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변두리 로켓 가우디 프로젝트 ㅣ 변두리 로켓
이케이도 준 지음, 김은모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0년 12월
평점 :

이케이도 준의 소설 <변두리 로켓> 1편의 목표는 로켓 쏘아올리기였다. 그것을 실현하려는 주인공은 변두리 중소기업 ‘쓰쿠다 제작소’의 사장 쓰쿠다이다. 장인정신으로 똘똘 뭉친 그는 로켓 발사에서 결정적 역할을 하는 밸브 제작에 심혈을 기울인다. 꿈과 장인 정신이 있어도 대기업의 횡포와 자금압박, 아무리 중소기업이지만 회사를 잘 꾸려나가고 직원들을 독려해야하는 것 등등 헤쳐나가야 할 일이 너무나 많았다. 독자로서 주인공이 성공하길 바라며 응원하는 마음으로 읽었다. 다행인건 해피엔딩이라는 거~~ 쓰쿠다 제작소에 닥쳤던 일들이 하나하나 해결되고 드디어 로켓 발사의 꿈도 이루게 되면서 1편이 끝났다.
2편 “가우디 프로젝트”는 1편보다 더 복잡해졌다. 1편에선 로켓 핵심 부품을 완성하고 납품하는 하나의 목표를 향해 직진했다면 “가우디 프로젝트”는 협업이다. 1편에서 회사를 떠났던 마노가 인공심장판막을 만드는 “가우디 프로젝트”로 쓰쿠다 제작소에 협업을 요청해 온다. 이번엔 로켓 기술로 생명을 구하는 프로젝트가 된 것이다. 이번 책이 복잡하다고 한 이유는 의료진이 나오기 때문이다. 인공심장판막을 수술하는 명의로 이치무라 교수가 나오고 선배이자 권위의식에 찌든 기후네 교수가 나오는데 라이벌 관계이다. 이 둘의 사이와 병원 내 권력 관계는 <하얀 거탑>을 연상시킨다. 쓰쿠다는 당연히 이치무라 교수쪽이다. ‘니혼클라인’에서 납품받은 인공판막의 불량으로 의료사고가 발생하고 기후네 교수는 그것을 숨기려고 한다. 그 사건은 내부고발에 의해 세상에 알려지게 된다. 의료와 협업을 하게 되니 쓰쿠다 제작소와 병원, 두 축으로 사건이 전개되고 여기에 내부고발까지 더해지므로 1편보다는 복잡했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1편에서 4년이 지난 시점이니 쓰쿠다 제작소가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진화했을까? 그렇지 않다. 여전히 대기업의 횡포에 속수무책이다. 1편에서 그랬듯 이번에도 시작부터 대기업에게 당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대기업 ‘니혼클라인’은 어디에 쓰일 부품인지는 밝히지 않은 채 시제품을 만들라고 해놓고 단가 후려치기를 한다. 그리고 이번에는 경쟁 업체까지 등장하는데 “시야마 제작소”이다. 나사(NASA)출신의 시나라는 사람이 사장인데 쓰쿠다와 정반대의 캐릭터라고 보면 된다. 경쟁자이자 빌런의 역할을 톡톡히 한다. 나사출신이라는 간판을 내걸고 쓰쿠다와 정정당당하게 경쟁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뒷구멍으로 못된 짓만 한다. 쓰쿠다의 인공판막 핵심 기술을 빼돌리기 위해 직원 나카자토를 스카웃 명목으로 데려온다. 대기업 로비는 물론 데이터 조작도 서슴지 않고 스쿠다를 이기기 위한 온갖 방법들을 동원한다. 이번에도 데이코쿠 중공업에 납품 건이 나오는데 자이젠 부장(데이코쿠에서 그나마 합리적이고 정상적인 인물)외엔 또 모두 시야마 제작소 편이다.
여전한 대기업의 횡포, 더해진 의료계 상황과 내부고발까지 1편에 비하면 상당히 복잡해진 구도이다. 여기서 또 빠지면 서운한 게 있다. 쓰쿠다 제작소의 투덜이들! 쓰쿠다는 꿈이 있는 우직한 사장이다. 츤데레까지는 아니지만 직원들을 인간적으로 대하고 아낀다. 이 책 초반에 쓰쿠다에게 가우디 프로젝트를 제안한 사람 마노는 1편에서 쓰쿠다의 방식에 반기를 들고 회사를 떠난 사람이다. 그랬던 옛 직원이 일과 관련된 제안을 떠난 회사의 사장에게 할 수 있다는 것은 쓰쿠다가 어떤 인물인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번에는 마노보다 더한 직원이 나오는데 시야마 제작소로 옮긴 나카자토이다.
나카자토가 쓰쿠다 제작소를 떠날 때 이렇게 말했다.
“까놓고 말해 쓰쿠다 제작소의 앞날에 의문이 생겼습니다. 요전에 니혼클라인과 있었던 일을 생각해 보세요. 기술력과 열정이 있으면 뭐합니까. 그걸 살리질 못하는데. 지금까지 이 회사를 믿고 열심히 해왔지만, 보답받은 적은 한 번도 없었습니다.”
계속 회유해도 소용이 없자 쓰쿠다는 결국 이렇게 말한다.
“마지막으로 한마디만 더 할게. 나카자토, 어딜 가도 편하지만은 않아. 힘들 때가 반드시 찾아와. 그럴 때는 엇나가거나 달아나지마. 남 탓도 하지 말고. 그리고 …… 꿈을 가져. 내가 자네에게 해줄 말은 이 정도 뿐이군.”
쓰쿠다에서는 희망이 없다며 시야마로 간 나카자토는 그 곳의 더러운 민낯을 보게 된다. 당장 그곳을 버리고 떠나거나 비굴하게 쓰쿠다에게 다시 받아달라고 돌아올 것 같았지만 나카자토는 그러지 않는다. 위에 쓰쿠다가 했던 말처럼 그는 책임있는 행동을 한다. 어쩌면 쓰쿠다의 바보같은 믿음이 내편 네편을 떠나 한 인간을 성장시킨 셈이다.
쓰쿠다의 아래 대사는 인간에 대한 믿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나카자토는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 새로운 터전을 선택한 거야. 우리 기술을 빼돌린다거나 그런 악랄한 짓을 할 녀석은 아니야. 만약 그런 것도 모르는 녀석이라면 제대로 교육하지 못한 내 잘못이지. 내 생각은 그래.”
그후 나카자토가 한 짓이 밝혀졌지만 쓰쿠다는 그에게 어떤 책임도 묻지 않는다. 떠날 때 했던 말처럼 자신이 처한 상황을 잘 헤쳐나가길 빌어준다.
쓰쿠다의 인생 철학을 따르는 직원들은 그의 마인드에 동화되었다. 직원 야마자키의 말을 보면 알 수 있다.
“세상에는 벽이 수없이 많아. 편하게 잘 풀리는 일은 드물지. 그렇다고 도망치면 실적이고 평가고 아무것도 남지 않아. 그걸 제일 잘 아는 사람이 바로 쓰쿠다 고헤이라는 사람이야.”
사장으로서 쓰쿠다는 직원들을 인간적으로 대한다. 기계의 부품처럼 대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늘 하는 말, 꿈을 가져야 한다는 말은 이번 책에서 직원들을 통해 실현된다. 가우디 프로젝트를 실현시켜야 하는 이유, 인공판막을 만들어야 하는 이유는 생명을 살리기 위한 것이다. 2권에서 그들의 꿈은 생명을 살리는 것! 로켓 발사가 ‘미지의 세계를 향한 도전’이라는 꿈이었다면 가우디 프로젝트는 내 옆에서 죽어가는 생명, 아이들에게 미래를 선물하는 것이다. 그런 꿈을 실현하는데 부실한 공정과 데이터 조작은 있을 수 없다. 장인 정신의 쓰쿠다 제작소에서 만든 제품이 명의 이치무라의 손에 의해 꺼져가는 생명에 불을 밝혀주는 마지막 장면에서는 벅찬 감동이 밀려온다.

초반부에 촤르륵 펼쳐놓은 고난들을 보니 한숨부터 나왔다. 후...
그러나 쓰쿠다는 1편에 닥쳤던 난관들 그대로~ 받고! 2편에서는 거의 따따블로 기다리고 있는 것들에게 콜을 외쳤다! 그리고 하나씩 도장깨기 들어간다. 그럴 줄 알았지만 나가떨어지는 인간들 보니 통쾌했다.!ㅎㅎ 400쪽이 넘는 분량이 순삭이었다. 쓰쿠다가 어떻게 해결해 나갈지, 가우디 프로젝트가 어떻게 성공할지, 숨죽이며 페이지를 넘겼다. 일본에서 드라마로도 인기를 끌었다는데 한번 보고 싶다. 일드 거의 안보지만 2권까지 읽고 보니 쓰쿠다 사장 역할을 누가 했을지 궁금하다. 읽을수록 쓰쿠다라는 인물의 매력에 빠져들고 있다. 꿈을 향해 멈추지 않는 그의 도전이 아름답다!
품질 하면 쓰쿠다, 쓰쿠다 프라이드
위 구호처럼 쓰쿠다에게는 그 어떤 프로젝트가 맡겨져도 다 해낼 거지만 말이다.
도저히 풀릴 것 같지 않은 엉킨 실타래에서 한 가닥 뽑아내어 새로운 작품을 한땀한땀 직조해내는 작가의 실력을 보고 있으면 독자로서 쾌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 <변두리 로켓:가우디 프로젝트>는 이번 편 단독으로도 충분히 재미를 느낄 수 있는 내용입니다.
**위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