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낀대 패싱 - 튀고 싶지만 튀지 못하는 소심한 반항아들
윤석만.천하람 지음 / 가디언 / 2022년 1월
평점 :

<낀대 패싱>이라는 제목을 보고 갸웃했다.
낀대? 낀세대라고 한다. X세대, MZ세대는 들어봤어도 낀세대라니? 그럼 어디와 어디에 끼어 있는 세대일까? 이 책에서는 낀대를 구분하기 전에 먼저 이런 설명을 한다.
"MZ세대에 앞서 1970년대에 태어난 이들은 X세대, 1960년생들은 586세대로 불러왔다.
세대를 10년, 20년 주기로 나누는 구분법은 착각이다."
그럼 낀대란?
“1970년대 중반에서 1980년대 후반에 태어난 이들을 뜻한다. X세대와 밀레니엄 세대에 중첩돼 있다. 위로는 586세대에 치이고 아래로는 진짜 MZ세대에 낀 샌드위치 세대다.”
이 책은 낀세대 두 명(중앙일보 논설위원 출신 윤석만, 변호사이자 국힘당 소속 천하람)이 공동집필했다. 총 4장으로 구성되었으며 1부에서는낀대의 실체와 의미를 살펴보고 낀대들의 특성이 다른 분야에서 어떤 식으로 발현되는지 살펴본다. 2부는 정치사회 영역에서 세대 간 갈등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짚는다. 3부에서는 낀대 갈등을 유발하는 사회 중요 쟁점들을 짚고, 4장에서는 엄청난 잠재력을 가진 D세대(디지털 세대:90년 이후 출생자들)를 맞이할 때임을 강조한다.
낀대는 집단보다 개인을 우선하고, 자신의 취향과 개성을 드러내고 싶어 한다. 그들은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유.청소년기에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세월을 보내고 부모들의 높은 교육열로 큰 기대를 받았지만, 정작 성년이 되고 현실에선 이를 충족하지 못하는 세대적 좌절을 경험했다. 그러나 X세대의 반골적 기질은 그들이 이미 사회 주류가 된 뒤에도 DNA처럼 남아 사회 전반과 조직 내에서 중추가 되지 못하고 아웃사이더로 겉돌게 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5060세대가 보기에 낀대가 성에 차지 않을 수 있다. 워라밸을 추구하고 윗 세대에 비해 개인주의적인 낀대는 5060이 보기에 덜 치열해 보이기도 한다. 그렇지만 낀대는 개인주의적 성향과 동시에 조직에 대한 충성심, 국가에 대한 사명감을 지닌 세대다. 5060이 20대와 직접 소통하는 것은 쉽지 않고, 20대도 벽을 느끼기 쉽다. 낀대가 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이처럼 낀대는 특히 조직이나 사회에서 중간자적 역할을 해야 하는 숙명인 것이다.
입시제도와 정년연장, 정규직 전환, MZ노조, 연금 개혁등 낀대에게 당면한 현실적 문제들을 2,3부에서 풀어내고 있다. 낀대를 포함 586세대, MZ세대에게 이 책은 다른 세대를 이해하는 참고서가 될 것이며 저자들의 문제의식과 해법에 찬반 의견을 개진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
마지막으로 낀대의 가치와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낀대를 ‘젊은 꼰대’라고 단정하기 전에 낀대가 없는 회사나 단체의 모습을 상상해 보자. 586세대 부장님과 90년대 후반에 태어난 신입사원이 직접 소통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을 것이다. 아날로그 환경에서 가난과 독재, 민주화를 경험한 586세대와 디지털 환경에서 선진국 국민의 삶을 살아온 90년대생은 세상을 보는 관점이 다를 수밖에 없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모두를 아우르면서, 중진국의 설움도 느껴본 낀대의 존재가 소중한 이유다. 앞으로 낀대가 변화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어댑터(Adapter)가 되어야 한다.
**위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