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으로 가는 23가지 방법 바일라 9
김혜진 지음 / 서유재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혜진 작가의 소설 <집으로 가는 23가지 방법>은 주인공인 여고생 와 친구 와 스무 살 네이의 이야기다. ‘의 중심은 가족인데 집에서보다 친구들과의 시간이 더 편하다. 혼자 있을 때도 마찬가지. ‘는 전학한 학교에서 이사한 집으로 가는 여러 가지 방법을 기록한다. 학교가 아닌 다른 곳에서 집으로 가는 길도 써둔다. 이름 없는 주인공, ‘의 가정은 평범해 보인다. 부모님이 있고 언니와 오빠도 있는 집의 막내딸이다. 하지만 언니는 어려서부터 지금까지 계속 아프다. 무슨 병인지에 대한 정보는 없다. 불치병 같은데 시한부인 것도 같다.

 

작가는 주인공에게 불친절하다. 친구 둘의 이름은 있고 마지막엔 언니 이름도 한 번 나오는데 는 이름이 없다. 어찌 보면 또 아니다. 1인칭 주인공 시점에 주인공이 네이를 설명하는 내용이 많기 때문에 그들의 이름이 나오는 게 당연하니 말이다. ‘는 집에서 관심과 귀여움을 받는 막내딸이 아니다. 집안의 모든 일은 아픈 언니 위주로 돌아가기 때문이다. 그렇게 자란 아이는 일찍 철들 수밖에 없고 남의 눈치를 잘 본다. 분위기 파악이 빠르단 뜻이다. 그리고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지 않는다. 자신의 요구가 수용된 적이 없었기에 원하는 것이 있어도 지레 포기한다

 

일견 답답해 보이는 주인공이지만 이사 후 의지를 가지고 하는 일이 생긴다. 집으로 가는 방법을 찾고 기록으로 남기는 것이다.

 

 

 

이 루트를 보는 독자들 중 자신의 집 근처라서 그 경로가 머리에 선연히 그려지는 사람이 있을 것이고, 나처럼 역 이름만 겨우 아는 정도인 사람도 있을 테고, 아주 낯선 길인 사람도 있을 것이다. 주인공이 기록한 길의 이름을 알고 모르는 게 그리 중요한 건 아니다. 하지만 등장인물에 공감하기 좀 힘들 경우, 소설 속에 나오는 것들 중 무엇이라도 아는 것이 있으면 반갑다. ‘에게 감정이입하기 쉽지 않았다. 청소년 시기를 지나왔지만 나는 장녀이고 가족 중에 환자가 있었던 것도 아니었다. ‘의 루트를 보며 내가 가본 곳이라며 반가워했다가 의 생각과 행동을 보며 요즘 저런 아이가 있을까 싶기도 했다.

 

는 길을 찾고, 모는 글을 쓰고, 네이는 오래된 물건을 모은다. 아래는 이들 셋이 무언가를 모으고 기록하는 공통점을 가진다는 걸 확인한 후 주인공이 한 생각이다

 

"왜 모으고, 기록하고, 알려 했을까? 무엇이 결핍되었기에 그런 것들로 채우려 했던가? 우리가 뭔가를 특별히 원할 때, 그 이유는 무엇일까? 만족이란 뭘까?"  p.89

 

모와 네이가, ‘가 기록한 길을 알아보는 것에 는 놀란다. 알아본다는 것은 의미를 부여한다는 것이라는 발견을 하다니! 일찍 철든 아이들의 특성이다. 나이보다 어른스럽다고 불리기도 하는데 그건 칭찬이라기보다 애잔함이다. 어린 나이에 겪지 않아도 될 일들을 겪어왔다는 뜻이므로.

 

는 언니가 네이에게 중고 직거래로 판 포세린돌갖고 싶었다. 그 인형의 주인은 물론 언니지만 팔지 말고 자신에게 줬으면 했지만 말하지 못했다. 동생이라면 언니에게 징징거릴 수도 있을 텐데, 내게 주면 안 되냐는 그 말을 못했다. 제법 고가의 인형을 시세보다 저렴하게 내놓은 대신 그것을 꼭 사야만 하는 이유를 손 편지로 쓰는 것이 조건이었다. 그 유별난 요구를 충족시킨 사람이 네이였다. ‘와 모는 그 직거래에 같이 나갔고 그렇게 셋은 만나게 된다.

 

둘은 의 무채색 일상에 들어와 색을 입힌다. 책을 많이 읽는 모에게서는 보르헤스 소설을 이야기로 듣고, 재개발 현장에 버리고 떠난 사람들의 물건을 줍는 네이와 함께 다니며 타인의 삶을 보게 된다. 이 소설은 여백 많던 '나'의 도화지에 여러 색들이 칠해지는 여정을 보여준다. 그 여정은 23가지다. 단순한 길도 있고 복잡하고 긴 방법도 있지만 그 길들은 모두 다르기에 풍광도, 색감도, 다르다.

 

집으로 가는 방법 23번째는, 언니를 찾아서 집으로 데려오는 길이다. 네이와 언니가 말없이 떠난 속초 여행을 와 오빠와 모가 뒤따라가서 함께 돌아오는 길이다.

모는 자신은, 다른 사람이 어떻게 사는지 보고만 있는 것 같고 는 아닌 것 같다며 이렇게 말한다.

너는…… 너로서 살고 있는 것 같아. 길을 찾는 거, 그것도 그래.”

 

네이도 말한다.

나도 두려운 게 많아. 하지만, 사랑은 …… 모든 두려움을 이긴다고 했어.”

 

는 모와 네이의 말을 들으며 마음으로 느낀다는 것의 의미를 생각한다. 살면서 매 순간을 다 마음으로 느끼다간 눈이 짓무를 정도로 눈물이 날지 모르겠다고... 사랑받지 못한다고 생각했고, 길을 기록해 두는 것에 의미도 찾지 못했던 가 친구들과 함께한 그 때만큼은 간절히 느끼는 순간이었다. 이제 집으로 가는 방법을 찾지 않아도 될 정도가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에게 습관이 된 경로 기록은 멈추지 않을 것이다. 

 

특수한 가정 상황 때문에 어리광같은 건 부릴 줄 모르고, 자심의 감정도 꾹꾹 눌러 숨겨야 했던 소녀가 집으로 가는 길을 기록하면서 타인의 길을 보게 되는 이야기였다. 소설을 읽는 이유는 주인공의 삶에 공감하며 재미와 감동을 느끼려고 읽는다. 이 소설은 그 둘 모두 그리 만족스럽지 못했다. 하지만 괜찮은 문장들을 건진 건 수확이었다.

 

- 우리는 기억을 먹고 산다. 가끔 꺼내 씹고, 맛보고, 도로 넣어 놓는다. 쓰거나 시거나 고소한 기억들이 밥솥의 밥처럼, 가방 속 껌처럼 뭉쳐 있다.

- 무엇도 믿을 수 없다는 불신은 지금 내 옆의 누군가에 대한 신뢰로 변했다.

- 우리는 태어나면서 모두 복권을 뽑은 거야. 그게 상인지 벌인지는 모르지. 그리고 그걸 언제 받게 될는지, 지금 받고 있는지도 우리는 몰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