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65일 ㅣ 365일 1
블란카 리핀스카 지음, 심연희 옮김 / 다산책방 / 2021년 2월
평점 :

<365일>은 넷플릭스에서 개봉한 영화로 2020년 한 해 동안 가장 많이 스트리밍 되었다. 이웃 블로그에서 리뷰가 심심찮게 올라왔고 남자주인공의 외모에 대한 칭찬이 많았던 것 같다. 영화로 보지는 않았던 <365일>을 다산북스 서평단에 당첨되어 책으로 읽게 되었다.
이 책은 호불호라는 단어보다 더 극적인 말은 없을까 생각해봤는데 잘 떠오르질 않는다. 서평단으로서 이 책을 평가하려니 고민이 좀 되었다. 긍정적, 부정적 감상이 떠올랐다가 사라졌다 뒤섞이곤 했다. 그래서 긍,부정 둘 다 쓰려고 한다. 객관적인 평가라는 말은 있을 수 없고 어차피 주관적 감상이다. 혹시 이 글을 읽고 동의하지 못하더라도 미안하지만 어쩔 수 없다.
<365일>의 줄거리는 간단하다. 여자 주인공 라우라가 이탈리아 여행에서 마피아가문의 수장 마시모에게 납치당한다. 마시모가 라우라를 납치한 이유는 총에 맞아 혼수상태일 때 나타났던 환상 속 여성의 얼굴이 라우라였다는 것이다. 라우라는 365일 동안 마시모 곁에 있어야 하며 그 안에 사랑에 빠질 것이라 장담한다. 마시모는 상상불가한 재력을 가지고 있기에 라우라에게 필요한 것은 뭐든 명품으로 사준다. 머무는 집은 5성급 호텔 이상이고 호화로운 요트를 둘 만 타고 바다로 나갈 수 있으며 라우라가 어딜 가든 경호가 붙는다. 아, 빠지면 안 되는 것! 당연히 둘의 섹스는 환상적인 궁합을 자랑한다. 둘의 외모는 모델, 배우 뺨칠 정도니까. 특히 마시모는 여성들이 원하는 이상형의 조건을 모두 갖추었다.
독자들의 평가는 극과 극으로 갈릴 수밖에 없다.
부정적인 평가 먼저!
세상이 어떤 세상인데! 여자를 보쌈 해 오던 때를, 나무꾼이 선녀 옷을 숨겨 떠나지 못하는 선녀를, 21세기에 등장시키느냔 말이다. 명품 드레스와 신발, 페라리 차, 호텔 같은 집을 주면 납치 당해도 땡큐하며 들어가서 산단 말인가? 한 번도 만난 적 없는 사람이라도, 성격은 어떤지, 나와 맞는지 확인할 필요도 없이 잘생기면 다 오케이인가? 여성을 소유물로 생각하며 남자 마음대로 해도 상관 없다고? 결론은 돈 많고 잘 생기고 나만 사랑해주는 남자!
이 문장은 글자 그대로 긍정적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왜냐하면 여성들의 로망이 다 들어가 있으니까. 그렇다! 잘 알고 있다! 너무나 허황된 꿈이라는 걸... 진짜로 그런 남자가 내 앞에 나타날 리 만무하다는 걸! 그런데 꿈 좀 꾸면 안 되나? 현실에서 이루어질 수 없으니 로망 아닌가! 그러니 책에서라도 좀 실현시켜보자! 내가 라우라가 좀 되어보자고! 책의 장면 속에 내가 들어가 있다고 상상하다가 혹시 꿈에서 마시모 같은 남자랑 좋은? 시간 보내게 되면 것도 좋은 일 아닌가. 책의 내용을 상상하며 읽는 맛이 이런 게 아니겠는가!
그래서 이 소설은 여성들의 대리만족을 위해 나무를 너무 많이 희생했다는 평가를 받을 지언정, 여성독자들이 읽는 동안 행복했다면 그것 역시 순기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화에 남자 주인공으로 나온 미켈레 모로네라는 배우의 인기가 치솟고 있는 모양이다. 책이 3권 시리즈인데 영화도 후속편이 나올 예정이다. 그나저나 영화 365일이 미국 골든 래즈베리상(최악의 영화와 배우에게 수여하는 상)에 후보로 올랐다고 한다. 악명도 유명은 유명이니까 어떤 식으로든 관심을 끌어 돈을 벌면 되는 거다! 그것이 자본주의!!
**위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