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생일대의 거래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1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일생일대의 거래가 뭘까?
어떤 거래이기에 인생을 걸만큼일까?
제목에서부터 궁금증을 자아내더니
첫 페이지에 나오는 작가의 말은 더하다.
한 생명을 구하려면 어떤 희생을 치를 준비가 되어야 하는지를 다룬 짧은 소설 이라고 밝히고 시작한다.
희생이란게 그 거래겠구나...
주인공 남자는 이름이 없다.
이름만 들으면 모든 사람들이 알만큼 명망가다.
돈과 명예를 모두 가진 그가 암에 걸려 입원했다.
돈과 명예를 가지기 위해 동분서주하느라 가족과 멀어졌다.
지금 그는, 혼자다.
암 병동에서 만난 다섯살 여자아이를 보며 그는, 자신의 아들을 떠올린다.
"네가 평범한 아빠를 원했던 걸 안다. 출장 가지 않고, 유명하지 않고, 자기를 쳐다봐주는 두 개의 눈동자, 그러니까 네 눈동자만 있으면 행복해하는 아빠.
나는 너를 학교에 데려다 준 적도, 네 손을 잡아준 적도, 생일 촛불을 끌 때 옆에서 도와준 적도, 네 침대에서 책을 네 권째 읽어주다가 내 쇄골에 네 뺨을 얹고 같이 잠든 적도 없었지.
하지만 너는 모두가 갈망하는 모든 걸 가지게 될 거다. 부, 자유. 나는 너를 버렸지만 적어도 욕망의 사다리 꼭대기에 버렸다."
아빠노릇 못 한걸 생각하니
이 여자아이의 시한부가 너무나 안타깝다.
남은 시간을 길게 늘여주고 싶다.
그래서 그는 사신과 거래를 하게 된다.
네가 죽는 걸로는 부족해. 그 여자아이의 온 생애가 들어갈 수 있을 만한 공간을 만들려면 다른 생명이 존재를 멈추어야 하거든. 그 생명 안의 내용을 삭제해야 해. 그러니까 네가 네 목숨을 내주면 네 존재는 사라질 거야. 너는 죽는 게 아니라 애당초 존재한 적 없는 사람이 되는 거지. 아무도 너를 기억하지 않아. 너는 여기 없었던 사람이니까.
이 책은 <오베라는 남자>로 유명한 스웨덴 작가 '프레드릭 배크만'의 짧은 소설이다.
양장본이고 내지가 제법 두꺼워서 맘에 든다.
중간중간 삽화가 들어있 고 글자 분량이 많지 않아 금방 읽을 수 있다.
그러나 한 번만 읽을 수 없는 소설이다.
짧아서 빨리 읽었더라도 다시 읽어보아야 한다.
처음 작가가 이 소설을 쓰게 된 이유와
무명의 남자가 죽인건 누구인지,
그는 어째서 어렸을 때부터 사신을 볼 수 있었던 건지,
그가 청춘과 가족을 바쳤던 까닭을,
날마다 인생을 건다는 거래는 무엇인지,
하나하나 찾아보기 위해 다시 읽어야 했다.
여러 번...
옛날에 로마 시인은 '카르페 디엠' 이라 외쳤고,
최근에 우리나라의 어떤 교수는 '아침에는 죽음을 생각하는 것이 좋다' 고 말했다.
책 속 무명의 주인공은 '이 세상에서 가장 확실한 한 가지가 1초의 가치' 라고 했다.
우리는 늘 내 옆에 있는 이의 소중함은 그가 떠난 후에 깨닫고,
영원히 살 것처럼 오늘을 살고,
지금 지나가고 있는 이 순간을 아까워하지 않는다.
다가오지 않은 미래를 꿈과 희망이라는 단어로 포장해 현재를 놓친다.
지금이 너무나 빨리 과거가 되기에,
순간은 아무리 움켜쥐어도 빠져나가버리는 모래알 같다.
책을 덮으며, 독자마다 떠올리는 사람이 다를수 있고 감동의 지점 또한 다를 것이다.
이 책을 읽은 독자가 부모일수도 혹은 자식일수도 있겠다.
어떤 독자이든 이 책을 다 읽고 곁에 있는 사랑하는 사람을 꼬옥 껴안아줄 것이다.
분명! 그럴 것이다!!
작가는, 우리가 이 세상에 존재했다는 것은 사랑했다는 사실 하나로 충분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그 사랑을 작가는 부정으로 표현했다.
물론 소설이라 극적 장치를 넣었지만.
그들은 절대 모르겠지만 부모는 자식에게 전부를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