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 아더 피플 - 복수하는 사람들
C. J. 튜더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각한 범죄에 연루되지 않았더라도,

사법부의 판결이 돈이나 권력을 가진자에게 유리하게 내려질 때,

우리는 흥분한다.

세상이 어쩌다 이 지경이 되었나며...

그런데

나에게 아주아주 억울한 일이 생긴다면?

이를테면 음주운전으로 내 어머니를 죽인 자가, 내 딸을 성폭행한 자가, 말도 안 되게 약한 처벌을 받거나 쉽게 풀려난다면?

그 땐 흥분을 너머 내가 직접 처단하겠다고 나설지도 모른다. 허술한 법망을 이용해 미꾸라지처럼 빠져나간다면, 공적 처벌이 불충분하므로 정의 실현을 위해서라도 사적으로 처단하겠다는 맘이 굴뚝 같을 것이다. 실제 그런 사람들이 얼마나 많을까? 눈에는 눈, 이에는 이의 논리로 해결하고 싶은 마음일 터이다.

소설 <디 아더 피플>은 그런 단체다. 사적 복수를 해주는 곳이다. 보수는 없다. 킬러를 고용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상부상조하는 곳이다. 자신이 한 의뢰를 누군가가 들어주면 자신도 언젠가는 갚아야 한다. 공짜는 없다. 먹튀하면 끝까지 따라와 응징한다.

이 소설의 작가 C.J.튜더는 이미 소설 두 권을 출간했으며 발간하는 작품마다 극찬을 받고 있다. 전작 <초크맨> <애니가 돌아왔다>는 아직 못 읽어봤고 이번 소설로 처음 만났다. 400페이지가 넘는 소설인데 후루룩 단숨에 다 읽을만큼 몰입감이 있었다. 이 소설은 올 상반기에 읽은 <어둠의 눈>과 <실버로드>와 유사하게 시작한다. 공식적으로 죽은 딸이 살아있다고 생각하는 아빠가 3년간 딸을 찾아 헤매다닌다. 분명 시체가 확인됐고 장례까지 치렀지만 아빠는 딸이 살아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달리는 고속도로에서 앞차에 딸이 타고 있는 걸 분명 봤기 때문이다.

분명 딸 이지가 살아 있을거라 확신하는 게이브가 3년간 추적 끝에 이지가 탔던 차량을 발견하게 되면서 사건의 실타래는 풀리기 시작한다. 늘 그렇듯 이 소설에서도 경찰은 무능력하고 뒷북 친다. 절실함의 강도가 가장 높은 부성이 경찰의 능력치를 가뿐히 넘어선다. 그리고 게이브가 디 아더 피플이란 사이트에 접근하면서 등장인물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아니 어떻게 물고 물리는 관계가 되었는지 서서히 드러난다. 그 연결성을 리뷰에 쓰면 줄거리 스포일러가 되므로 쓸 수가 없다.

이 책은 영국 소설에다가 범죄소설인데 불교의 연을 떠올리게 한다. 디 아더 피플의 가동방식이 공짜는 없고 자신이 받은 만큼 되돌려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것은 의도치 않았으나 인물들간에 연결성이 생긴다. 이는 자신의 행위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게 아닐까? 그것이 치밀한 계획이었든, 개인적 욕망이었든 타자와 어떠한 방식으로든 연결된다는 것을...

그리고 법을 넘어선 개인의 복수, 사적 처벌의 범위에 대해서 독자에게 묻고 있다. 과연 공권력이 아닌 개인의 그런 행위가 얼마만큼의 정당성을 가질 수 있는가? 인간의 죽음의 가치에 대한 질문이기도 하다.

속도감있게 전개되는 소설이었지만 작가로부터 여러가지 질문을 받았다. 그저 재미로 읽고 말기에는 질문의 무게감이 있다. 그런데 또 이런 생각도 든다. 법의 심판 제대로 안 받고 넘어가는 권력자들은 법대신에 저런 사람들이 처단해줬음 좋겠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