬세했습니다. 기적이었어요.



나같은 사람이 쇼팽 연주를 듣고 기적이라고 쓰면 상투적인 표현이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헤세는 바르샤바와 파리로 먼저 데려다 놓았다. 그리고는 마요르카섬의 보라빛 향기를 피웠다가 일순간 살롱의 멜랑콜리한 향기를 맡게 한 후 주의깊게 들어보라고 했다. 기적일 수밖에 없다고...


음악을 사랑하는 작가는 음악 관련 책(모차르트 전기)를 읽고 이런 리뷰를 쓴다.


p.227


모차르트를 사랑하고 모차르트를 탐구할수록 모차르트라는 인물은 더욱 신비로워 보인다. 열한 살 된 아이의 초상화들은 조숙하고 숙련되고 고도로 완성된, 자기 안에 침잠한 한 인간을 보여준다. 더 나이 든 모습의 초상화들과 편지들에서는 한 아이가 우리를 응시하고 있다. 기존의 전기들에 기대 모차르트의 생애를 추적하는 이에게 이 불가사의한 이의 초상은 호기심을 품고 해명을 바라는 바로 그 지점에서 거의 언제나 형체 없음으로 도로 미끄러져버린다. 모차르트가 심신을 불살라 사랑하고 고통 받으며 살아간 것처럼 보일 때도 있다. 그런가 하면 모차르트는 도무지 인간의 삶을 살았던 적이 없던 것처럼, 이 축복받은 정신 속에서는 그 어떤 자극도 현실의 유혹도 우회로를 거치지 않고 곧장 음악이 되어버린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인간의 삶을 살았던 적이 없던 것 같다 는 그동안 모차르트를 표현한 어떤 문장보다 적확한 것 같다.


헤세의 경험과 유사한 내 경험이 있어 옮겨본다. 어느 연주회의 휴식시간에 독주가의 대기실 바깥에 서서 연습연주를 듣는 장면이다.


p.159


꼼짝없이 사로잡힌 채 서서 귀 기울이는 시간이 무한히 계속되었다 해도 우리 중 누구도 애석해하지 않았을 것이다. 발이 아프지 않았던가? 아니다. 발이 아팠다. 그러나 아무 상관없었다. 발의 통증은 다른 차원, 다른 세상과 시간 속에서 일어나는 일이었다. 나직하지만 맑고 평화롭고 밝고 비현실적일 만큼 성스러운 음악이 회색칠 된 나무판자 저 편에서 샘솟고 있었고, 지금 내가 나를 꼼짝없이 사로잡은 문 앞에 서 있는 것처럼 요제프 크네히트’(소설 유리알 유희 주인공)가 언젠가 야코부스 신부의 방문 앞에 서서 소나타 연주에 귀 기울였던 장면이 떠올랐다.


중학교 3학년 때 좋아하던 친구 집 담벼락에 기대서서 그 친구의 피아노 연주를 들은 적이 있다. 나는 초등학교 때 배우던 피아노를 중학교 1학년 때 그만뒀기 때문에 바흐 연습곡 정도 겨우 치다 말았다. 그 친구는 나보다 훨씬 오래 쳐왔고 그 때는 콩쿨 준비를 하고 있었다. 나도 발 아픈 줄 모르고 친구의 방 창문 아래에서 연주를 들었다. 헤세처럼, 그의 소설 주인공 요제프처럼 그랬다. 귀 기울여 들었던 그 기억은 두근거리는 즐거움이다. 작가처럼 글을 쓰진 못해도 작가와 비슷한 경험이 있다는 걸 확인하니 웬지 기뻤다.


헤세는 바흐와 모차르트를을 가장 좋아한다 했지만 슈만도 못지않게 좋아하는 것 같다. 나는 슈만의 음악에 심취하기 어려웠다. 클래식 음악의 종류가 많아도 듣는 곡은 늘 정해져 있다. 기분에 따라 듣는 곡도 정해져 있다. 그 리스트 중에 슈만 곡은 없다. 슈만은 가곡을 포함 피아노곡이나 현악곡등 유명한 곡이 많은데도 쉽게 손이 가지 않았다. 그런데 헤세가 슈만의 음악을 들으며 쓴 글을 읽으니 나도 그런 감정을 느껴보고 싶었다.


p102


그의 음악 안에서는 끊임없이 바람이 분다. 그 바람은 꾸준하지도 짓누르지도 무겁지도 일정하지도 않다. 껑충거리는, 유희하는, 돌풍 같은, 버릇없는, 부단히 놀라게 하며 시작되고 다시 사라져버리는 윙윙거림이다. 모래와 나뭇잎의 앙증맞은 소용돌이 춤을 보는 기분이다. 화창한 날의 바람, 근사한 방랑 벗이며 놀이 친구다. 활기차고 아이디어 넘치며 신나게 수다 떨다가, 때로 달리거나 춤추고 싶어 했다가 하는. 우아함과 청춘으로 가득한 이 음악 속에서는 팔랑거리고 나부끼며 나풀거리고 한들한들하며 춤추고 폴짝거린다. 빙긋 웃고 깔깔 웃고 유희하고 놀려댄다. 일부러 심술궂었다 애틋했다 하며. 이 마법 같은 리듬을 지은 시인이 우울과 분열 증세 속에 꺼져가다 죽었다는 건 납득할 수 없을 것 같다.


책에는 슈만의 가곡이 빈번하게 등장하기에 검색해서 들으며 책을 읽었다. 요나스 카우프만이 부른 시인의 사랑”, 디아나 담라우가 부른 여인의 사랑과 생애를 들었다. 역시 슈베르트 가곡과 비슷했다. 피아노 반주가 귀에 더 잘 들어왔고, 독일어의 높은 벽에 부딪혔다 튕겨 나와 주저앉아야 했다. 한국어 자막과 피아노 반주에 만족했다. 슈만의 음악 안에 부는 바람을 부디! 나도 느껴보고 싶다.


이 책의 부록에는 헤세의 시로 만들어진 가곡 리스트가 실려 있다. QR코드나 URL주소를 첨부해놓았다면 헤세의 시가 어떤 노래로 탄생했을지 들어볼 수 있었을텐데 아쉬웠다. 그래도 이 책에는 헤세의 시가 여러 편 실려 있다. 번역된 시는 원어의 맛을 다 살리긴 어렵다. 그렇지만 독일어를 모르니 한글로라도 헤세의 감성을 느껴보았다그 중 플루트 연주의 시구가 의미심장하여 옮겨보았다



위 시의 부연 설명으로 음악에 대한 헤세의 통찰이 든 설명으로 이 리뷰를 마무리 한다.



"음악을 철학적으로 표현한다면, 미적으로 지각 가능하게 된 시간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그 시간이란 현재를 말하고요. 음악을 듣고 있으면 순간과 영원의 동일성이 또다시 떠오릅니다." - p.281




**위 리뷰는 네이버카페 컬처블룬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