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은 어떻게 글이 되는가 - 정확하고 설득력 있는 글을 쓰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서울대 글쓰기 특강'
박주용 지음 / 쌤앤파커스 / 2020년 3월
평점 :

요즘은 글을 잘 쓰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그 욕구만큼 실제로 잘 쓰는 사람의 숫자는 많지 않다. 만약 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체계적인 글쓰기 교육을 잘 받았다면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그리 크지는 않을 것이다. 기본적 글쓰기 방법을 잘 익히지 못했기 때문에 시중에 글쓰기 관련 서적 많이 나와 있고, 그것은 글을 잘 쓰고 싶은 사람들이 그만큼 많다는 것을 방증한다. 책 뿐 아니라 오프라인 수업도 많이 개설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다. “글을 잘 쓰고 싶다”고 할 때, 그 글은 갈래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에세이나 소설처럼 문학일 수도 있고, 대학생은 리포트, 직장인에겐 보고서가 되겠고, 학문적 성과인 논문이 될 수도 있다. 쓰고자 하는 글의 갈래에 따라 방향성과 세부적인 부분에 차이가 있다.
서울대 박주용 교수는 지난 7년간 서울대에서 글쓰기 수업을 하면서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교재를 찾아보았으나 마음에 드는 교재가 없어서 직접 글쓰기 책을 냈다고 한다. 쌤앤파커스에서 출간된 책 <생각은 어떻게 글이 되는가>가 그것이다. 이 책은 저자가 사회과학 분야의 글쓰기 수업을 진행 하던 중 학문적 필요에 의해 글을 써야 하는 학생들, 읽거나 배운 것을 논리 정연한 글로 풀어내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실용적 도움을 주고자 집필하게 되었다고 한다. 여기까지 읽고 깜짝 놀라서 이 책을 읽기를 거부하지 말기 바란다.
‘앗, 서울대생을 대상으로 한 책이라면 어렵겠구나!’
‘사회과학이라니? 나는 그냥 에세이 같은 편안한 글을 쓰고 싶은데...’
라고 생각하여 자신의 방향과 맞지 않을 거라고 생각할까봐 미리 밝힌다. 대중서로서 그렇게 어렵다면 제목을 <생각은 어떻게 글이 되는가>라거나 부제로 ‘정확하고 설득력 있는 글을 쓰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이라고 붙이지는 않았을 것이다. 물론 중간에 가설을 세우고 논증하고 반박하는 부분은 논문쓰기에 주로 해당되는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신문 칼럼을 한 번 생각해보면, 논문쓰기 형식의 축소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자신의 생각을 타인에게 잘 설득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례를 가져와 논리에 맞는 근거로 삼아야 하며 예상 반론도 반박한 후 그래도 자신의 주장이 옳다고 주장해야 하는 것이다.
또 여기서 흐읍! 하는 사람들이 있을 줄 안다.
‘나는 칼럼 안 쓸건데 굳이 그건 방식까지 알아야할까?’
하는 반박이 나올 것이다. 그러나 글을 잘 쓰고 싶다는 욕구에는 타인의 평가가 전제되어 있다는 것을 간과하면 안 된다. 일기처럼 남에게 보여주지 않고 혼자 보고 만족하는 글이라면 상관없겠지만, 그 외의 모든 글은 SNS든 학교나 회사든 어딘가에 제출하여 평가를 받게 된다. 그러므로 잘 쓰고 싶은 게 아닌가. 이 책에서 저자는 초중고 12년의 교과과정이 자신의 생각을 말이나 글로 표현하는 교육보다는 시험을 위한 공부나 입시용 논술훈련만 받았기 때문에 학생들이 글쓰기를 어렵게 여긴다고 말한다. 그래서 책의 첫머리에 베이컨의 말을 인용했다.
“독서는 지식이 많은 사람을, 토론은 준비된 사람을, 글쓰기는 정확한 사람을 만든다.”
토론과 글쓰기가 빠진 독서로는 생각하는 힘을 키우기가 어려우므로 ‘토론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비판하는 가운데 새로운 생각을 떠올릴 수 있고, 글을 써야 생각을 정리하고 정리된 생각을 담아낼 수 있다’ 고 했다.
주장이 담긴 논리적인 글을 잘 쓰기 위해 목차를 아래와 같이 여덟 부분으로 구성했다.



목차만 봐도 머리가 지끈한다라는 사람들을 위해 저자가 이 책에서 말하는 글쓰기의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기본적이라고 한 이유는 꼭 논문이 아니어도 대부분의 글쓰기에 적용가능하기 때문이다.
[글쓰기 습관을 위한 조언]
1. 정해진 시간과 장소에서 글쓰기를 반복한다.
2. 한 번에 많이 쓰는 대신 가능하면 매일 같은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쓴다.
3. 주장이 담긴 논리적 글은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쓸 때 더 성과가 좋다.
4. 자신의 생각이 담긴 글을 잘 쓰려면, 객관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텍스트보다는 글쓴이의 주장이 담겨 있는 글을 읽은 다음 그 주장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정리해보는 것이 좋다.
5. 자신이 쓰는 글의 내용을 누군가에게 말해 본다.
6. 누군가가 자신이 쓴 글에 대해 피드백을 요청하면 그 요청을 최대한 받아들여라.
[좋은 글의 특징]
1. 제목이 중요하다!
2. 도입부에서 독자의 관심을 끌어라!
3. 개인적 일화를 포함 시키면 독자의 공감을 불러 일으킨다.
4. 추상적인 개념은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면서 설명한다.
[글쓰기 순서]
1. 개요를 먼저 구상한다.
2. 개요에 맞추어 초고를 완성도 높게 쓴다.
3. 퇴고에 비중을 높여야 한다. (글 쓰는 시간과 퇴고의 시간을 반반으로!)
4. 교차 평가한다.(학생들은 동아리에서, 성인들은 독서모임에서 꼭 할 것을 권유!)
위 정리한 내용을 읽고 다 알던 내용이라며 이 책을 스킵하지 말길 바란다. 더 자세한 내용과 실제 트레이닝해볼 텍스트와 방법들도 많으니 직접 책을 읽어보길 권유한다. 서울대생이 아니라서 저자의 글쓰기 강의를 들을 수 없는 학생들이라면 이 책을 꼭 사서 활용하면 좋겠다. 3, 4장에서 제시된 텍스트를 요약하고, 자신의 생각을 끌어내는 부분은 부록을 답지처럼 활용하여 자신의 글을 평가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은 혼자 읽는 것보다 친구들과 함께 읽으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마지막 장 평가와 코멘트 부분을 적극 활용한다면 글쓰기 실력 향상에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평가라는 말에 두려움이 있다. 학교에서 평가는 성적으로 드러나 그것으로 줄을 세웠고, 피교육자간의 평가는 해 본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어려울 수도 있다. 이 책에서 평가하는 방법과 기준 그 중요성을 자세히 설명해주기 때문에 충분히 따라해 볼 수 있다. 평가는 단순히 글의 단점을 짚으려는 게 아니라 다른 사람이 쓴 글의 가치를 알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학생의 평가 능력 향상을 우리 교육의 한 지향점으로 삼자고 저자는 주장한다. 어려울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훈련하자고 한다. 앞에 요약한 [글쓰기 조언]에서처럼 모든 것은 반복이요, 훈련이다. 잘 하고 싶은 것을 계속 훈련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노력이다. 이러한 훈련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 어떻게 글이 되는지 즐거운 경험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논문쓰기 지침서로도 훌륭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논문 쓰는 법은 대학원 과정에서 한 학기 교과목으로 이수해야 할 만큼 어려운 내용이다. 한 권의 책 안에 글 잘 쓰는 방법에 더해 논문 쓰는 과정까지 다루고 훈련할 수 있는 텍스트까지 제공하는 책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