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도 아들은 처음이라 - 첫 아들을 키우는 엄마를 위한 심리학 수업
안정현 지음 / 꼼지락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는 왜 만날 그 모양이니?”

니가 잘못했으니까 선생님한테 혼났겠지.”

학원비가 얼만데 또 안 가겠다는거야?”

 

위 대사를 읽는 엄마들, 순간 뜨끔했을 것이다.

내가 즐겨 쓰는 말인데! 하면서.

나도 우리 아들에게 저렇게 말했다.

아다시피 저렇게 말한다고 어디 아들이 바뀌던가?

관계만 더 틀어졌지.

 

어느 날 엄마가 되었고 부모교육 한 번 받아본 적 없던 여자는, 나와 다른 성()인 아들을 상대하기가 너무나 힘들다. 좌충우돌이라도 귀여운 맛은 있던 아들이 어렸을 땐 어찌어찌 잘 지냈는데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고 사춘기에 접어들면, 엄마는 도저히 감당하기가 버거워져 울고 싶을 때가 한 두 번이 아니고 매일 매일이 전쟁이다. 그런 엄마들이 참고로 하면 좋을 책이 나왔다. ‘첫 아들을 키우는 엄마를 위한 심리학 수업이라는 부제를 단 책, <엄마도 아들은 처음이라>이다. 둘째 아들을 키우는 엄마라면 한 번의 경험이 있으므로 조금은 수월해졌겠지만, 첫째가 아들인 경우 엄마들은 그야말로 멘붕이 된다. 내 생각과 너무나 다르게 행동하는 아들을 첫째로 키우는 엄마들에게 적극 권유할 만한 책이다. 책을 쓴 저자 안정현씨는 15년 차 심리상담가로 아동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내담자와 심리 상담을 하고 있으며 현재 마음달 심리 상담 센터대표를 맡고 있다.

 

그런데 주의사항이 하나 있다. 읽다보면 아이의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이 엄마, 부모의 잘못때문이라는 기분이 들 수가 있다. 그렇다고 너무 화내지는 마시라. 맞는 말만 하니 찔려서 그런 것이다. 우리가 부모로부터 받았던 양육방식 때문에 일정 부분 덜 자란 아이 하나를 내면에 키우고 있음을 발견하는 과정이다. 나의 내면 아이를 다그치듯 아들을 몰아세우며 나의 욕망을 투사하고 있는 건 아닌지 돌아볼 일이다. 그렇다고 엄마의 잘못이라고 단정짓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상황별로 아들을 대하는 방법들을 전수하고 있으니 현재 사춘기인 아들과 틀어진 관계를 회복할 기회로 삼으면 좋겠다. 아직 아들이 어리다면 지금부터라도 하나하나 연습해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목차는 아래와 같다.

 

1. 남자아이를 키우는 건 왜 이렇게 힘들죠?

2. 아들의 특성을 이해하면 방법이 보인다.

3. 아들의 자존감을 높이는 엄마의 대화법

4. 아들을 여유롭게 키우는 엄마 되기

 

1장에서는 아이가 하는 행동의 이유를 알아보는 것이 아니라 틀리다며 윽박지르고 엄마의 생각을 관철하려는 건 아닌지 돌아보라고 지적한다. 아이에게 레이블링(labeling:꼬리표 붙이기)을 하면 이해를 할 기회를 잃게 된다. 저자에게 상담을 하는 엄마들이 아들 이야기를 하다가 울음을 터뜨리곤 한다. 자신을 닮은 아이의 모습이나 행동을 보면 자신의 옛날 모습이 떠올라 화가 난다는 것이다. 아들에게 부정적인 감정이 심하게 든다면 먼저 자신을 바라봐야 한다. 먼저 자신의 내면아이를 자라게 하고 욕구를 충족시킬 때 내 아들의 마음도 살필 수가 있다. 그렇게 엄마의 열등감을 극복해야 아들의 자존감도 높일 수 있다.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봐주고 장점을 찾아주어야 한다. 엄마가 다 하기 버겁다면 멘토가 될 만한 어른을 연결하여 롤모델로 삼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2장에는 자퇴하려는 아이, 공부하기 싫어하는 아이를 위한 코칭이 나와있다. 예를 들어 학습을 거부하는 경우 그 원인을 정확하게 살핀 후 세 가지를 당부한다.

- 부모와 자녀 모두 현재의 성적을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들을 처음 만났을 때 감사했던 마음, 그저 건강하기만 원했던 그 마음을 기억하자.

- 자녀에겐 아주 작은 변화부터 기대해야 한다. 과거보다 발전하는 작은 변화가 있으면 축하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 현재까지의 방식을 아이가 힘겨워한다면 계속해서 같은 태도를 고집하는 것은 버려야 한다. 부모가 원하는 방식에 억지로 끼워 맞추려 하지 말고, 성적의 경우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하는 대화법이 좋다.

 

이 장에서 엄마들이 꼭 기억해야 할 것은, 아이 앞에서 아빠 흉을 보지 말라!“ 는 것이다. 부부사이가 좋아야 자녀와의 사이도 좋아지고, 아들이 사춘기가 되었을 때는 동일시할만한 남자모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품에 낀 아들이 아니라 남자로서 성장한 아들의 모습을 보는 것이 엄마들이 진정 원하는 것임을 알아차려야 한다.

 

3장에서는 대화법에 대한 내용이다. 자꾸 아이에게 상처주는 말만 하지 말고 엄마가 먼저 대화법을 공부해야 한다. 아들의 단점만 보지 말고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생각해보고 아들에게 말하는 방법을 고민해서 실천해 보도록 하자. 부모가 알아야 할 A.C.T 대화법은 아래와 같다.

예전엔 반영적 경청과 나 전달법이라 했고 최근엔 비폭력 대화라고 불렀는데 세월이 지나니 이름도 자꾸 바뀌는 듯하다. 어떤 명칭이든 포인트는 평가, 비난하지 말고 아이의 마음을 짚어주자는 것이다. 그리고 엄마의 심정을 있는 그대로 전달했을 때 아이의 마음도 풀리고 스스로 방법을 찾아내게 된다.

 

4장은 아이에게 중독이나 병증이 있을 경우 대처법이다. 스마트폰 중독, ADHA, 틱장애를 사례로 들고 있다. 공통적인 대처방식은 아이의 시선을 다른 곳에 돌리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몸을 움직여서 활동하는 것이 좋은데 기왕이면 아빠와 같이 활동하면 더 좋다. 아빠와 함께 농구나 축구처럼 땀을 쏙 뺄 수 있는 운동을 한 뒤 목욕탕에 가서 때를 밀며 스킨십을 하는 것이다. 그러면 아빠와의 관계도 좋아져서 사춘기가 되어 아빠와 관계가 서먹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제 엄마들도 마음의 여유를 가질 필요가 있다. 엄마가 마음의 여유가 있어야 자식에게도 여유롭게 대할 수 있는 것이다.

책의 마지막 문단은 이렇게 끝맺는다. .

 

좋은 엄마는, 완벽한 엄마가 아니고 완벽한 아이의 엄마도 아닙니다. 엄마는 엄마로 충분합니다. 아이에게는 잘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실수해도 느긋하게 기다리고 지켜봐주는 것이 필요하고, 엄마 스스로에게는 지금 잘하고 있다고 말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첫째를 아들로 둔 엄마가 아니어도, 아이와 싸운 후 잠든 얼굴을 쓸어주며 자책하는 모든 엄마들이 읽으면 좋을 책이다. 문제는 이런 책을 읽고 덮어버리지 말고, 하나라도 실천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