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글쓰기 - 혐오와 소외의 시대에 자신의 언어를 찾는 일에 관하여
이고은 지음 / 생각의힘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여성의 글쓰기>는 우리 사회에서 여성에게 기대하는 대부분의 과제를 모두 해내고 있음에도 도무지 만족하고 행복해질 수 없었던 전직 전문직 여성이 어떻게 글쓰기에서 그것을 이루어냈는지에 대한 이야기다. 저자가 여성이므로 ‘여성의 글쓰기’이기도 하거니와 모든 여성은 자신을 알기 위해 글쓰기를 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가 강조하는 것은 ‘무엇을 위해, 왜 글을 써야하는지에 대한 질문은 무엇을 위해, 왜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과도 같으므로 정치적 글쓰기가 아름답다’고 말한다. 그것은 곧 삶을 향한 글쓰기이기 때문이므로.

삶을 향한 글쓰기는 이 책의 부제와도 연결된다고 볼 수 있는데, 부제는 ‘혐오와 소외의 시대에 자신의 언어를 찾는 일에 관하여’다. 여성이 자신의 언어를 삶을 향한 글쓰기로 드러낼 때 살아있음을 느끼게 될 것이다.

책은 4장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장의 제목은 아래와 같다.

1장 자아를 찾아가는 글쓰기

2장 진실을 찾는 글쓰기

3장 결핍과 충족의 글쓰기

4장 사회, 연대, 글쓰기

각 장의 마지막에는 ‘어떻게 쓸 것인가’ 라는 제목으로 글쓰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처음부터 끝까지 어떤 순서로 쓸 것인지에 대한 코칭이라 하겠다. 그 제목은 다음과 같다.

# 구조와 흐름

# 호흡과 리듬

# 정확성과 표현

# 시작과 끝맺음

저자 이고은씨는 경향신문에서 사회부, 정치부에서 기자로 근무하다가 출산과 육아를 위해 기자 일을 그만두었다. 아이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싶어 퇴사했지만 자신의 시간을 가지지 못하고 자신의 일과 멀어지는 불안감을 느꼈다. 전업주부로 있으면서도 계속 할 수 있는 일이란 글쓰기 뿐이었다. 자신의 일터로 돌아가지 않은 채 글을 쓸 수 있는 팩트체크 전문 미디어 뉴스톱에 기사를 쓰기 시작한다. 정치하는 엄마들의 창립에 함께 하기도 했고 현재는 라디오 시사프로그램에 패널로 출연하고 있다.

리뷰의 첫 문단에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요약했지만 기실 나는 앞부분을 읽으면서 고개를 갸웃거렸다. 1장 2장을 읽는데 기자의 일과 미디어에 대한 이야기, 저자가 퇴사 후 힘들었던 것에 대한 내용들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나에게 질문했다. 이 책에서 기대한 것이 무엇이었는지, 어떤 부분이 마음에 들지 않는지를. 내가 원했던 것은 3, 4장에서 찾을 수 있었다.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 그래서 얻을 수 있는, 얻고자 하는 것!에 대한 답들이 나와서 고개를 끄덕였다.

각 장마다 부록처럼 끼워진 글쓰는 방법 코칭도 도움이 많이 되었다. 그동안 읽어온 글쓰기 관련 책과 겹치는 부분이 많았지만 읽었다고 해서 다 알고 그대로 하고 있는 건 아니므로 복습이 되기도 하고 볼 때마다 새로운 것도 있다. 이번에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은 글 안에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가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은 좋지 않다는 것이다. 나는 자주 쓰는데 그 이유는 이름이나 지명같은 고유명사를 구분, 강조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했다. 나혼자...

그런데 저자는 이렇게 말했다.

큰 따옴표가 많으면 내용을 자기 언어로 소화할 수 없음을 드러내는 것이고, 작은따옴표가 많으면 논리적으로 서술할 능력이 부족해 인위적으로 강조할 수밖에 없음을 고백하는 것이다. 내 의도가 저렇게 인식될 수도 있겠구나 싶었다. 이 리뷰에서는 평소 같으면 작은따옴표를 썼을 부분에서 생략하고 써보았는데, 습관이란 무서운 것이 왠지 어색한 느낌이 들었다.

저자가 자신의 전직이나 미디어의 문제를 앞부분에 배치한 것은 뒷부분에서 여성에게 글쓰기란 어떤 것이 되어야 하는지 강조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해석했다. 나아가 여성뿐 아니라 남성에 대해서도 생각하고 페미니즘으로 연결되는 내용들이 나온다.

읽기는 하지만 쓰기는 하지 않는다는 사람들이 읽으면 좋을 만한 내용을 인용한다.

P. 47~48

보통의 세계에서 특별함을 발견하고 글로 쓰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현상을 꼼꼼히 들여다보고 유의미한 것과 아닌 것을 구분하며, 그중 거시적이고 통시적은 굵은 주제와의 연결고리를 찾아 세밀하고 친절하게 묘사하는 일. 모든 과정에 글쓴이의 날카로운 렌즈가 작동해야 한다. 어떤 현상을 관찰할 것인가. 그중 무엇을 골라낼 것인가. 그것은 어떤 이야기의 한 단면인가, 어떻게 표현해낼 것인가. 이 모두가 쓰는 이가 홀로 감당해야 할 외로운 숙제가 된다.

하지만 이 과제의 무게를 견뎌내는 방법이 있다. 혼자만 감당하지 않는 것이다. 비슷한 고민을 해온 앞선 이들의 글을 탐독하고, 같은 숙제를 안은 이들과 함께 생각을 나누는 일이다. 그것은 현상에 대한 취재일 수도 있고, 하나의 주제에 대해 사람들과 나누는 진지한 논의일 수도 있따. 그 과정을 통해 이야기에는 구체성이 더해지고 깊은 사유가 담긴다. 나의 고뇌가 나만의 것이 아니라는 사실, 유사한 고민을 안고 있는 이들이 많다는 사실, 그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는 사실, 실존하는 수요를 확인하고 나면 글을 써야 할 이유가 보다 확고해진다. 이 과정이 없다면 글 속에 허세와 관념이 가득 찰 위험이 크다.

그래서 저자는 정치하는 엄마들의 활동을 하게 되었고, 주부이자 엄마로서 최선을 다하고 있음에도 채워지지 않는 갈증의 해소로 글쓰기를 계속 하게 된다. 저자는 기자로서의 필력을 요구하며 어느 정도의 보수가 있는 글을 쓰면서도 책 쓰기에도 힘을 쏟았다.

나의 글쓰기를 돌아보았다. 책 쓰기를 시도하다가 잠정 중단 상태이다. 올 일 년 간 쓴 글은 대부분이 책 리뷰였다. 책의 내용을 요약하는 것을 포함 나의 느낌을 일정부분 포함하는 글쓰기였다. 저자가 쓰는 글의 종류와 차이가 있는데 위 인용글에서 말하는 글을 써야하는 이유와 유사하지는 않은 것 같다. 너무 많은 책들의 리뷰를 기한 내에 써내야하는 압박으로 저런 고민보다는 마감일에 제때 써내는 것에만 급급했다. 서평단 활동을 과하게 한 결과이다.

내년부터는 나의 글을 써야한다. 중단된 책쓰기의 마감이 사실상 내년 여름이다. 그리고 책 리뷰보다는 수필을 써야겠다고 마음먹었다. <눈물이 마르는 시간>에서 이은정씨는 수필을 희망적인 문학이라고 했다. 그는 수필을 쓰면서 “나 자신에게 위로 받은 내가 비로소 타인의 잘못을 이해하고 용서하게 만들어주었다”고 하면서 “수필의 진실함으로 우울증을 씻어냈고 상처받은 나를 정면으로 바라보게 해주었다”고 말했다. 내가 책 리뷰 쓰기에만 몰두했던 것은 나를 정면으로 바라보는 것이 두려워서였을까? 진실한 글을 쓰기에 주저하게 만든 것은 무엇이었을까? 남은 2019년 동안 이 두 질문을 더 깊이 파고들어 내년에는 그 답을 찾고 글로 풀어내야 하지 않을까. 이것이야말로 저자가 말한 삶을 향한 글쓰기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