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력의 기쁨과 슬픔 - 너무 열심인 ‘나’를 위한 애쓰기의 기술
올리비에 푸리올 지음, 조윤진 옮김 / 다른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만시간을 투자하면 성공한다!”

 

널리 회자되어 누구나 한번쯤은 들어봤을 말이다. 매일 3시간씩 10년간 투자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1만 시간의 법칙’, 이 말만큼 오해를 많이 받은 말도 없을 것이다. 10년간 노력했는데 성공하지 못한 사람들의 원성이 자자해지자 ‘1만 시간의 법칙창시자 안데르스 에릭슨은 또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1만 시간의 재발견>이란 책을 통해 제대로 된 방식으로 훈련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각계각층의 성공한 사람들을 조사해봤더니 그들만의 훈련방법이 있더라는 것이다. 노력과 성실함에도 전략이 필요하며 일명 의식적인 연습을 통해 성공의 길로 갈 수 있다는 내용이다

 

이 리뷰에서 ‘1만 시간의 법칙을 강조하려는 게 아니다. 10년 이상 한 분야에서 노력을 했으나 누구나 동의할만한 성공은 하지 못했고, 그렇기에 내가 뭘 잘못해서 그런지 <1만 시간의 재발견>을 읽어보았기에 인용했다. 그러나 이 책은 일 외에 다른 분야나 인간관계에 대한 것은 설명해 주지 못했다. 나는 내 노력의 결과가 좋지 않은 성적표이며 시상으로 의기소침과 비관적 사고를 받았다고 생각했다. 그러니 <노력의 기쁨과 슬픔>이라는 책의 광고에 눈이 번쩍! 할밖에... “너무 열심인 를 위한 애쓰기의 기술이라는 부제와 우리나라 유명 작가들의 추천사는 나를 혹하게 만들었다.

 

저자 올리비에 푸리올은 프랑스에서 철학과 영화 강의를 하는 철학자이자 소설가, 에세이스트이다. ‘철학자가 쓴 자기계발서라는 소개에 걸맞게 이 책은 철학자를 많이 인용하고 있으며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의 사례도 많다. ‘노력에 관한 저자의 주장 중 강조하는 내용은 이것이다.

 

때로 노력은 무용할 뿐 아니라 비생산적이기까지 하다.”

 

간접적으로만 도달할 수 있는 목표들이 있다는 뜻이다. 달성하고자 하는 모든 시도를 멈추고 목표로 삼지 않아야만 도달할 수 있는 일들이 있으니 편하게 하라는 것이다. 여유를 갖는다는 것을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으로 오해하지 말고 효율적으로 행동하라고도 했다. 이 말들을 저자는 수많은 인물들의 사례를 통해 검증하고자 이 책에서 노력했다. 성공이 얼마나 노력을 기울였는가 와는 상관이 없더라는 것이다. 노력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최고난도의 기술이 필요하다고!

 

아래 목차로 저자가 어떻게 자신의 주장을 논증해 낼지 잠깐 예상해 보시라.

 

201045‘1만 시간의 법칙을 실행하기 시작한 댄 매클로플린이라는 사람의 골프 훈련 사례를 보자. 1만 시간 동안 훈련하여 프로골퍼로 거듭나는 것이 목표였다. 댄은 블로그를 개설하고 에릭슨과 직접 소통하며 그가 직접 짠 시간표대로 훈련하고 전문 골프강사를 고용해 하루 8시간씩, 일주일에 6일을 매달렸다. 그러나 댄은 2015년에 자신의 댄 플랜을 그만두어야했다. 허리를 다치는 바람에 목적의식이 있는 연습을 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2년간 침묵과 부정을 반복하다가 그가 깨달은 것은 이것이었다. 자신의 한계와 인간다움을 깨닫고 최고가 되기 위한 욕망을 내려놓는 것! 행복해지려면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것에만 집중하고 나머지는 신께 맡기라는 스토아적 계율을 깨우친 것이다.

 

특정 영역에서 1만 시간을 투자하는 행위로 모든 사람이 전문가적 수준에 도달할 수는 없다. 재능없이 노력만으로 위대함을 이룩해줄 마법의 숫자 같은 건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 저자는 그가 실험을 통해 깨달은 바가 있으니 오히려 성공한 게 아니냐고 했다. 이 사례를 통해 저자는, ‘원하면 이룰 수 있다가 아니라 이룰 수 있다면 제대로 원한 것이라고 했다. 그럼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실행하기 위한 노력을 하지 말란 말이냐는 반박이 있을 수 있다. 이에 저자는 굳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향하기보다 목표를 잊으라고 한다.

 

p.189

자기 자신을 무욕의 상태에 둔 채 두려움이나 조바심을 떨쳐낸다면 사물의 리듬이 자연스럽게, 자신에게 필요한 여유를 가지고 제자리를 찾아갈 것이다. 다소 식물생태학적인 관점이긴 하지만 인간의 대소사에도 존중해야 할 적절한 시기와 기간이 잇는 법이다. 아직 무르익지 않았을 때, 즉 때가 아닐 때 결정을 강요하는 것은 아무 소용이 없다. 혼자 결정하고 세상에 나의 의지를 관철하려 할 것이 아니라, 한 걸음 물러나 세상의 처분을 기다리고 그 소리에 귀 기울이기로 결정해야 한다. 마음을 깨끗이 비우면 행위가 가능해질 것이다

 

 

위 주장은 대입시험(바칼로레아) 준비생에게도 적용된다. chapter8 목표하지 않고 이루기에서 제자 바네사와 소크라테스식 문답법으로 나눈 대화를 그대로 인용했다. 철학시험 점수에 신경을 쓰지 않을수록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을 거라고, 즉 목표에 대한 의식이 우리를 방해할 수 있다고 했다. 이것은 사랑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나머지 두 챕터에서 집중과 휴식, 꿈꾸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한다. 테니스 선수 노아는 데이비스컵 프랑스 대표팀을 훈련하면서 행복과 성과에 관한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을 이룩했다. 우리는 성과가 좋을 때 행복을 느낀다고 여긴다. 그러나 노아는 선수들이 행복과 안녕을 느끼는 것이 먼저고 성과는 그 후에 자연스레 따라온다고 생각했다. 성과는 목적이 아니라 행복의 간접적인 결과이다. 목적삼지 않고도 목적을 달성한다는 것이다

 

위 사례는 우리가 목표를 이루었을 때의 만족감이 그리 오래가지 못하더라는 사실로 확인가능하다. 성공이라는 목표를 향해 노력하기보다는 평안한 마음 상태로 지금 내 상황 안에서 행복감을 느낄 때 목표에 더 쉽게 도달할 수 있다는 뜻이 되겠다. 여기서 의심의 얼굴이 고개를 들이밀 것이다. 그렇게 해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어떤 목표이든 우리는 그것을 설정해놓고 무조건 앞을 향해 내달렸기 때문이다. 그것만이 길이라며 믿었기에 두려운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집필하는 동안 그렇게 애쓰지 않고, 숙고하지 않고, 목적으로 삼지 않고 이루어냈다고 했다. 그러므로 독자들도 수월함에 이르는 여정을 시작해보라며 격려했다. 시도해볼지 않을지는 당신의 몫이다 

 

 

**위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