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이데아 케이스릴러
장해림 지음 / 고즈넉이엔티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시생 원형의 가족은 최악의 조합이다. 십 년째 백수인 폭군 아버지, 가정을 돌보지 않고 종교로 도망치는 어머니, 일진 여동생 원미, 그리고 원형 자신이다. 이런 가족에게는 가난이 자연스럽고 대화가 없으며 서로를 혐오한다. 원형은 지옥이라고 표현한다. 익숙해지지 않는 것이 놀랍고, 매일 아침 눈 뜰 때마다 새롭게 비극적이다. 너무나 벗어나고 싶은 가정이다.

그런데 정말 벗어날 수 있다면?

지옥같은 가정에서 벗어나 모든 것을 풍요롭게 누리는 가정의 일원이 될 수 있다면 누구나 그렇게 살고 싶어할 것이다. 원형은 재벌 3세로 산다. 최고급 수트를 입고 호화 요트에서 미녀들과 파티를 즐기며, 기업 M&A도 척척해내는 유능한 인재다. 이런 정반대의 상황은 원형의 공상일까? 아니다! 책의 제목과 같은 ‘가족 이데아’라는 게임 세상에서 원형은 재벌 3세다.

고즈넉 ENT의 K-스릴러, <가족 이데아>는 시작하자마자 원형의 비루한 현실과 개발중인 게임 ‘가족 이데아’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비록 게임이지만 현실과 정반대 상황을 누릴 수 있다면 당신은 이 게임에 참여할 것인가? 중독을 우려하거나 현실에서 열심히 살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면 당신의 현실은 만족스러운 편이라는 뜻이다. 비참한 지금을 벗어날 수 있다면 그게 무엇이든 하려고 할 것이므로.

소설 앞부분에서 원형을 극과 극의 딜레마 상황에 던져둔 다음 어떻게 하려는 걸까 궁금했다. 주인공을 계속 게임과 현실 사이를 왔다갔다 하게 하다가 설마 호접지몽 같은 결론으로 가는 건 아니겠지? 살짝 걱정했다. 다행이 그렇지는 않았다. 줄거리를 다 쓸 수는 없으니 중요한 등장인물은 소개한다. ‘가족 이데아’ 게임을 개발한 최상원이라는 인물과 딸 미희가 등장하는데 미희는 초반에 죽고 숨겨두었던 일기 속 문장으로 표현된다. 아빠 상원은 미희를 원형의 동생 원미가 죽였다고 생각해서 원형 가족들을 이 게임에 참가시킨다. 복수하려는 것이다.

이어지는 반전과 점점 현실인지 게임 속인지 구분되지 않는 상황들이 독자를 헷갈리게 만든다. 작가는 시작할 때부터 계속 질문을 던졌다. 정반대의 모순적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 묻는다. 원형의 가족들은 현실을 부정하고 게임 속 안락한 삶을 원한다. 원형 또한 게임에서 현실을 변화시키려고 한다.

마지막에 이 게임은 교도소 수감자들에게 쓰인다. 메타룸에 들어가려면 모범수가 되어야 한다. 메타룸이라는 가상 속에서 자신이 원하는 아름다운 현실을 만날 수 있었다. 수감자들의 행복한 시간이 늘어나는 대신 환경은 점점 열악해진다. 죄수들의 행복추구권과 인권이 대립된다.

소설은 가상세계의 아름다움을 부각시킨다. 등장인물들을 마약과도 같은 가상세계에 중독되게 만든다. 최근 등장한 기술, ‘메타버스’가 이 소설의 소재다. 아직은 메타버스가 뭔지 잘 모르는 사람이 더 많고 이용자도 극히 적다. 그러나 가상세계와 현실 세계의 경계가 허물어지면 이 소설 등장인물들처럼 되지 말라는 법이 없다. 우리는 늘 급격한 기술의 발전에 비해 의식은 지나치게 느리게 따라갔다. 메타버스 세계에 있는 내 아바타가 현실의 나보다 행복하다고 느껴질 때! 가상현실 속에 내가 만든 이상적인 가족 캐릭터들과 다정하게 이야기 나눌 때! 소설 속 원미와 엄마처럼 되지 않을까? 그들은 현실보다 게임 속에 있을 때 안정적이고 행복했다.

이 소설에서 발견한 몹시도 현실적인 문장이 있다.

“현실도 다른 차원의 게임이지.”

상원이 원형에게 하는 대사다.

우리는 원해서 이 세상에 태어난 게 아니다. 그러나 죽을 때까지 여러 가지 롤플레잉을 해야 한다. 생애 주기에 따라 완수해야 하는 과업은 일종의 미션 깨기이다. 재벌 3세로 태어났다면 손쉽고 여유롭게 하겠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못하다. 그러니 죽을똥살똥 내 앞에 주어진 가시덤불을 헤치며 나가야한다. 앞으로 앞으로! 뚜벅뚜벅! 이번 미션이 끝나면 또 다른 미션을 수행해야 한다. 죽을 때까지...

이 소설의 결말은 반반이다. 작가는 게임과 현실이 공존하는 세상이 온다면, 후라이드 반 양념 반처럼 인생을 두 가지 맛으로 누리며 살아도 될 거라고 말하는 듯하다. 가상세계 속 행복의 허무함과 고통스런 현실의 참맛을 다 맛보면서 사는 세상이 올 수도 있을 거라고 예언하는 것 같았다. 어쩌면 디스토피아적 세상이다.

**위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