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터 2019.9
샘터 편집부 지음 / 샘터사(잡지) / 2019년 8월
평점 :
품절


월간 샘터의 표지는 '밥상보'인데 여러가지 조각천으로 이어만든 것이 꽃같다. 진짜 꽃옆에 가져다 놓으니 둘이 제법 잘 어울린다.

이번 9월호, "이 남자가 사는 법"에 소개된 이는 배우 '김형석'씨다. 웹드라마가 낳은 유명스타라고 한다. <연애플레이리스트>의 남자주인공이라는데 한번도 본적이 없는 배우지만 사진으로만 봐도 잘 생겼다. 요즘 웹드라마를 봐야 1020세대랑 대화가 좀 된다고 하니 나도 한번 찾아봐야겠다.

외모로만 봐서는 고생 한번 해본 적 없을 것같은 귀공자 타입이다. 그런데 큰 시련을 겪은 사연이 있었다. 지상파 드라마의 조연을 맡게 될 기회가 왔지만 불행도 함께 왔다. 첫 촬영하기 직전, 살아있는 게 기적이라고 할 정도의 큰 교통사고를 당하게 된다. 오른쪽 눈뼈가 함몰되고 갈비뼈 여덟개가 부러지는 심각한 부상이었다. 1년간 병상에 누워있었고 소속사와의 계약도 파기되어 연기자의 꿈은 멀어지게 된다. 인공으로 눈뼈를 맞추는 대수술 후 기적적으로 건강을 회복한 후 다시 꿈을 향해 도전했고 새 생명을 받은 감사의 마음으로 즐겁게 오디션도 보러 다녔다. 3년동안 불러주는 곳 어디든 가서 최선을 다해 연기했고 그 경험들이 쌓여 <연애플레이리스트>에도 출연하게 된 것이었다.

이렇게 불운과 기적적 재기 그리고 성공스토리는 굉장히 비현실적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런 스토리의 주인공은 가장 밑바닥으로 추락한 것 같을 때도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포기했다면 기회는 다시 찾아오지 않았을 것이다. 수많은 포기자들의 숫자보다 저렇게 버티고 노력해서 꿈을 이뤄내고야마는 사람들은 너무나 희소해서 비현실적으로 보이는 것이리라. 뜨거운 햇볕을 묵묵히 견뎌낸 나무만이 달콤한 열매를 맺듯 9월에 어울리는 사연이었다.

시련의 고통도 견디기 어렵지만 긴 세월 꾸준히 자신의 길을 뚜벅뚜벅 걸어가는 이를 "이 달에 만난 사람"코너에서 만났다.

17년째 점묘화를 그려온 화가 김주철씨다. 점묘화는 교과서나 미술서적에서나 봤던 기억뿐이고 주입식 피교육자답게 자동으로 쇠라의 <그랑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가 떠올랐다. 우리나라에도 점묘화를 그리는 화가가 있다는 것에 놀랐고 작은 그림 하나를 완성하는데에 최소 두세달은 걸린다고 해서 또 놀랐다. 한 편에 1년이상 걸리기도한다니 요즈엔 저묘화만 그리는 화가는 거의 없다고 한다. 마흔이 되어서야 늦게 시작했지만 붓을 쥐고 앉아있을 때 자유를 느낀다고 한다.

요즘처럼 모든 것이 빠르게 돌아가는 시대에, 가성비 갑을 미덕으로 치는 시대에, 천천히 점만 찍어서 그림을 완성하는 화가 김주철씨는 대단한 인내심의 소유자 같다. 그동안 철저히 무명이었던 그가 국내외 미술계에서 주목하는 점묘화 화가로 자리매김해가는 중이며 국내인지도보다 해외에서 더 인기가 있다고 한다.

9월호에서 만난 두 남자의 공통점은 포기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분야에서 꿋꿋하게 버텨내는 것이다. 물론 즐겁게!
어찌보면 진리의 공식인데 지키기는 어렵다. 지키는 자만이 달디단 열매를 맛보는 것 역시 진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