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랑한 시옷들 - 사랑, 삶 그리고 시 날마다 인문학 1
조이스 박 지음 / 포르체 / 202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사랑한 시옷들>

어떤 시옷들일까?

작가가 사랑했다는 시옷은?

사랑, 삶, 그리고 시!

라고 한다.

이 책을 쓴 사람은 ‘조이스 박이’고, 고 장영희 교수님의 제자라고 한다.

그가 사랑한 시옷들을 어디에서 찾아냈을까?

전공답게 영시에서 찾아냈다.

이 책의 부제는 ‘죽기 전에 알아야 할 명시 산책’이라고 되어 있다.

 

 

혼탁한 말과 글의 밀림이 일상을 지배할 때, 나는 시 속에서 내가 사랑하는 시옷들을 꺼낸다. 이 책을 쓰기 위해 고전과 현대의 명시들을 다시 읽으며 나는 사랑으로, 삶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시로 빚어진 책은 사랑과 존재와 삶의 이유가 어디에 있는지 알려주는 이정표이므로, 내가 그러했듯 그대들도 말과 글의 밀림 속에서 사람을, 사랑을, 나아가 삶을 캐며 서서히 그 길을 걸으시길 바란다.

위 프롤로그의 당부대로 독자들은 저자가 소개하는 영시를 통해 사랑과 삶의 길을 걸어가 볼 기회를 가질 수 있다.

 

평소 줄글에 비해 시는 자주 읽지 않는 편이다. 그 이유는 은유와 상징의 해석이 필요한 시가 직관적으로 와닿지 않아서이고, 급한 성미가 찬찬히 감상할 여유를 내지 못하게 가로막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물며 영시라니?

과연 읽어낼 수 있을까?

걱정을 하며 책을 펼쳤다.

 

일단 이 책은 짱짱하고 도톰한 표지가 내 취향이고, 표지의 색감과 구성도 마음도 들었다.

                            

책등을 요철이 있는 질감으로 덧입혀서 좋았다.

 

이 책은 3부로 구성되었고 각 부마다 10편씩 총 30편의 영시를 소개하고 있다.

각 시마다 첫 페이지에는 시인의 이름과 간단 약력을 소개하고, 그 시인의 초상을 펜드로잉화로 표현했다.

 
다음 페이지는 영시 본문, 그 다음은 해석한 한글,                            

그리고 시의 해설과 작가의 사유가 실려 있다.

마지막엔 ‘영시로 배우는 영어’ 코너를 두어 그 시에 쓰인 문장으로 영문법 해설을 덧붙였다.

 

 

1부에서 내가 고른 시는 ‘엘리자베스 제닝스’의 “뒤늦게 오나니”이다.

 

 

하늘에 빛나는 별이 그 옛날에 와서 이제야 도달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시인은 별의 빛남을 사랑에 비유했다.

바라봐주길 바라는 별빛도 있고, 어떤 별빛은 다른 곳을 비추기도 하는, 그 어긋남을 시인은 “Delay”라고 표현한 것 같다.

첫만남에 불꽃이 파바박 일어 사랑에 빠지는 경우는 얼마나 될까?

애태우며 바라보기만 하는 짝사랑만큼 심장 따가운 것도 없으리라.

아마도 시인은 빛나는 하늘의 별을 보다가 짝사랑하는 이에게 닿지 못하는 자신의 빛남을 안타까워하며 이 시를 쓴 게 아닐까...

 

아래는 저자의 해설이다.

이제는 밤하늘에 별똥별이 어긋나는 광경을 보기 어려워졌지만, 마음과 마음이 어긋날 수 있다는 것을 우리는 짐작할 수 있다. 그래서 별을 보면 이따금 슬픔에 잠긴다. 까마득한 시간을 건너온 별이 자신이 태어난 고향 별을 잃어버리는 것처럼, 사람이 쏘아 보낸 마음도 이리저리 흩어지면 본래의 마음은 온데간데없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랑은 타이밍인지도 모르겠다. 적확한 시공간, 내가 쏘아 올린 마음을 받을 공간에 상대가 있어야 하는, 그런 기적 같은 타이밍이 늘 필요하다.

2부에서 고른 시는 ‘엘리스 워커’의 “Desire”이다.

 

아래는 마지막 연이다.

I carefully tended

in the garden of my heart

grew a heart

to fill it

내 마음의 정원에 난 구멍을

정성껏 가꾸었더니

그 구멍을 메우느라

마음을 키워내 채웠어

욕망의 종류가 여럿이겠지만, 요즘처럼 집에만 있어야 하는 상황에서 그 비중이 커진 것은 식욕이다.

할 수 있는 것이 제한되다보니 돌아서면 밥을 해야 하는 게 일이라고 한다.

주부들은 그것을 하루 세 번씩 꼭꼭 해야 하니 메뉴를 정하고 조리하고 치우는 것도 큰일이 되었다.

먹는 행위에 이렇게 많은 시간을 들이니 식충이 된 것 같기도 하고, 다른 데에 관심을 줄이니 식욕으로 옮겨간 것인가 싶기도 하다.

으흠... 마음의 허허로움 가꾸고 구멍을 채워냈다는 싯구와는 차원이 다른 욕망에 대해 생각하고 말았다.

 

저자의 해설을 또 옮기지 않을 수 없다.

당신은 심장에 구멍이 숭숭 뚫린 것처럼 아팠던 적이 있었을까? 어떤 결핍이 당신의 심장에 구멍을 내었을까? 삶은 욕망을 모두 채워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욕망을 잘 다스려서 키워낸 마음의 살로 심장의 구멍을 채우는 일임을 당신이 알게 되어, 살아 있어 욕망하고, 욕망하므로 살아있다 말할 수 있기를 바란다.

 

 

 

3부에서 고른 시는 ‘도로시 파커’의 ‘재고’이다.

재고

네 가지가 있으니 내가 알게 되어 더 현명해진 것들

게으름, 슬픔, 친구 그리고 적수

네 가지가 있으니 없었더라면 더 좋았을 것들

사랑, 호기심, 주근깨 그리고 의심

세 가지가 있으니 나는 평생 지니지 못할 것들

질투, 콘텐츠, 그리고 넘치는 샴페인

세 가지가 있으니 바로 죽을 때까지 내게 있을 것들

웃음, 희망 그리고 그러다 삶에 한 대 얻어맞기

 

인생에 재고가 있는 것과 없었더라면 좋았을 것, 평생 지니지 못할 것과 죽을 때까지 있을 것들의 목록인데 이것은 거의 죽음 직전 삶을 돌아보며 할 법한 생각이다.

죽기 전에 해보는 인생의 재고 조사라...

그리고 그 목록들이 상징하고 있는 것들...

시인의 그것이 내게 동일하게 해당되지는 않는다.

또한 무슨 의미로 쓰였는지 알쏭달쏭한 것들도 있다.

 

3연의 내용이 궁금하여 필사해 보았다.

 

나에게 질투는 없었더라면 더 좋았을 것이고,

콘텐츠는 지니지 못할 것에 해당되는 것 같으나 분명 시인이 의미하는 바와는 다를 것 같다.

그리고 넘치는 샴페인...

샴페인이 술 일반을 의미한다면 내게는 아예 해당없음이다.

나는 술을 좋아하지 않고 거의 마시지 않기 때문이다.

아직 죽을 나이는 아니지만 현재 나의 재고는 무엇일까?

바로 떠오른 것은 고양이다.

고양이가 내 인생에 들어오지 않았다면 나는 분명 불행한 삶을 살고 있을 것이다.

 

3연에서 샴페인이 쓰인 이유가 뭘까? 궁금했는데 저자의 해설로 해소되어 그 부분을 옮겨 본다.

평생 지니지 못할 것 중 하나로 파커가 ‘enough champagne’을 넣는 바람에, 이 구절은 술에 대한 멋진 인용구로 회자된다. 이 말은 샴페인은 아무리 마셔도 충분치 않다는 속뜻을 품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을 다 읽는데는 시간이 좀 걸렸다. 보통 하루나 이틀만에 다 읽고 바로 리뷰를 쓰는 편이다.

그런데 이 책은 속도내어 읽기부터 좀 힘들었다.

내가 즐기지 않는 시라서 그렇기도 했고, 영시라서 더 그랬던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다행이 저자의 해설이 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되었다.

만약 설명이 없었더라면 처음 만나는 외국 시인의 시를 읽고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몹시 막막했을 것이다.

그보다 먼저, 쌤앤파커스 출판사의 서평단이 아니었다면 이런 책을 읽을 시도조차 하지 않았을 것이다.

서평단 활동으로 받는 책들이 모두 내 취향일리 없다.

그렇다고 스트레스 받기보다는, 편식없이 다양한 장르의 책을 받아서 읽는 장점이 있다.

이번 책처럼 스스로 선택할 리가 없는 책을 서평단 활동으로 받아 읽으며 외국 유수의 시인들과 시를 접할 수 있었고 저자의 친절한 해설 덕분에 즐거운 독서의 시간을 가졌다.

 

이 책은 영문학도들에게는 좋은 교과서가 될 듯싶고, 일반 독자들 중 시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선택해도 후회없을 것이며,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라해도 저자의 인문학적 사유를 함께 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저자가 사랑한 시옷들을 영시 속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고, 독자만의 시옷들을 발견하게 될지도 모른다.

자신만의 새로운 발견이야말로 탐독의 즐거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