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으름 예찬 - 숨 가쁜 세상을 살아가는 이들을 위한 품격 있는 휴식법
로버트 디세이 지음, 오숙은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게으름 예찬>의 작가, '로버트 디세이가 정의내린 여가는 이러하다.

 

여가란, 결코 물질적 이익을 바라지 않고(설사 그것이 결국엔 우리는 물론 타인에게 실질적 도움이 된다고 해도) 순전히 그 즐거움을 위해서 자유로이 선택한 것, 빈둥거리고, 깃들이고, 단장하고, 취미 활동을 하는 등 광범위한 영역을 두루 아우를 때 쓰는 단어다. 여가를 누릴 때에는 가치보다는 기교가 훨씬 중요하다. 현명하게 선택한 여가는 아무리 짧은 삶에도 깊이를 준다. 느긋하게 있을 때 우리는 가장 치열하고 유쾌하게 인간다울 수 있다. p.29

 

작가는 호주에서 러시아 문학을 연구하며 소설가, 에세이스트이다. 이 책에서 그는 바쁘다고 말을 하는 것은 자신이 노예 상태임을 광고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오랜 시간동안 지배계급이 부르짖은 노동은 신성하다는 말장난에 놀아나 지배계급을 제외한 모두가 뼈 빠지게 일만하도록 만든 논리 속에 살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여가 시간을 현명하게 활용했을 때 우리 삶에 깊이가 생기고 행복으로 가까워진다고 한다. 일과 휴식 사이에, 즉 소유와 존재 사이에 더 나은 균형을 찾으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위 여가의 정의처럼 느긋하게 있음으로 가장 치열하고도 유쾌하게 인간다워질 수 있다.

 

그렇다면 게으름이라는 말이 아무것도 하지 않는 상태를 말하는 것인가? 그건 아니다. 무엇이든 어떤 것이든 할 자유가 게으름이라고 재정의하고 있다. 예컨대 어떤 것이든 한다는 것은 빈둥거림을 포함하여 이런 것을 말한다. 독서, 걷기, 놀이, 낮잠, 섹스, 목욕, 청소 요리, 세탁, 아무것도 하지 않기, 여행 등등.

 

, 왠지 저런 것들은 게으름이라는 단어와 거리가 멀어 보이는데?’

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그래서 부제가, 숨 가쁜 세상을 살아가는 이들을 위한 품격있는 휴식법이라고 붙여 두었다.

어찌보면 게으름이라는 단어보다는 자유롭다는 말과 더 어울리는 부제라고 하겠다. 마지막에 작가는 이렇게 권유하고 있다. 시간을 주변에 흩어져 있는 물웅덩이로 바라보자는 것이다. 이 말이 아주 중요하다.

 

 

이 웅덩이는 둥글고(예를 들어 낮잠은 매끈하게 둥글고 테니스도 둥글다), 저 웅덩이는 비죽비죽하며(정원 가꾸기와 새 구두를 사기 위한 쇼핑), 꽤 많은 웅덩이가 마름모꼴이며(사무실에서 보내는 시간, 어쨌든 먹어야 하니까), 더러는 사방으로 물이 가지를 뻗어간 흔적이 있다(라오스에서 보낸 휴가, 라틴어 배우기). 더러는 반짝이기도 하고(어젯밤 특별한 친구와 함께 본 <마술피리>), 더러는 잔물결이 찰랑이고(수요일의 스크래블 게임), 더러는 거울처럼 매끄럽다(이를테면 당신이 끝까지 하기로 마음먹고 바짝 주의깊게 들은 수업). 당신은 한 웅덩이에서 다른 웅덩이로 지그재그로 옮겨간다. p.294

 

 

위 내용은, 다르게 생긴 물웅덩이를 이리저리 자유롭게 옮겨다니며 주체적으로 사용하라는 뜻으로 보인다. 그럼으로써 노예상태가 아닌 어떤 것이든 하는 자유를 누리는 것이 품격 있는 휴식법이라는 것이다.

 

 

, 그럼 이제 우리의 삶을 한번 보자.

워라밸을 강조하지만 매일 시간이 없다고 허덕거리며 무너진 밸런스에 한숨 쉬고 있지는 않나?

단지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는 것이 휴식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나?

남들이 올리는 SNS속 사진들을 보며 부러워만 하고 있지 않나?

캠핑클럽속 핑클 멤버들을 보며 캠핑카나 캠핑 장소를 검색하고 있는 건 아닌가? 마치 그렇게 하는 것이 제대로 된 여가생활이라 여기며...

 

 

굳이 작가가 말하는 소설이나 영화 속의 사례까지 가지 않더라도, 우리나라 사람들은 충분히 일중독이고 사회 분위기도 그래왔다. 이젠 조금씩 개인의 여가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고기도 먹어본 놈이 먹을 줄 안다는 말처럼 별로 놀아본 적이 없다보니 어떻게 여가를 써야할지 모르는 게 문제다. 그러다보니 미디어에서 보여지는 여행지를 맹목적으로 방문하는 것처럼 남들이 하는 것을 따라하는 것으로 즐거운 여가를 보냈다며 만족하는 경우가 있다. 작가의 말을 따르자면 꼭 그러지 않아도 된다.

 

 

멍 때려도 좋고 책을 읽어도 좋고 청소를 해도 좋다. 자신만의 방식으로 여가 시간을 만족스럽게 보낸다면 그것으로 된 것이다. “품격있는 휴식법인지는 모르겠다. 작가가 인용한 내용들이 우리 정서에 바로 와닿지 않아서 책을 읽으며 폭풍 공감까지는 어려울 듯하다. 허나 지금 내게 필요한 휴식은 어떤 것이 좋을지 생각해 보는 것, 자신의 시간 사용이나 라이프 패턴에 맞춰 무엇을 해볼까 고민해 봤다면 이 책의 효용으로 충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